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6
제1장 국어교육계의 원형적 구조와 문학교육의 논리 ... 17
1. 홀대받는 과목과 줄어드는 상상력 : 국어교육사와 역사적 상상력 ... 17
2. 미군정기 국어교육계의 형성 과정 ... 19
1) 국어교육계 형성 과정의 외적 맥락 ... 20
2) 국어교육계의 역학 : 조선어학회의 좌우합작 노선과 그 좌절...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6
제1장 국어교육계의 원형적 구조와 문학교육의 논리 ... 17
1. 홀대받는 과목과 줄어드는 상상력 : 국어교육사와 역사적 상상력 ... 17
2. 미군정기 국어교육계의 형성 과정 ... 19
1) 국어교육계 형성 과정의 외적 맥락 ... 20
2) 국어교육계의 역학 : 조선어학회의 좌우합작 노선과 그 좌절 ... 38
3) 국어교육개혁론의 담론 구조 : 민족주의와 민주주의의 국어교육적 기능 ... 57
3. 『중등국어교본』의 가치체계와 문학교육의 논리 ... 67
1) 『중등국어교본』의 편찬 과정과 순정우익(純正右翼)의 노선 ... 68
2) 문학교육의 논리 : 시 장르 집중과 진혼(鎭魂)의 기능 ... 83
4. 미군정기 국어교육 개혁 과정의 역사적 의미 ... 97
제2장 '문학사적 평가'에서 '성장의 시학'으로 ... 99
1. 성장시 연구의 필요성 ... 99
2. 성장시의 구조 ... 104
1) 성장시의 원형 : 기형도의 「위험한 家系ㆍ1969」 ... 104
2) '시적 자아와 서술주체의 분리'의 문화적 의미 ... 106
3) 성장의 동인 : 격리 불안 ... 109
4) 정체성과 '겨울'의 시간 의식 ... 114
5) 동일시와 거부의 내적 모순 ... 116
3. 성장시의 변증법 ... 118
1) 반(反)성장과 '최초의 아버지' ... 118
2) 건전한 맹목과 신화적 동일시 ... 125
4. 성장시의 문학교육적 의미 ... 129
제3장 임화 시의 성장시적 특성과 도덕적 사고의 발달 ... 133
1. 문학교육의 정당성과 청소년의 역사적 특수성 ... 133
2. 임화 시 해석 관점의 전환 : 성장시로서의 임화 시 ... 142
3. 임화 시의 성장시적 특성(1) : 근대 지식 학습자의 내면 세계 형상화 ... 146
4. 임화 시의 성장시적 특성(2) : 배역시 양식과 도덕적 사고의 발달 ... 156
5. 역사의 주체와 성장의 변증법 ... 166
제4장 일제강점기 시의 교육 내용과 방법의 재구성 ... 169
1. 문제제기 ... 169
2. 일제강점기 시의 교육 내용과 쟁점 ... 172
1) 시의 개념 교육 차원에서의 쟁점 ... 172
2) 시문학사 교육 차원에서의 쟁점 ... 176
3. 일제강점기 시의 교육 방법 재구성 ... 190
1) 문학사 쓰기 활동 : 엮어 읽기와 창의적 태도 ... 191
2) '자기의 문학사' 쓰기 활동 : 성장의 시학과 정체성 형성 ... 193
3) 비평사적 논쟁과 작품 엮어 읽기 활동 : 문학사적 주체의 형성 ... 196
4. 일제강점기 시에 대한 교육의 전망 ... 197
제5장 창의성 신장을 위한 시교육과정 ... 199
1. 창의성 교육 담론 비판 : '天使'냐 '이데올로기'냐 ... 199
2. 창의성의 과정과 구성요소 : 체계이론적 관점 ... 205
3. 창의성 신장을 위한 시교육과정 구성 방향 ... 212
1) '시적 창의성'의 개념과 시교육 목표로서의 창의성의 위치 ... 213
2) 창의성 신장을 위한 시교육 방법 : 역할, 권한부여(empowerment), 세대론 ... 216
3) 창의성 신장을 위한 시교육 내용 체계 ... 225
4) 창의성 신장을 위한 시교육과 평가 : 평가의 자유 영역 또는 책임감 ... 234
4. 결론 : 창의적 시 학습자의 형상 ... 238
제6장 멀티-버시티에서의 문학교육 방법 ... 241
1. 서론 ... 241
2. 멀티미디어 시대, 블로그 세대 그리고 멀티 - 버시티(multi-versity) ... 242
3. 멀티 - 버시티에서의 문학교육의 지표들 ... 249
1) '개인적 지식' 생산 방법으로서의 '이론화(theorizing)' ... 249
2) 비평 과정의 개방화를 통한 '문학 생활화' ... 252
3) '권한부여(empowerment)'를 통한 '역사적 주체화' ... 255
4. 결론 ... 259
참고문헌 ... 260
찾아보기 ... 268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