목차 일부
서문(序文) ... 4
제1부 연구 서설
1. 연구사 개관 ... 13
2. 연구 방법 ... 20
제2부 고운 문학의 배경
제1장 고운의 생평(生平) ... 26
1. 유년기(幼年期) ... 26
2. 재당기(在唐期) ... 34
3. 환국ㆍ사환기(還國ㆍ仕宦期) ... 40
4. 탈속기(脫俗期) ...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序文) ... 4
제1부 연구 서설
1. 연구사 개관 ... 13
2. 연구 방법 ... 20
제2부 고운 문학의 배경
제1장 고운의 생평(生平) ... 26
1. 유년기(幼年期) ... 26
2. 재당기(在唐期) ... 34
3. 환국ㆍ사환기(還國ㆍ仕宦期) ... 40
4. 탈속기(脫俗期) ... 43
제2장 고운이 만난 사람들 ... 49
1. 고변(高변) ... 49
2. 배찬(裵瓚) ... 52
3. 고운(顧雲) ... 54
4. 두순학(杜荀鶴) ... 59
5. 나은(羅隱) ... 60
6. 이복(李福) ... 64
7. 장교(張喬) ... 64
8. 오만(吳巒) ... 66
9. 희랑화상(希朗和尙) ... 67
10. 박인범(朴仁範) ... 69
11. 최인연(崔仁연) ... 70
12. 김준(金畯) ... 71
제3장 당시의 시ㆍ문풍(詩ㆍ文風) ... 79
1. 중국의 시ㆍ문풍 ... 79
2. 신라의 시ㆍ문풍 ... 90
제4장 고운이 남긴 저술 ... 105
1. 문헌에 보이는 저작 ... 105
2. 고운의 현존 저작 ... 112
3. 시류 ... 122
4. 문류 ... 130
제3부 시의 형식과 의미
제1장 시의 표현 기교 ... 137
1. 머리말 ... 137
2. 첩자(疊字) ... 137
3. 쌍성(雙聲)과 첩운(疊韻) ... 152
4. 염(염) ... 157
5. 대장(對仗) ... 173
6. 용사(用事) ... 181
7. 맺음말 ... 193
제2장 재당기(在唐期) 시의 의미 ... 194
1. 머리말 ... 194
2. 사회화의 의지 ... 194
3. 사회화의 과정 ... 198
4. 소외와 극복의지 ... 205
5. 이상과 현실의 갈등 ... 213
6. 이상의 좌절 ... 220
7. 맺음말 ... 225
제3장 「새벽에 읊조림(詠曉)」부(賦)에 나타난 외물 ... 227
1. 머리말 ... 227
2. 「새벽에 읊조림」부의 생성 배경과 형식 ... 228
3. 「새벽에 읊조림」부의 의미와 외물 인식 양상 ... 239
4. 「새벽에 읊조림」부를 통해 본 고운의 세계관 ... 248
5. 맺음말 ... 251
제4장 환국ㆍ탈속기의 시의 의미 ... 254
1. 머리말 ... 254
2. 실의(失意)와 표랑(漂浪) ... 254
3. 예비적(豫備的) 피안(彼岸) ... 260
4. 중관(中觀)의 세계(世界) ... 268
5. 피안(彼岸)에의 삶 ... 274
6. 맺음말 ... 281
제5장 고운 시의 풍격(風格) ... 283
1. 머리말 ... 283
2. '풍(風)', '격(格)'과 풍격(風格) ... 283
3. 고운 시의 풍격(風格) ... 285
4. 맺음말 ... 300
제4부 삶과 문(文)의 양상(樣相)
제1장 문(文)의 총체적 특성 ... 301
1. 머리말 ... 301
2. 문체(文體)의 다양성(多樣性) ... 301
3. 규모(規模)의 광대성(廣大性) ... 307
4. 설리(說理)의 분명성(分明性) ... 311
5. 기사(記事)의 정확성(正確性) ... 316
6. 맺음말 ... 321
제2장 「쌍녀분기(雙女墳記)」의 종합적 고찰 ... 323
1. 머리말 ... 323
2. 문헌검토와 작자 규명 ... 324
3. 쌍녀분기의 갈래 ... 345
4. 「쌍녀분기」의 창작 배경과 목적 ... 350
5. 「쌍녀분기」의 구성과 의미 ... 357
6. 맺음말 ... 367
제3장 「격황소서(檄黃巢書)」의 구성(構成)과 의미(意味) ... 371
1. 머리말 ... 371
2. '격서(檄書)'에 대한 인식 ... 371
3. 「격황소서(檄黃巢書)」의 생성 배경 ... 374
4. 「격황소서」의 구성(構成) ... 377
5. 「격황소서」의 의미(意味) ... 382
6. 맺음말 ... 389
제4장 「대숭복사비명(大崇福寺碑銘)」의 구성과 의미 ... 392
1. 머리말 ... 392
2. 비명(碑銘)의 구성과 의미 ... 394
3. 비명(碑銘)에 나타난 의식 ... 422
4. 맺음말 ... 426
제5장 「진감선사비명(眞鑑禪師碑銘)」의 구성과 의미 ... 428
1. 머리말 ... 428
2. 비명(碑銘)의 구성과 의미 ... 430
3. 비명(碑銘)에 나타난 의식 ... 455
4. 맺음말 ... 460
제6장 「낭혜화상비명(朗慧和尙碑銘)」의 구성과 의미 ... 462
1. 머리말 ... 462
2. 비명(碑銘)의 구성과 의미 ... 463
3. 비명(碑銘)에 나타난 의식 ... 495
4. 맺음말 ... 499
제7장 「지증대사비명(智證大師碑銘)」의 구성과 의미 ... 501
1. 머리말 ... 501
2. 비명(碑銘)의 구성과 의미 ... 503
3. 비명(碑銘)에 나타난 의식 ... 529
4. 맺음말 ... 532
제8장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의 구성과 의미 ... 534
1. 머리말 ... 534
2. 고운의 전(傳)에 대한 인식 ... 535
3. 「법장화상전」의 생성 배경 ... 539
4. 「법장화상전」의 구성 ... 545
5. 「법장화상전」의 의미 ... 550
6. 맺음말 ... 562
제5부 문학에 나타난 정신(精神) 세계(世界)
제1장 삶과 문학 정신 ... 565
1. 머리말 ... 565
2. 위기지학(爲己之學)의 수행 ... 566
3. 달의(達意)와 수사(修辭)의 병행 ... 571
4. 입언수후(立言垂後)의 실천 ... 577
5. 이언진여(離言眞如)와 의언진여(依言眞如) ... 587
6. 맺음말 ... 595
제2장 삶과 역사 정신 ... 597
1. 머리말 ... 594
2. 상고(尙古) 정신의 답습(踏襲) ... 598
3. 일치일란(一治一亂)의 순환(循環) ... 601
4. 정명(正名)과 복구주의(復仇主義) ... 608
5. 세계주의(世界主義)로 귀착(歸着) ... 612
6. 맺음말 ... 620
제6부 후대 평가와 문학사상 위상
1. 머리말 ... 622
2. 고려시대의 긍정적 평가 ... 622
3. 조선 시대의 긍정과 부정 ... 631
4. 문학사상 위상 ... 650
5. 맺음말 ... 654
孤雲年譜 ... 655
參考文獻 ... 661
中文提要 ... 68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