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부 방언 변화와 방언 연구 방법
제1장 방언 변화와 방언 연구의 방향 ... 17
1. 서론 ... 17
2. 방언 변화의 요인 ... 20
2.1 표면적인 요인 - 사회적인 요인 ... 20
2.2 내면적인 요인 - 개인적인 요인 ... 22
3. 방언 변화와 방언 조사의 방향 ... ...
더보기
목차 전체
제1부 방언 변화와 방언 연구 방법
제1장 방언 변화와 방언 연구의 방향 ... 17
1. 서론 ... 17
2. 방언 변화의 요인 ... 20
2.1 표면적인 요인 - 사회적인 요인 ... 20
2.2 내면적인 요인 - 개인적인 요인 ... 22
3. 방언 변화와 방언 조사의 방향 ... 23
4. 방언 변화와 방언 자료의 해석 ... 26
4.1 자료-1 ... 26
4.2 자료-2 ... 29
5. 결론 ... 32
제2부 방언 접촉과 형태 변화
제2장 방언 접촉과 혼성형의 형성 ... 37
1. 서론 ... 37
2. 방언 변화와 방언 자료 수집 ... 38
3. 제주방언의 방언 접촉 유형 ... 40
3.1 자료 조사 시기 및 방법 ... 40
3.2 조사 대상 집단 ... 41
3.3 조사 결과 ... 42
4. 제주방언 혼성형의 통시성 ... 47
4.1 하꼴/하껄/하끌(少) ... 47
4.2 부치럽다/비끄럽다(恥) ... 49
4.3 아지다(持) ... 50
4.4 짓브다/짓버지다(지쁘다/지뻐지다)(喜) ... 53
4.5 -고추룩 ... 55
5. 결론 ... 60
제3장 혼성형 '갊', '갋'의 통시성 ... 61
1. 서론 ... 61
2. '갊, '갋'의 형태ㆍ의미 고찰 ... 62
2.1 '갊, '갋'의 형태ㆍ의미 분석 ... 62
2.2 방언 혼성형 '갊'과 문헌어 '갋'과의 연관성 ... 71
3. 결론 ... 76
제3부 문법화와 형태 변화
제4장 의존 명사 '디'의 다중 문법화 ... 81
1. 서론 ... 81
2. 처소성 의존 명사 '디'의 분포 ... 82
3. 통합 구성에서 형태 구성으로 ... 95
3.1 유정물 처격 표지화 ... 96
3.2 연결 어미화 ... 99
3.3 의문형 어말 어미화 ... 100
4. 결론 ... 104
제5장 처격 표지 '-디'의 국어사적 고찰 ... 107
1. 서론 ... 107
2. 제주방언의 처격 표지의 국어사적 위치 ... 108
2.1 제주방언의 처격 표지의 형태소 ... 108
2.2' -디레'(-드레, -데레, -티레, -트레, -르레) ... 109
2.3'-디' ... 110
3. 만주어와 제주방언의 처소성 명사의 문법화 ... 114
3.1 만주어 'deri, -de'와 제주방언 '-디레, -디'의 문법 대응 ... 114
3.2 부사 형성 접미사 '-de'와 '-듸/-디' ... 116
3.3 시간성의 '-de'와 '-디' ... 117
3.4 만주어 '-de'와 제주방언 '-X디'의 여격 기능 ... 119
3.5 '-레'의 방향성 ... 123
4. 결론 ... 128
제6장 제주방언의 문법화 과정에 대하여 -여격 표지 형태소들을 중심으로- ... 129
1. 서론 ... 129
2. 중세 국어와 제주방언의 여격 표지 구성 ... 131
2.1 중세 국어의 여격 표지 분석 ... 131
2.2 제주방언의 여격 표지 분석 ... 132
3. 중세 국어 「-다려」와 제주방언 「-가라」의 대응 관계 ... 136
4. 결론 ... 147
제7장 제주방언 공간어의 문법화 ... 149
1. 서론 ... 149
2. 공간 명사의 부사화 ... 150
2.1 정도 부사 - '하끔/하썰'의 형성 과정 ... 151
2.2 시간 부사 - '고쌔'의 형성 과정 ... 161
3. 결론 ... 167
제8장 제주방언의 시간 표현 구조 ... 169
1. 서론 ... 169
2. 자료 출처 ... 172
3. 자료 검토 및 분석 ... 173
3.1 '글지후제'의 문법 및 담화기능 ... 173
3.2 형태 구조 '글지후제'의 분석 ... 176
3.3 통사 구성 '-ㄴ 지후제'의 분석 ... 183
4. 결론 ... 186
제4부 언어 접촉과 언어 보존
제9장 언어 접촉과 언어 변화 : 오사카 거주 제주방언 화자 사회의 방언 보존에 대한 조사 ... 191
1. 조사 목적 ... 191
2. 조사 내용 ... 193
3. 조사 과정 ... 195
3.1 조사 기간과 대상 지역 및 집단 ... 195
3.2 조사 단계 : 예비 조사→본 조사 ... 195
4. 조사 결과 ... 200
4.1 기초 어휘 보수형과 사용 실태 확인 조사 ... 200
4.2 'ㆍ'음의 유지 현황 조사 ... 201
4.3 'ㆍ'음의 유지 현황 조사 결과의 자료 분석 및 해석 ... 203
5. 오사카 제주방언 사회의 'ㆍ'음의 변화 ... 211
5.1 이주시기+나이에 의한 'ㆍ'음의 변화 ... 216
6. 결론 ... 222
제10장 제주방언의 보수형을 찾아서 : 국어사 자료와 제주방언 ... 225
1. 서론 ... 225
2. 제주방언 화자들의 방언 의식 ... 226
3. 제보자 및 조사 방법 ... 227
4. 제주방언 보수형의 보존 현황 ... 228
4.1 들을 수 없게 된 제주방언 ... 228
4.2 보수형의 보존 현황 ... 231
5. 결론 ... 272
제11장 재일 한국인의 한국어에 대한 언어 선택 태도 조사 : 오사카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 273
1. 조사 목적 ... 273
2. 조사 과정 ... 275
2.1 조사 기간 및 대상 ... 275
2.2 조사 내용 ... 276
2.3 조사 방법 ... 277
3. 조사 결과 및 통계 분석 ... 277
3.1 질문지 회수 결과 ... 277
3.2 조사 내용에 대한 결과 분석 ... 278
4. 결론 ... 298
참고문헌 ... 301
찾아보기 ... 30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