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3
Ⅰ. 국어교과교육의 실상과 전망 ... 11
1. 교육과정과 국어교과교육 ... 11
1) 교육과정 ... 11
2) 국어교과교육 ... 13
2. 국어교과교육과 문학연구 ... 17
1) 신화교육 ... 19
2) 통일교육 ... 22
3) 시가교육 ... 24
Ⅱ. 국어교과...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 3
Ⅰ. 국어교과교육의 실상과 전망 ... 11
1. 교육과정과 국어교과교육 ... 11
1) 교육과정 ... 11
2) 국어교과교육 ... 13
2. 국어교과교육과 문학연구 ... 17
1) 신화교육 ... 19
2) 통일교육 ... 22
3) 시가교육 ... 24
Ⅱ. 국어교과교육과 신화교육 ... 29
1. 신화교육론 ... 29
1) 신화교육의 현장 ... 29
2) 신화 연구성과의 교육방안 ... 36
2. 건국신화의 신성성 ... 42
1) 머리말 ... 42
2) 불을 통해 본 신성성 ... 44
3) 빛을 통해 본 신성성 ... 51
4) 맺음말 ... 61
3. 건국신화의 신과 인간의 관계 ... 62
1) 머리말 ... 62
2) 신의 이름 ... 63
3) 인간의 숭앙태도 ... 74
4) 맺음말 ... 86
4. 건국신화와 축제문화 ... 88
1) 머리말 ... 88
2) 신화의 통과의례와 축제 ... 89
3) 제천의례ㆍ동제와 축제 ... 101
4) 맺음말 ... 107
5. 건국신화와 삼산신앙 ... 110
1) 머리말 ... 110
2) 삼산신앙의 실체와 의미 ... 111
3) 삼산신앙과 팔관회 ... 118
4) 삼산신앙과 도교 ... 127
5) 삼산신앙의 일본 이식 ... 131
6) 맺음말 ... 138
Ⅲ. 국어교과교육과 통일교육 ... 141
1. 통일교육론 ... 141
1) 통일교육의 현장 ... 141
2) 북한 문학 연구성과의 교육방안 ... 147
2. 북한의 전통문화 계승실태와 통일문화 수립방안 ... 151
1) 머리말 ... 151
2) 통일문화 수립과 민족문화 창달 ... 153
3) 북한의 전통문화 계승실태 ... 156
4) 남북한 문화공동체 수립방안 ... 172
5) 맺음말 ... 180
3. 북한 설화집의 체재와 성격 ... 182
1) 머리말 ... 182
2) 김일성 전설집의 체재와 성격 ... 184
3) 일반전설집의 체재와 성격 ... 236
4) 남ㆍ북한 설화집의 상동성과 변이성 ... 253
5) 맺음말 ... 268
Ⅳ. 국어교과교육과 시가교육 ... 279
1. 시가교육론 ... 279
1) 시가 교육의 현장 ... 279
2) 시가 연구성과의 교육방안 ... 285
2. 원왕생가와 구도적인 삶 ... 290
1) 머리말 ... 290
2)「광덕 엄장」조의 구조와 이상성취 방식 ... 292
3) 감통ㆍ감옹의 의미 ... 298
4) 〈원왕생가〉의 위상과 의미 ... 303
5) 맺음말 ... 309
3. 고려속요와 적응적인 삶 ... 311
1) 머리말 ... 311
2) 고려속요에 대한 비판 ... 313
3) 고려속요의 수용과 전승 ... 324
4) 맺음말 ... 343
4. 정선아리랑과 진솔한 삶 ... 347
1) 머리말 ... 347
2) '딸림노래'의 각편 생성원리 ... 348
3) '독립노래'의 각편 생성원리 ... 363
4) 맺음말 ... 377
찾아보기 ... 38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