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5
다스름 ... 19
제1장 내드름 ... 23
1.1. 연구 목적 ... 24
1.2. 연구 개요 ... 27
1.3. 현지조사 ... 29
제2장 한국 무악 연구사 ... 35
2.1. 학문적 체계의 형성기(1900-1945년) ... 35
2.2. 학문적 토대의 확립기(1945-1960년대 후반) ... 4...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5
다스름 ... 19
제1장 내드름 ... 23
1.1. 연구 목적 ... 24
1.2. 연구 개요 ... 27
1.3. 현지조사 ... 29
제2장 한국 무악 연구사 ... 35
2.1. 학문적 체계의 형성기(1900-1945년) ... 35
2.2. 학문적 토대의 확립기(1945-1960년대 후반) ... 41
2.3. 학문적 연구로의 전환기(1969-1970년대) ... 43
2.4. 학문적 연구의 발전기(1980년대) ... 46
2.5. 학문적 연구의 성숙기(1990년대 이후) ... 51
2.6. 한국 무악 연구의 과제 ... 57
제3장 한국 무교의 역사 ... 59
3.1. 한국 무교의 기원 ... 60
3.2. 중심종교: 고대부족국가로부터 남북국시대까지 ... 62
3.3. 주변종교: 고려시대부터 일제 강점기까지 ... 69
3.4. 민족종교: 해방 이후 현재까지 ... 79
3.4.1. 무교의 화석화 ... 80
3.4.2. 신명의 의례화 ... 87
3.5. 무악의 앞날 ... 89
제4장 의물과 의례 연행자 ... 93
4.1. 소리를 만드는 기구 ... 93
4.2. 의례의 소도구: 무구(巫具) ... 104
4.3. 의례 연행자: 만신(萬神) ... 108
4.3.1. 매물이 만신 ... 109
4.3.2. 선회 만신 ... 115
4.3.3. 민개비 삼촌 ... 118
4.4. 의례 보조자: 악사(樂士) ... 122
제5장 무교 의례: 굿의 민족지 ... 127
5.1. 재수굿의 배경 ... 128
5.2. 굿의 실제 ... 131
5.2.1. 첫째날: 산치성과 준비 ... 132
5.2.2. 둘째날: 재수굿 ... 139
제6장 굿의 구조와 상징 ... 211
6.1. 굿의 상징 1: 무복(巫服) ... 213
6.2. 굿의 상징 2: 무신도(巫神圖) ... 216
6.3. 굿의 상징 3: 무가(巫歌) ... 220
6.4. 굿의 구조와 상징 ... 222
제7장 무가의 작시 원리와 상징 ... 225
7.1. 무가의 구조 ... 226
7.2. 무가의 관용적 작시 원리 ... 230
7.3. 무가의 의미와 상징 ... 236
제8장 무가의 음악 만들기 ... 239
8.1. 무가 만들기: 만세바지 ... 240
8.2. 세틀(三機)로 늘이기 ... 253
8.2.1. 긴만세바지 ... 254
8.2.2. 자진만세바지 ... 261
8.3. 노래 만들기 ... 264
8.3.1. 노래 만들기 1: 동곡이명(同曲異名) ... 265
8.3.2. 노래 만들기 2: 모곡(母曲)과 자곡(子曲), 탁곡(度曲) ... 267
8.4. 그 외의 무가 ... 273
8.5. 통속민요 ... 282
8.6. 황해도 무가의 제의성과 오락성 ... 287
제9장 마무리 ... 291
뒤풀이 ... 295
부록 ... 297
참고문헌 ... 303
찾아보기 ... 31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