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간행사 ... ⅲ
머리말 ... ⅴ
일러두기 ... xxii
제1장 교육학의 근본문제 ... 1
1.1. 교사양성과의 기연 ... 5
1.1.1. 문제사태에 대한 깨달음의 계기 ... 5
1.1.2. 계보학적 검토 ... 15
1.1.3. 교직과목으로서 교육학 ... 22
1.2. 정체불명의 학문 ... 27
1.2.1. ...
더보기
목차 전체
간행사 ... ⅲ
머리말 ... ⅴ
일러두기 ... xxii
제1장 교육학의 근본문제 ... 1
1.1. 교사양성과의 기연 ... 5
1.1.1. 문제사태에 대한 깨달음의 계기 ... 5
1.1.2. 계보학적 검토 ... 15
1.1.3. 교직과목으로서 교육학 ... 22
1.2. 정체불명의 학문 ... 27
1.2.1. 분과학문의 조건 ... 27
1.2.2. 외래학문의 무분별한 유입 ... 37
1.2.3. 주인 없는 지대의 분쟁 ... 45
1.3. 곤궁한 학문공동체의 지위 ... 49
1.3.1. 정치적 장식물 ... 49
1.3.2. 백화점 안의 잡화상 ... 51
1.3.3. 대학공동체의 경멸 ... 54
1.3.4. 교육학자의 대표적인 항변 ... 60
1.3.5. 세 가지 오류의 유형 ... 66
1.3.6. 고유한 이론의 부재 ... 72
1.4. 응용의 저조한 실적 ... 78
1.4.1. 야누스적 적응 ... 78
1.4.2. 응용학문의 진로선택 ... 83
1.4.3. 교사양성 ... 88
1.4.4. 정책제안 ... 93
1.4.5. 연구와 개발 ... 95
1.5. 교육학과 교육의 대립 ... 100
1.5.1. 잘못 끼워진 단추 ... 100
1.5.2. 교육에 대한 개념의 왜곡과 혼란 ... 104
1.5.3. 자율적인 교육학 출현의 억제 ... 113
1.5.4. 원점에서 다시 시작 ... 118
제2장 교육연구의 새 지평 ... 129
2.1. 두 가지 연구영역의 구분 ... 132
2.1.1. 학교와 교육의 범주적 차이 ... 132
2.1.2. 차이에 대한 대표적인 관점 ... 139
2.1.3. 자율적 개념정립을 위한 타산지석 ... 148
2.2. 학교연구의 향방 ... 154
2.2.1. 개별적 사실들의 존중 ... 154
2.2.2. 야누스적 적응의 종식 ... 157
2.2.3. 학교개선학의 가능성 ... 161
2.2.4. 학교연구자와 교육연구자 ... 166
2.3. 교육연구의 기본조건 ... 170
2.3.1. 응용학문보다는 순수학문 ... 170
2.3.2. 상식의 배제 ... 177
2.3.3. 외래학문의 지식배제 ... 182
2.3.4. 교육현상 자체의 드러냄 ... 187
2.3.5. 구조의 탐색 ... 193
2.3.6. 새로운 개념과 용어의 창조 ... 198
2.4. 패러다임의 교체 ... 209
2.4.1. 제1기 교육학과 제2기 교육학 ... 209
2.4.2. 불리한 게임의 감수 ... 214
2.4.3. 자율화를 향한 모험여행 ... 222
2.4.4. 의문의 대상으로서의 교육 ... 226
2.4.5. 고유한 방법으로서의 교육 ... 232
2.4.6. 동지의식에 터한 새로운 연대 ... 240
제3장 교육의 맥락 ... 245
3.1. 정범모 선생의 교육론 ... 249
3.1.1. 우리나라의 신학교 ... 249
3.1.2. 초기의 삼부작 ... 253
3.1.3. 후기의 삼부작 ... 259
3.1.4. 극복될 과제 ... 264
3.2. 교육의 총체적 차별화 ... 280
3.2.1. 맥락의 차이 ... 280
3.2.2. 세계구분의 개략 ... 297
3.2.3. 사회화와 교육 ... 308
3.2.4. 수도계와 교육 ... 318
3.3. 교육의 이미지 ... 339
3.3.1. 용어의 선택 ... 339
3.3.2. 플라톤의 동굴의 신화 ... 344
3.3.3. 니체의 짜라투스트라 ... 349
3.4. 인간진화의 제반 측면 ... 357
3.4.1. 형성과정 속의 존재 ... 357
3.4.2. 생물적 진화 ... 360
3.4.3. 문화적 진화 ... 364
3.4.4. 교육적 진화 ... 373
3.5. 교육적 시숙 ... 386
3.5.1. 루소 ... 387
3.5.2. 몬테소리 ... 390
3.5.3. 듀이 ... 394
3.5.4. 피아제 ... 398
3.5.5. 비고츠키 ... 403
3.6. 교육활동의 실천적 성격 ... 408
3.6.1. 언어적 소통의 한계 ... 409
3.6.2. 시범과 실습 ... 417
3.6.3. 교육어의 활용 ... 426
3.7. 교육활동의 가치 ... 431
3.7.1. 내재와 외재의 구분 ... 432
3.7.2. 내재적 학습과 외재적 학습의 대비 ... 440
3.7.3. 교육의 내재적 가치 ... 447
제4장 교육의 양상 ... 459
4.1. 품위의 인식론적 측면 ... 462
4.1.1. 실증적 측면 ... 463
4.1.2. 개념적 측면 ... 471
4.1.3. 현상적 측면 ... 477
4.1.4. 해석적 측면 ... 481
4.1.5. 구조적 측면 ... 485
4.1.6. 변증법적 측면 ... 488
4.1.7. 교육적 측면 ... 495
4.2. 교육적 주체 ... 504
4.2.1. 국가주의의 문제 ... 504
4.2.2. 개인주체 ... 511
4.2.3. 내재율에 대한 심열성복 ... 521
4.3. 교육의 상황적 조건 ... 530
4.3.1. 체험적 시간과 공간의 회귀성 ... 530
4.3.2. 동체이품의 상황 ... 538
4.3.3. 이체이품의 상황 ... 553
4.3.4. 동일한 교육의 반복 ... 564
4.4. 협동교육의 구조 ... 569
4.4.1. 교육의 내용 ... 569
4.4.2. 수레바퀴모형 ... 576
4.4.3. 교육적인 삶 ... 586
4.4.4. 교육의 놀이 ... 599
참고문헌 ... 605
찾아보기
인명 ... 617
주제 ... 62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