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5
제1부 전향과 친일, 그리고 저항
전향과 친일의 한 좌표 - 박영희론 ... 15
1. 박영희, 전향ㆍ친일문학론의 시금석 ... 15
2. 전향선언문과 「명암」의 거리 ... 19
3. 「독방」, 전향과 저항의 균열 ... 24
4. '국민문학론'의 내적 균열양상 ... 29
5...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5
제1부 전향과 친일, 그리고 저항
전향과 친일의 한 좌표 - 박영희론 ... 15
1. 박영희, 전향ㆍ친일문학론의 시금석 ... 15
2. 전향선언문과 「명암」의 거리 ... 19
3. 「독방」, 전향과 저항의 균열 ... 24
4. '국민문학론'의 내적 균열양상 ... 29
5. 마무리 ... 34
전향과 친일, 그리고 저항 - 안함광론 ... 37
1. 우리에게 '전향'이란 무엇인가 ... 37
2. '전향'과 '친일'의 거리 ... 40
3. 식민지자본주의와 '민족'(-'통일 국가')의 의미 ... 44
4. '문화'와 생활', 그리고 '동아체제' ... 52
5. 전향ㆍ친일문학론의 진전을 바라며 ... 59
분열의 수사와 근대 극복 - 임화론 ... 63
1. '현상'으로서의 전향과 친일 ... 63
2. 주체화-정치와 문화, 그리고 생활 ... 64
3. 본격소설론의 함의, 그 이중 전략 ... 69
4. 이식, '전통'의 저항적 공간 ... 75
5. 마무리 ... 82
제2부 민족문학론의 역사성
이론비평과 실제비평의 심화와 확대 - 1970년대 비평문학 ... 87
1. 풍성한 수확의 시기, 1970년대 ... 87
2. 전통의 심화와 시각의 다양화 ... 91
3. 개인과 시대의 총체화 ... 94
4. 비평 시각의 확대와 '민중'연대성 ... 99
5. 전대의 이월과 심화로서의 1970년대 ... 103
6. 문학사회학에 대한 '문지'와 '창비'의 거리 ... 107
7. 민족문학론과 '민중', 그 '시민'문학론과의 친근성 ... 112
8. 대중문학론과 '대중', 그 '이념형'으로서의 '시민'의 현실적 의미 ... 124
9. 리얼리즘론의 자기 정초와 시각의 확대 ... 130
10. 제3세계문학론과 농민문학론 그리고 리얼리즘의 자기 갱신 ... 139
11. 1970년대 비평의 현재적 의미 ... 148
예술성과 운동성의 길항 관계, 그리고 민족문학의 역사성 - 1980년대 비평문학 ... 155
1. 1980년대 민족문학론의 형성 매경 ... 155
2. 민중적 민족문학론과 지식인의 자기 반성 ... 159
3. 민주주의 민족문학론ㆍ노동해방문학론과 지식인의 자기 기투 ... 169
4. 민족해방문학론과 이념에의 헌신 ... 180
5. 중도적 민족문학론과 민중주의적 사고 ... 184
6. 민족문학론의 원점으로서의 의미 ... 192
7. 1980년대 민족문학론의 현재적 의미 ... 196
제3부 민족문학론의 과제
근대문학 '여명'기의 희망과 또 하나의 과제 ... 203
1. 근대문학의 기점 논의와 관련하여 ... 203
2. 개화기 단형 서사문학의 문학사적 위치 ... 207
3. 문학사의 연속성과 자생성, 그리고 그 현재성 ... 214
민족 담론의 '역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 217
1. 새로운 연대의 실마리를 찾아 ... 217
2. 기원의 서사를 넘어 ... 219
3. 근대 극복의 과제를 향해 ... 223
현실과 길항하는 소설의 생명력 ... 227
1. 삶의 거처, 자본의 논리 ... 227
2. 근대 수난의 축도, 그리고 낭만성 ... 228
3. 과거에의 긴박과 현실과의 상징적 거리 두기 ... 232
제4부 민족문학사의 자장
일제 강점기 항일문학에 나타난 '지속'과 '계승'의 의미 ... 239
1. 항일문학의 위상 ... 239
2. 무덤과 상황 인식 ... 240
3. 이념과 생활, 그리고 가정 ... 243
4. 죽음을 불사한 투정 의지와 일제 허구의 폭로 ... 246
5. 항일 독립투쟁의 계승과 지속 ... 248
판매금지 작품과 사회 상황 ... 255
1. 문학과 정치와의 긴장 관계 ... 255
2. 월북 작가, 작품들 ... 257
3. 반미, 용공과 「분지(糞地)」 사건 ... 261
4. 유신체제 비판과 『겨울공화국』(1974~1977) ... 265
5. 누적된 특권층의 부정 부패에 대한 비판과 『오적(五賊)』 ... 267
6. 문민 정부의 도덕성과 『즐거운 사라』 ... 269
김말봉의 『찔레꽃』론 ... 273
해학과 비수(匕首)의 미학 - 김유정의 「봄ㆍ봄」 ... 279
1. 토속적인 것과 근대적인 것, 그 중간 지점 ... 279
2. 비화해적 결말 처리와 현실 모순의 강고함 ... 282
3. 해학적 문체와 그 환기력 ... 287
4. 웃음과 칼날, 김유정의 문학사적 위치 ... 289
분단극복과 안간 보편의 가치 탐구 - 최인훈의 『광장』 ... 291
1. '환각'(幻覺)의 세계와 그 실체의 확인 작업 ... 291
2. 밀실과 광장, 이데올로기적인 이분법 ... 295
3.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과 '사랑'의 의미 ... 299
4. 역사적 과제로서의 분단극복과 보편적 주제로서의 '사랑' ... 302
유종호의 비평 세계 - 1950~1960년대의 비평을 중심으로 ... 305
자료
1980년대 문학비평 자료 ... 315
안함광 평론 ... 344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