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5
<B><FONT color ... #0000
Ⅰ 서론 ... 13
Ⅱ 연암의 사유 체계 ... 21
1. 형성 배경 ... 21
1) 변화에 대한 갈망 : 통변론 ... 22
2) 인간 정감에 대한 자각 : 정감론 ... 36
2. 균형과 자득(自得)의 사유 체계 ... 46
1) 통합의 논리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5
<B><FONT color ... #0000
Ⅰ 서론 ... 13
Ⅱ 연암의 사유 체계 ... 21
1. 형성 배경 ... 21
1) 변화에 대한 갈망 : 통변론 ... 22
2) 인간 정감에 대한 자각 : 정감론 ... 36
2. 균형과 자득(自得)의 사유 체계 ... 46
1) 통합의 논리 : 중(中) ... 48
2) 상황의 논리 : 권(權) ... 60
3) 자득(自得)의 논리 : 약(約)과 오(悟) ... 74
Ⅲ 연암의 심미 의식 ... 85
1. 득진(得眞)의 추구 ... 86
1) 즉사(卽事)의 정신 ... 87
2) 내면의 정신작용 추구 ... 96
2. 동심의 획득 ... 103
3. 미의 범주 확장 ... 111
4. 내용(內容)과 형식(形式)의 겸비 ... 116
Ⅳ 연암의 문예이론 ... 129
1. 연암의 문학론(文學論) ... 129
1) 본질론 : 성색정경(聲色情境) ... 129
2) 태도론 : 지변능전(知變能典) ... 155
3) 작법론 : 요령(要領)과 합변(合變) ... 175
2. 회화론과 상호조명 ... 196
1) 사의론 : 내면의 형상화 ... 197
2) 형사론 : 핍진성 추구 ... 206
3) 문학론과 회화론의 접점 ... 213
Ⅴ 연암의 문예사적 위상과 의의 ... 221
Ⅵ 결론 ... 231
보론 : 「마장전」의 표현 기법과 인물의 기능 ... 237
Ⅰ 머리말 ... 239
Ⅱ 「마장전」의 내용 분석 ... 245
Ⅲ 「마장전」의 표현 형식 ... 265
Ⅳ 인물의 성격과 기능 ... 289
Ⅴ 「마장전」의 의의 ... 299
Ⅵ 결론 ... 303
참고문헌 ... 305
찾아보기 ... 31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