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을 펴내며 ... 5
서장 아시아 시민사회 비교연구의 방법 / 조효제
Ⅰ. 들어가면서 ... 13
Ⅱ. 현대 시민사회론의 갈래 ... 14
Ⅲ. 시민사회 연구의 쟁점 ... 17
Ⅳ. 연구의 목적 ... 20
Ⅴ. 연구의 내용 ... 21
Ⅵ. 나오면서 ... 39
제Ⅰ부 한국 시민사회의 개념과 역사
제1장 한국 시...
더보기
목차 전체
책을 펴내며 ... 5
서장 아시아 시민사회 비교연구의 방법 / 조효제
Ⅰ. 들어가면서 ... 13
Ⅱ. 현대 시민사회론의 갈래 ... 14
Ⅲ. 시민사회 연구의 쟁점 ... 17
Ⅳ. 연구의 목적 ... 20
Ⅴ. 연구의 내용 ... 21
Ⅵ. 나오면서 ... 39
제Ⅰ부 한국 시민사회의 개념과 역사
제1장 한국 시민사회의 개념과 실제 / 손혁재
Ⅰ. 머리말 ... 49
Ⅱ. 시민사회의 영역 ... 53
Ⅲ. 시민사회 개념의 역사 ... 67
Ⅳ. 한국에서의 시민사회 개념 ... 81
Ⅴ. 맺음말 ... 87
제2장 한국 시민사회 형성의 역사 / 박상필
Ⅰ. 머리말 ... 95
Ⅱ. 시민사회의 개념화 ... 97
Ⅲ. 한국 국가의 정당성 ... 103
Ⅳ. 한국 자본주의의 발전 ... 110
Ⅴ. 한국 시민사회의 대응 ... 115
Ⅵ. 한국 시민사회의 형성 ... 122
Ⅶ. 맺음말 ... 130
제3장 지구화 시대의 한국 시민사회의 역할과 과제 / 차명제
Ⅰ. 글머리에 ... 137
Ⅱ. 최근 한국 시민사회의 확장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들 ... 141
Ⅲ. 한국 시민사회의 발전 요인 ... 155
Ⅳ. 다른 나라 시민사회와의 차이점 ... 166
Ⅴ. 한국 시민사회의 특성 ... 168
Ⅵ. 21세기 한국 시민사회의 과제 ... 175
Ⅶ. 지구화와 한국 시민사회의 과제 ... 178
Ⅷ. 맺는 말 ... 180
제Ⅱ부 아시아 시민사회의 개념과 역사
제4장 일본의 '시민사회론'과 시민사회 / 권혁태
Ⅰ. 일본 '시민사회론'의 전제 ... 187
Ⅱ. 일본 '시민사회론'의 계보와 시민사회 ... 191
Ⅲ. 새로운 시민사회론과 시민운동 ... 203
제5장 동남아 시민사회의 형성과 진화 : 타이 사례를 중심으로 / 박은홍
Ⅰ. 문제의 제기 ... 211
Ⅱ. 시민사회에 대한 이해 ... 213
Ⅲ. 시민사회와 민주화 ... 220
Ⅳ. 시민사회와 NGO ... 227
Ⅴ. 결론 ... 235
제6장 개혁개방 이후 중국 시민사회의 발전추세와 전망 : 중국 민간조직 발전을 중심으로 / 이남주
Ⅰ. 문제제기 ... 241
Ⅱ. 중국에서의 시민사회론의 등장과 변화 ... 245
Ⅲ. 중국 민간조직의 발전요인 및 제약요인 ... 249
Ⅳ. 중국 민간조직 발전의 특징 : 정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255
Ⅴ. 결론 : 종속적 발전은 가능한가? ... 262
제7장 중국 시민사회 담론의 초기적 특징 : 량치차오의 국민국가 인식의 시민사회적 함의를 중심으로 / 조경란
Ⅰ. 머리말 : 시민사회의 '중국적' 지평 ... 267
Ⅱ. 청말 국민국가 담론의 조건 : 천하·왕조·인민의 해체와 국가·국민주의·국민의 재구성 ... 274
Ⅲ. 청말 국민국가 인식의 시민사회적 함의 ... 279
Ⅳ. 맺는 말 : 중국 시민사회의 전망과 동아시아 ... 291
제8장 대만 시민사회의 성장과 비영리조직(NPOs)의 활성화 : 대만 특색의 기금회(基金會)를 중심으로 / 박윤철
Ⅰ. 들어가는 말 ... 299
Ⅱ. 대만 시민사회 개념의 질적 전환 ... 301
Ⅲ. 사회주의식 당국지배체제의 해체와 시민사회운동의 대두 ... 308
Ⅳ. 시민사회의 재구조화와 공민적 시민조직의 활성화 ... 314
Ⅴ. 대만 특색의 비영리조직인 기금회의 발전 ... 317
Ⅵ. 맺는 말 ... 323
찾아보기 ... 33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