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5
[제1부]
安貧과 嘆窮, 이념과 현실의 거리 ... 15
1. 머리말 ... 15
2. 이념적 가치, 여유있는 안빈 ... 16
3. 안빈에서 탄궁으로, 절박한 안빈 ... 21
4. 현실에 대한 불만, 원한 맺힌 탄궁 ... 29
5. 마무리 ... 34
蘆溪歌辭의 창작기...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5
[제1부]
安貧과 嘆窮, 이념과 현실의 거리 ... 15
1. 머리말 ... 15
2. 이념적 가치, 여유있는 안빈 ... 16
3. 안빈에서 탄궁으로, 절박한 안빈 ... 21
4. 현실에 대한 불만, 원한 맺힌 탄궁 ... 29
5. 마무리 ... 34
蘆溪歌辭의 창작기반과 문학적 지향 ... 37
1. 머리말 ... 37
2. 창작기반으로서의 이념과 현실 ... 39
3. 대인관계와 문학적 지향 ... 45
4. 표현형태와 문학적 지향 ... 53
5. 마무리 ... 59
유배가사 작품구조의 전통과 변모 ... 62
1. 머리말 ... 62
2. 허구적 설정의 전통과 관습 ... 63
3. 寫實的 진술과 경험적 현실 ... 70
4. 戱畵化와 유배정서의 변질 ... 75
5. 마무리 ... 83
流配歌辭의 保守性과 開放性 -〈萬言詞〉와 〈北遷歌〉를 중심으로- ... 86
1. 머리말 ... 86
2. 상층 지향의식과 자기 戱畵化 ... 88
3. 억울한 유배와 방탕한 풍류 ... 103
4. 마무리 ... 114
금강산 기행가사의 형상화 양상 ... 118
1. 머리말 ... 118
2. 진술방식과 작가의식의 지향 ... 120
3. 이념과 흥취의 형상화 양상 ... 135
4. 신분적 특권의식과 현실인식 ... 150
5. 마무리 ... 160
[제2부]
17세기 士族의 가문의식과 문학적 형상 - 정훈의 가사를 중심으로- ... 165
1. 문제제기 ... 165
2. 정치현실과 자연형상 ... 167
3. 흥취와 탄식의 정서적 문맥 ... 175
4. 기대와 좌절의 정서적 진폭 ... 180
5. 논의의 종합 ... 184
〈日東壯遊歌〉와 사대부가사의 변모 ... 187
1. 머리말 ... 187
2. 작품의 흥미성과 장면화 ... 189
3. 작품의 보수성과 개방성 ... 196
4. 마무리 ... 204
道學歌辭의 교훈과 정서 ... 206
1. 머리말 ... 206
2. 율격의 변화와 시상의 전개 ... 209
3. 개인정서와 윤리의 형상화 ... 218
4. 흥취와 이념의 관념적 동경 ... 224
5. 마무리 ... 232
誡女歌의 교훈과 정서 - 道學歌辭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235
1. 문제제기 ... 235
2. 친정 부모의 정서와 교훈 ... 239
3. 대상에 대한 태도와 어조 ... 248
4. 마무리 ... 255
현실비판가사의 현실인식과 문학적 성격 ... 258
1. 머리말 ... 258
2. 이념적 지표의 상실과 정서적 대응 ... 261
3. 사고의 양극화와 작품의 경직성 ... 268
4. 현실비판과 이념수호의 시적 긴장 ... 278
5. 마무리 ... 282
聖俗의 관계를 통해 본 〈龍潭遺詞〉 ... 286
1. 머리말 ... 286
2. 작품에 형상화된 崔濟愚 ... 287
3. 현실과 이상의 관계 ... 298
4. 마무리 ... 310
찾아보기 ... 31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