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 머리에 ... 5
1장 민요의 이론적 기초와 전개
민요의 개념적 이해 ... 14
1. 민요의 개념과 특징 ... 14
2. 한국민요의 역사적 전개 ... 16
3. 한국 민요 채록사 개관 ... 19
4. 민요의 분류 ... 23
5. 민요의 가창방식 ... 38
6. 민요의 율격 ...
더보기
목차 전체
책 머리에 ... 5
1장 민요의 이론적 기초와 전개
민요의 개념적 이해 ... 14
1. 민요의 개념과 특징 ... 14
2. 한국민요의 역사적 전개 ... 16
3. 한국 민요 채록사 개관 ... 19
4. 민요의 분류 ... 23
5. 민요의 가창방식 ... 38
6. 민요의 율격 ... 39
7. 민요의 구비시적 특성과 내용 ... 42
8. 민요의 현재와 미래 ... 46
민요의 구연 방식과 기능의 상관 ... 49
1. 논의의 전제 ... 49
2. 구연 방식의 변인 ... 51
3. 구연 방식별 기능상 ... 55
4. 마무리 ... 67
민요 조사 방법의 회고와 전망 ... 70
1. 민요 조사 방법의 여러 관점 ... 70
2. 있을 수 있게 한 상황에 관한 것 ... 75
3. 소리 자체에 관한 것 ... 84
4. 마무리 ... 90
생산과 전승적 측면에서 본 민요의 현재와 내일 ... 93
1. 서론 ... 93
2. 생산축의 변이 ... 95
3. 사회적 상황과 연행 현장 ... 101
4. 전파와 전승 ... 105
5. 결론 ... 107
민요론 강의의 범주와 계획 ... 110
1. 강의의 상황 설정 ... 110
2. 교재에 관한 문제 ... 112
3. 강의의 전반적인 틀 ... 124
4. 강의의 계획과 개요 ... 127
5. 남은 말 ... 132
2장 장례의식요의 존재양상
장례의식요의 기원과 현상 ... 136
1. 서론 ... 136
2. 〈상여소리〉의 기원과 변천 ... 137
3. 〈상여소리〉의 민요상의 위상 ... 141
4. 〈상여소리〉의 유형별 특성 ... 147
5. 〈상여소리〉에 나타난 내세관 ... 158
6. 결론 ... 159
장례의식요의 의식구조내적 기능 ... 161
1. 서론 ... 161
2. 〈하직소리〉의 구조내적 기능 ... 163
3. 〈도착소리〉의 구조내적 기능 ... 169
4. 〈성분소리〉의 양상과 기능 ... 171
5. 결론 ... 181
〈상여소리〉의 판소리 편입 양상 ... 184
1. 논의의 관점과 범주 설정의 문제 ... 184
2. 편입 상여소리의 구조 내적 기능 ... 186
3. 전승 요사와 편입 요사의 거리 ... 198
4. 마무리 ... 210
3장 경남 지역 민요의 전승양상
경남 민요의 분포와 요사적 특징 ... 214
1. 머리말 ... 214
2. 경남 민요의 종류 ... 216
3. 경남민요의 내용과 특징 ... 218
4. 마무리 ... 237
경남 민요의 별양성 ... 240
1. 서론 ... 240
2. 노동요의 양면성 ... 241
3. 의식요의 유희화 ... 247
4. 유희요의 다양성 ... 249
5. 단일기능요의 여성 취향성 ... 251
6. 결론 ... 253
사천시 민요의 전승양상 ... 255
1. 전승 현장 및 현장 접근 시각 ... 255
2. 전승자 연령의 변이 추이 ... 257
3. 전승자의 민요 수용 양상 ... 261
4. 전승 장르의 분포와 변이 ... 264
5. 마무리 ... 269
남해군 민요의 현상과 특성 ... 272
1. 전제적 제언 ... 272
2. 기존 자료와 그 성격 ... 274
3. 민요의 분포와 그 의미 ... 277
4. 전남 민요의 전이 양상 ... 282
5. 요사의 지역적 특성 ... 287
6. 마무리 ... 291
4장 민요의 의식과 세계관
〈모심기소리〉에 표현된 부녀 콤플렉스와 남매 콤플렉스 ... 296
1. 서론 ... 296
2. 부모 자녀 관계의 복합성 ... 297
3. 흔척 가족 관계의 성격 ... 301
4. 형제자매 사이의 일반적 경향 ... 304
5. 남매 관계의 콤플렉스화 요인 ... 306
6. 결론 ... 313
민요에 나타난 육담의 의식과 세계관 ... 315
1. 서론 ... 315
2. 화자와 세계의 열린 통로 ... 318
3. 자위적 기능의 강화 수단 ... 327
4. 기풍(祈豊)을 위한 주언성(呪言性) ... 330
5. 성적 호기심의 외현 ... 332
6. 결론 ... 334
한국 민요에 나타난 죽음 의식(意識) ... 337
1. 서론 ... 337
2. 죽음의 해석 논리 ... 338
3. 수단과 목적으로서의 죽음 ... 348
4. 사후세계의 형상화 ... 355
5. 결론 ... 359
5장 후렴의 변이양상
〈상여소리〉 후렴의 변이양상 ... 364
1. 서론 ... 364
2. 자료 제시 ... 365
3. 후렴소의 변이양상 ... 379
4. 결론 ... 393
〈아리랑〉 후렴의 변이양상 ... 396
1. 서론 ... 396
2. 유형의 구조 ... 398
3. 후렴소의 변이 ... 409
4. 결론 ... 422
6장 민요의 시적 수용
〈귀하가(龜何歌)〉의 의식구조내적 의미 ... 428
1. 서론 ... 428
2. 논의의 전제 ... 431
3. 의식 구조의 상관성 ... 433
4. 〈귀하가〉의 기능과 의미 ... 446
5. 변이 수용의 사회사적 배경 ... 452
6. 결론 ... 457
다산시(茶山詩)의 민속수용 양상 ... 460
1. 서론 ... 460
2. 대립적 구조로서의 현실 인식 ... 462
3. 민속적 편린 ... 466
4. 결론 ... 484
참고문헌 ... 486
찾아보기 ... 49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