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부 학문과 사상
목은(牧隱) 이색(李穡)과 나옹선사(懶翁禪師)의 사상적 만남 / 고혜령
1. 들어가는 말 ... 15
2. 이색의 불교관 ... 16
3. 이색과 나옹선사 ... 23
4. 이색과 나옹선사의 제자들 ... 32
5. 나가는 말 ... 38
조선시대 유교적 의리관과 갈등 관...
더보기
목차 전체
제1부 학문과 사상
목은(牧隱) 이색(李穡)과 나옹선사(懶翁禪師)의 사상적 만남 / 고혜령
1. 들어가는 말 ... 15
2. 이색의 불교관 ... 16
3. 이색과 나옹선사 ... 23
4. 이색과 나옹선사의 제자들 ... 32
5. 나가는 말 ... 38
조선시대 유교적 의리관과 갈등 관리 / 최봉영
1. 논의에 들어가며 ... 43
2. 신분사회와 지배층 중심의 의리 ... 44
3. 의리의 규범화와 윤리적 실현 ... 55
4. 갈등의 방지와 해소 ... 61
김영유의 생애와 정치사상 / 류주희
1. 머리말 ... 69
2. 생애와 정치활동 ... 71
3. 정치사상 : 『육선공주의』를 중심으로 ... 79
4. 맺음말 ... 91
기호사림파(畿湖士林派)의 일연구(一硏究) / 이상태
1. 머리말 ... 93
2. 김세필의 생애 ... 94
3. 김세필의 교유관계 ... 112
4. 김세필의 사상 ... 139
5. 맺음말 ... 153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교육사상 / 박익환
1. 머리말 ... 155
2. 교육이념론(敎育理念論) ... 157
3. 교육목적론(敎育目的論) ... 166
4. 교육과정(敎育課程) 및 방법론(方法論) ... 178
5. 맺음말 ... 189
역관 홍순명(洪舜明)의 경력과 저작 『왜어유해(倭語類解)』 / 이상규
1. 머리말 ... 191
2. 편찬자 홍순명의 가계(家系)와 경력 ... 194
3. 『왜어유해』의 편찬시기 검토 ... 208
4. 맺음말 ... 223
조선 중·후기 실학자의 해로무역육성론(海路貿易育成論) / 이헌창
1. 문제의 제기 ... 227
2. 연구사의 정리 ... 229
3. 해로무역육성론의 계보 ... 232
4. 해로무역육성론의 대두 배경 ... 234
5. 해로무역 실태에 대한 파악 ... 242
6. 해로무역 금지의 부정적 영향 내지 해로무역 육성의 긍정적 효과 ... 245
7. 해로무역 금지의 논리 ... 251
8. 해로무역의 육성방안 ... 261
9. 해로무역육성론의 평가와 향후 과제 ... 263
『동사세가』에 나타난 홍석주의 역사인식 / 박인호
1. 머리말 ... 267
2. 『동사세가』의 구성과 편찬목적 ... 269
3. 『동사세가』에 나타난 역사인식 ... 275
4. 맺음말 : 사학사적 의의 ... 285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교유관계와 인맥 / 김봉곤
1. 머리말 ... 287
2. 가계(家系) 및 가세(家勢) ... 290
3. 교유관계 ... 298
4. 중앙정계와의 관계 ... 312
5. 맺음말 ... 323
제2부 문학과 예술
매월당 김시습의 성리학적 사유와 소설미학 / 안동준
1. 들머리 ... 329
2. 조선초기 유학의 계보와 매월당의 위상 ... 332
3. 기일원론적 사유의 전개와 귀신론의 의미 ... 336
4. 발분론과 전(傳)의 서술의식 ... 345
5. 성리학적 사유의 소설미학적 변용 ... 357
6. 마무리 ... 362
오정석(吳廷碩)의 삶과 작품세계 / 윤호진
1. 머리말 ... 365
2. 신준(神駿)과 백운자(白雲子), 그리고 오정석 ... 366
3. 오정석 시의 원본확정(原本確定)과 모방여부(模倣與否) ... 373
4. 오정석 시의 평가 및 작품세계 ... 377
5. 맺음말 ... 387
조선후기 천주가사(天主歌辭) 작자와 저작 편수에 대한 연구 / 차기진
1. 머리말 ... 389
2. 천주가사집과 수록 가사 ... 391
3. 천주가사의 작자와 저작 편수 ... 400
4. 맺음말 ... 412
조선민화연구의 과제와 방향 / 정병모
1. 머리말 ... 415
2. 민화의 정의 ... 417
3. 민화의 수요 ... 420
4. 불화와 민화의 관계 ... 423
5. 민화와 길상화의 관계 ... 425
6. 조선적 상징세계 ... 427
7. 민화와 풍속화의 관계 ... 430
8. 동아시아 민간회화와 조선민화 ... 432
9. 맺음말 ... 434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