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1부 생활환경과 주거의 의미
1 환경으로서의 주택
1.1 인간생활과 환경 ... 15
1.1.1 환경의 의미 ... 15
1.1.2 환경의 유형 ... 16
1.1.3 인간과 환경의 관계 ... 18
1.2 인공환경 : 주택의 발생 ... 21
1.2.1 주택의 발생과정 ....
더보기
목차 전체
1부 생활환경과 주거의 의미
1 환경으로서의 주택
1.1 인간생활과 환경 ... 15
1.1.1 환경의 의미 ... 15
1.1.2 환경의 유형 ... 16
1.1.3 인간과 환경의 관계 ... 18
1.2 인공환경 : 주택의 발생 ... 21
1.2.1 주택의 발생과정 ... 21
1.2.2 초기주택의 형태와 변화 ... 24
1.3 생활, 주택의 의미 ... 28
1.3.1 생활환경으로서의 주택 ... 28
1.3.2 주택의 의미 : 집있음과 집없음 ... 30
2 문화현상으로서의 주택
2.1. 주거와 문화 ... 35
2.1.1 환경과 문화 ... 35
2.1.2 주거문화 ... 36
2.2 주택형태와 문화 ... 40
2.2.1 물리적 요인과 주택형태 ... 41
2.2.2 경제적 요인과 주택형태 ... 46
2.2.3 사회문화적 요인과 주택형태 ... 48
2.2.4 주택형태에 대한 결정론적 견해의 비판 ... 53
3 동서양의 이상향, 유토피아
3.1. 유토피아 ... 57
3.1.1 유토피아 : 지속하는 인간의 희망 ... 57
3.1.2 유토피아 / 디스토피아 ... 60
3.2 동양과 서양의 유토피아 ... 62
3.2.1 동양의 유토피아 ... 62
3.2.2 서양의 유토피아 :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 - 공간의 구성 ... 64
3.2.3 현실 반영으로서의 유토피아 ... 66
3.3 서양 근대사회와 이상도시 ... 67
3.3.1 서양 근대도시의 상황과 주거생활 ... 67
3.3.2 근대적 이상도시 구상의 전개 ... 72
3.4 이상도시 사례와 공간적 특성 ... 73
3.4.1 이상도시의 사례 ... 73
3.4.2 이상도시의 공간적 특성 ... 78
3.4.3 실천으로서의 이상도시 ... 80
4 한국의 전통 주거관
4.1 전통 주거문화의 배경 ... 85
4.1.1 유교사상(성리학) ... 85
4.1.2 풍수지리 ... 88
4.2 임원경제지를 통해서 본 전통 주거관 ... 90
4.2.1 임원경제지 '상택지(相宅志)' 연구의 의의 ... 90
4.2.2 임원경제 상택지의 주거관 ... 92
4.3 도산서당을 통해서 본 퇴계(退溪)의 주거관 ... 94
4.3.1 성리학자의 주거관 ... 95
4.3.2 퇴계의 주거관과 도산서당 ... 97
2부 주거건축의 이해
5 한국의 전통마을
5.1 마을의 입지와 영역구성 ... 108
5.1.1 마을 입지의 요인 ... 108
5.1.2 마을의 영역 ... 110
5.2 씨족마을의 공간구조 ... 114
5.2.1 씨족마을의 개념 ... 114
5.2.2 씨족마을의 공간구성요소 ... 116
5.2.3 씨족마을의 공간구조 ... 120
5.3 전통마을 연구의 교훈 ... 126
5.3.1 공동사회적 특성 ... 126
5.3.2 환경친화성 ... 127
6 한국 전통주거의 특성
6.1 전통주택의 유형 ... 133
6.1.1 전통주택의 평면형 ... 133
6.1.2 주택유형의 성격 ... 134
6.2 전통주택의 배치와 공간구성 ... 138
6.2.1 전통주택의 배치 ... 138
6.2.2 전통주택(양반주택)의 공간구성 ... 140
6.3 전통 주택의 구조와 미학 ... 143
6.3.1 기본 구조방식 ... 143
6.3.2 한옥의 구조적 합리성과 미학 ... 146
6.4 전통 주거공간의 이용패턴 ... 149
6.4.1 생애주기(life cycle)와 주거공간의 대응 ... 149
6.4.2 공간이용의 특성 ... 150
6.4.3 연경당(演慶堂)의 사례 ... 151
7 동아시아의 전통 주거문화
7.1 중국의 전통 주거문화 ... 158
7.1.1 중국 주거문화의 배경 ... 158
7.1.2 사합원의 공간구성과 구조방식 ... 162
7.1.3 토루의 공간구성과 구조방식 ... 172
7.2 일본의 전통 주거문화 ... 177
7.2.1 일본 주거문화의 배경 ... 177
7.2.2 일본 주택의 형태 ... 181
7.2.3 일본 전통주택의 유형 ... 183
7.2.4 일본 전통 주거공간의 이용패턴 ... 191
8 서양 근대주택의 형성과 전개
8.1 서양 근대주택의 이해 ... 195
8.1.1 특이한 경험으로서이 서양 근대주택 ... 195
8.1.2 서양 근대주택 이해의 의의 ... 197
8.1.3 서양 근대주택의 이해 방식 : 두 가지 흐름 ... 198
8.2 산업혁명과 장식으로의 회귀 ... 202
8.2.1 아르누보 : 장식적 경향의 대두 ... 202
8.2.2 아르누보 경향의 전개 ... 207
8.3 장식 배제와 기계미학의 확산 ... 210
8.3.1 장식 배제의 경향 : 장식은 죄악 ... 210
8.3.2 기계 미학의 확산 : 르 꼬르뷔제 ... 212
8.3.3 고층 아파트, 일자형 아파트의 성립 ... 213
8.3.4 에스페란토어로서의 주택 ... 217
9 한국 근대주택의 형성과 전개
9.1 한국에서의 근대성, 근대주택 ... 221
9.1.1 근대화와 전통의 갈등 ... 221
9.1.2 한국에서의 근대주택 ... 223
9.2 새로운 주택형식의 유입과 변용 ... 224
9.2.1 초기 서양주택 ... 224
9.2.2 유입주택의 변용 : 일식주택의 변화 ... 226
9.2.3 한옥의 변호 ... 227
9.2.4 초기 유입 주택의 영향 ... 230
9.3 새로운 주택형식의 모색 : 시행착오와 정착 ... 231
9.3.1 세 가지 주요 주택 형식 ... 231
9.3.2 새로운 주택 유형의 특성 ... 237
9.3.3 주택유형 간의 융합 ... 239
9.3.4 시행착오와 정착의 방식 ... 241
9.3.5 우리나라 주택의 변화와 해석 ... 246
10 공동주택의 특성과 주거환경의 질
10.1 주택 생산방식의 유형과 공동주택 ... 249
10.1.1 주택의 생산방식 ... 249
10.1.2 비관계 생산방식의 특징 ... 253
10.2 주택의 구성 시스템과 획일성 / 다양성 ... 255
10.2.1 주택의 구성 시스템 : 단계별 구성요소의 조합 ... 255
10.2.2 전문가와 거주자의 통제권한 배분방식 ... 257
10.3 주택 생산방식과 주거환경의 질 ... 259
10.3.1 주거환경의 질 ... 259
10.3.2 주거환경의 질과 통제권의 배분 ... 261
10.4 공동주택 : 갈등의 발생과 조정 ... 263
10.4.1 공동주택의 생산성과 주거환경의 질 ... 263
10.4.2 갈등 타협의 모델 ... 264
10.4.3 주거환경의 질과 전망 ... 269
3부 주거문화의 비판과 전망
11 주거와 도시
11.1 주택과 도시의 관계 ... 275
11.1.1 마을과 도시의 의미 ... 275
11.1.2 주택을 포함한 체계로서의 마을과 도시 ... 277
11.2 주택 - 마을 체계 ... 279
11.2.1 '주택 - 마을 체계'의 개념 ... 279
11.2.2 주택 - 마을 체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283
11.2.3 주택유형의 의미 ... 287
11.3 아시아의 전통 도시주택 ... 289
11.3.1 도시주택 ... 289
11.3.2 한국의 도시와 도시주택 ... 290
11.3.3 중국의 도시와 도시주택 ... 292
11.3.4 일본의 도시와 도시주택 ... 295
11.3.5 도시주택과 도시문화 ... 298
12 주택단지와 도시공동체
12.1 도시화의 진전과 공동체 의식 ... 303
12.1.1 도시화와 공동체 해체 현상 ... 303
12.1.2 도시 공간시스템에 대한 해석과 공동체 ... 305
12.2 주거환경과 도시 공동체의 형성 ... 312
12.2.1 새로운 도시 공동체의 모색 필요성 ... 312
12.2.2 주거환경을 통한 도시공동체 형성의 모색 ... 315
12.2.3 공동체 형성의 물리적 키워드 : 융합과 관계의 설정 ... 318
13 전통주거와 현대주거
13.1 전통과 주거 ... 326
13.1.1 전통의 의미 ... 326
13.1.2 주거에 있어서 전통성 논의의 전개 ... 329
13.2 현대주거의 전통성 ... 332
13.2.1 현대주거의 일반적 특성 ... 332
13.2.2 전통주택의 발전과 굴절 ... 333
13.2.3 현대주거에서의 전통성 모색 ... 338
13.3 전통성을 살린 현대주거의 사례 ... 340
13.3.1 건축가 승효상의 수졸당(守拙堂) ... 340
13.3.2 베이징의 쥐얼후통(菊兒胡同) ... 343
14 미래주택의 방향
14.1 미래주택의 이해와 문제점 ... 351
14.1.1 미래사회에 대한 긍정, 부정적 예감 ... 351
14.1.2 미래사회, 미래주택에 대한 예측의 문제점 ... 353
14.2 미래주택의 변화 ... 356
14.2.1 미래주택 변화에 대한 이해 1 : 영향요인의 파악 ... 356
14.2.2. 미래주택 변화에 대한 이해 2 : 주변적 요소와 본질적 요소 ... 358
14.2.3 미래주택 변화에 대한 이해 3 : 상반된 생활요구의 대립과 복합 ... 359
14.3 미래주택의 전개방향 ... 361
14.3.1 미래주택 예측의 의의 ... 361
14.3.2 미래주택의 변화 예측 ... 362
14.3.3 미래주택의 전망 ... 374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