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7
제1장 서론 ... 15
제2장 행정학 발전의 요인들 ... 17
제3장 행정학사에 대한 선행연구들 ... 23
1. 연구주제 및 접근방법의 변화에 대한 연구 ... 24
2. 기존의 연구에 대한 비판적 자세로 방향모색을 하는 연구 ... 26
3. 이론적 연구물을 중심으로 한 연구 ... 31
4. 분야 중심의 연구 ...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 7
제1장 서론 ... 15
제2장 행정학 발전의 요인들 ... 17
제3장 행정학사에 대한 선행연구들 ... 23
1. 연구주제 및 접근방법의 변화에 대한 연구 ... 24
2. 기존의 연구에 대한 비판적 자세로 방향모색을 하는 연구 ... 26
3. 이론적 연구물을 중심으로 한 연구 ... 31
4. 분야 중심의 연구 ... 33
1) 조직론 분야 ... 33
2) 재무행정 분야 ... 34
3) 인사행정 분야 ... 35
4) 지방행정 분야 ... 37
5) 정책 분야 ... 39
5.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토착화 문제 ... 44
제4장 평가의 기준 : 계몽성ㆍ자료성ㆍ적용성ㆍ창의성 ... 47
제5장 행정학 교과서 및 한국행정론 분야 ... 51
1. 행정학 교과서 분야 ... 51
2. 한국행정론 분야 ... 54
제6장 행정학의 전통적 3대 분야 ... 65
1. 조직론 분야 ... 65
2. 인사행정 분야 ... 90
3. 재무행정 분야 ... 104
제7장 발전 및 비교행정(국제행정 포함)과 방법론 분야 ... 123
1. 발전행정 분야 ... 123
2. 비교행정(국제행정 포함) 분야 ... 134
3. 방법론 분야 ... 142
제8장 지방행정 분야 ... 149
제9장 정책학 분야 ... 177
제10장 전문영역별 행정 ... 205
1. 복지 분야 ... 205
2. 환경 분야 ... 216
3. 정보 분야 ... 224
4. 과학ㆍ기술 분야 ... 231
5. 문화행정 분야 ... 235
6. 북한 분야 ... 240
제11장 뿌리 분야 ... 243
1. 과학적 방법론 및 접근분야 ... 243
2. 철학(사상) 및 윤리(부패) 분야 ... 256
1) 철학(사상) 분야 ... 256
2) 윤리(부패) 분야 ... 262
3. 행정사 분야 ... 275
4. 행정문화 분야 ... 282
제12장 한국의 행정학과 행정현상 ... 295
1. 성숙화의 과정 ... 296
1) 한국문제의 주제 선정 ... 296
2) 행정수요에의 순응 ... 296
3) 방법론상의 세련화 및 접근방법의 다양화 ... 296
4) 이론과 지식의 축적 현상 ... 297
5) 논문 중심의 연구 ... 298
6) 학자들의 분산화 ... 299
7) 현장성에 대한 관심 고조 ... 300
2. 한국행정학의 과제 ... 301
1) 한국적 행정이론의 개발 ... 301
2) 한국사회 및 행정의 특이성 발견 ... 302
3) 공공성에 대한 연구 ... 303
4) 정치권력과 행정관료와의 관계 ... 304
5) 전통적 가치의 발굴과 재해석 모색 ... 305
참고문헌 ... 309
찾아보기 ... 31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