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 머리에 ... 3
<B><FONT color ... #0000
1. 문화의 존재양식과 국제적 문화교류 ... 11
2. 민속문화와 만나는 외래문화의 층위 ... 18
3. 의식주 생활과 외래문화 만남의 나타남새 ... 27
4. 외래문화에 의한 의식주 생활의 변화 원인 ... 35
5. 민속신앙과 외래문화 만남의 숨김새 ......
더보기
목차 전체
책 머리에 ... 3
<B><FONT color ... #0000
1. 문화의 존재양식과 국제적 문화교류 ... 11
2. 민속문화와 만나는 외래문화의 층위 ... 18
3. 의식주 생활과 외래문화 만남의 나타남새 ... 27
4. 외래문화에 의한 의식주 생활의 변화 원인 ... 35
5. 민속신앙과 외래문화 만남의 숨김새 ... 41
6. 민속신앙과 기독교의 상생적 만남 ... 50
7. 민속문화와 외래문화의 변증법적 만남 ... 59
전통민요의 외래가요 수용양상 / 이창식
1. 머리말 ... 65
2. 전통민요의 근대적 변화과정과 '신'가요군의 등장 ... 66
3. 전통민요의 위기와 외래가요 수용의 문제점 ... 71
4. 전래동요의 대응과 일본적 수용의 문제점 ... 82
5. 맺음말 ... 88
상투와 단발령 그리고 하이카라머리 / 이상현
1. 시작하며 : 근대화와 우리 민족의 머리카락 ... 93
2. 전통사회에서 머리카락의 의미 ... 96
3. 변화의 시대와 머리카락의 의미변화 ... 102
4. 일제시대 조선 남성들의 새로운 두발형태 ... 106
5. 마무리 : 계급과 부정의 상징에서 세대와 저항의 상징으로 ... 113
불교 전래에 따른 화장(火葬)의 수용 양상과 변화요인 / 구미래
1. 시작하는 글 ... 117
2. 불교사상에 따른 화장의 본래적 의미 ... 119
3. 죽음과 장례에 대한 고대인들의 인식 ... 122
4. 불교 유입경로에 따른 각국의 생사관과 불교식 상장례 ... 126
5. 불교 유입에 따른 화장의 주체적 수용 ... 129
6. 유교이념에 따른 화장의 타율적 배척 ... 135
7. 일제 식민정책에 따른 화장의 타율적 수용 ... 139
8. 식민문화 잔재로서 화장의 자율적 배척 ... 141
9. 현대사회에서 화장의 자율적 재수용과 그 의미 ... 142
'몸뻬'를 통해 본 의생활의 전통과 외래문화 / 조희진
1. 머리말 ... 147
2. 의생활 변화와 몸뻬 - 근원과 전래 ... 149
3. 인식의 변화와 몸뻬 - 수용과 정착 ... 154
4. 몸뻬의 의미 전환과 상징성 획득 ... 159
5. 맺음말 ... 164
외래문화인 수차(水車)와 민속문화인 물레방아의 관계 / 김재호
1. 물레방아와 수차(水車)를 언급하는 까닭 ... 167
2. 수차와 물레방아의 같고 다른 점 ... 168
3. 중국 수차의 한국 보급 추이와 수리정책의 변화과정 ... 171
4. 수차보급의 실패와 외래문화의 수용조건 ... 174
5. 외래문화의 수차가 우리의 물레방아로 거듭나기 ... 178
6. 농기구의 명명법(命名法)으로 본 물레방아와 수차의 관계 ... 181
호주 원주민의 생활과 식민지의 영향 / 이숙희
1. 접근의 어려움 ... 185
2. 호주의 선역사와 유럽인 정착에 따른 초기의 영향 ... 186
3. 원주민에 대한 정부의 다양한 정책 ... 188
4. 훔친 세대와 땅에 관한 권리 그리고 미래 ... 193
외래문화 전래에 따른 한국 민속춤의 변모 양상 / 이애주
1. 들어가는 말 ... 195
2. 역사 초기 춤의 근원적 양상 ... 196
3. 봉건시대의 전문적 춤 ... 197
4. 일제 식민지 시대의 춤의 왜곡 ... 199
5. 서구문화의 전래에 따른 춤의 파괴 ... 202
6. 현대 자본과 춤의 상업화 ... 204
7. 맺음말 ... 20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