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3
1부 형성기 한국소설의 풍경들
정의 만족과 민족, 혹은 이광수 문학의 기원 : 「혈서」에 대한 단상 ... 17
1. 한국 근대문학의 아비투스 ... 17
2. '정의 불꽃'과 '큰일', 「혈서」의 아포리아 ... 20
3. 개인이냐 국가냐, 혹은 이광수 문학의 암흑지점 ... 23
결핵ㆍ죽음ㆍ...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3
1부 형성기 한국소설의 풍경들
정의 만족과 민족, 혹은 이광수 문학의 기원 : 「혈서」에 대한 단상 ... 17
1. 한국 근대문학의 아비투스 ... 17
2. '정의 불꽃'과 '큰일', 「혈서」의 아포리아 ... 20
3. 개인이냐 국가냐, 혹은 이광수 문학의 암흑지점 ... 23
결핵ㆍ죽음ㆍ상호주관성 : 「피묻은 편지 몇 쪽」에 대한 단상 ... 25
1. 죽음의 횡단성 ... 25
2. 승화된 열정과 상호주관성의 경지 ... 28
3. 한국 근대문학과 결핵 ... 33
역사의 발견과 그 의미 : 『젊은 그들』의 경우 ... 35
1. 「젊은 그들」 혹은 동인문학의 경계 ... 35
2. 영웅사관과 역사소설에 대한 오해 ... 37
3. '중간자적 존재'의 명암 ... 39
2부 민족과 계급, 리얼리즘의 두 좌표
민족과 계급, 리얼리즘 소설의 두 좌표 ... 47
1. 식민지 자본주의의 성립과 리얼리즘적 경향의 대두 ... 47
2. 『삼대』, 초기 시민계급의 도달점 또는 전망부재의 공간 ... 50
3. 『고향』, 현실적 운동에의 지향과 유교적 윤리의식 ... 59
4. 리얼리즘적 전통의 굴절 ... 69
초기 시민 계급의 아포리아 : 『삼대』론 ... 72
1. 『삼대』의 문학사적 위상 ... 72
2. 다양한 인물의 형상화와 인간에 대한 다층적 인식 ... 78
3. 절대적 가치로서의 '돈' ... 84
4. 이념적 갈등과 현실적 운동과의 거리 ... 92
5. 전망의 부재 또는 원점회귀의 역사적 의미 ... 99
6. 『삼대』의 한계, 혹은 초기 시민 계급의 아포리아 ... 104
교활한 현실과 차디찬 시선 : 『무화과』론 ... 107
1. 한국문학의 거울, 염상섭 ... 107
2. 교활한 현실과 가녀린 희망 ... 111
3. 소수집단문학의 가능성과 한계 ... 116
4. 염상섭 문학의 현재성 ... 120
현실적 운동에의 지향과 유교적 윤리 : 『고향』론 ... 121
1. 『고향』이 놓인 자리 ... 121
2. 가출과 귀향 ... 125
3. 민중적 삶의 제시와 '노동'의 의미 ... 135
4. 정치적인 것과 윤리적인 것의 갈등 ... 145
5. 『고향』의 세계와『고향』이후의 세계 ... 151
채만식 문학과 피메일(female) 컴플렉스 ... 154
1. 채만식 문학과 피메일 컴플렉스 ... 154
2. 욕망과 당위의 갈등, 혹은 피메일 컴플렉스의 발생 ... 159
3. 상품화된 여성의 발견과 유토피아에 대한 동경 ... 174
4. 주체성의 발견과 여성적 시간의 자기화 ... 184
3부 식민지 모더니즘의 이율배반
기교에의 의지, 혹은 이상 문학의 계몽성 ... 193
1. 이상 문학의 발생론적 조건 ... 193
2. 상상의 문명과 자본주의적 역동성 ... 201
3. 포즈로서의 글쓰기, 혹은 사생아의식 ... 210
4. 포즈의 소멸과 분열된 주체 ... 217
5. 모더니즘의 새로운 독법을 위히여 ... 223
이상(李箱)과 어머니 : 박태원 소설의 두 좌표 ... 227
1. 1930년대 모더니스트들의 또 다른 풍경 ... 227
2. 도시를 향한 오디세이적 열정 ... 234
1) 신념의 절대화화 관념의 과잉 ... 234
2) 이상(李箱)과 어머니 사이의 갈등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241
3. 이상(李箱 혹은 理想)의 부재와 전근대적인 영웅의 세계 ... 248
4. 식민지 모더니즘의 이율배반 ... 256
한 문학주의자의 운명 : 박태원 수필 읽기 ... 260
1. 한 자유주의자의 내면 풍경 - 박태원 에세이의 문제성 ... 260
2. 광기의 모더니티와 냉소 - 초기 에세이의 풍경 ... 263
3. 가족ㆍ이상(李箱)ㆍ김유정, 살아 있는 미적 진리들 ... 270
4. 기교와 문장의 정치학 ... 288
5. 영도의 글쓰기와 상투어의 세계 ... 293
4부 전환기적 현실과 환멸, 반성, 그리고 광기
환멸과 반성 : 1930년대 후반기 문학의 두 표정 ... 303
1. 또 하나의 전환점, 1930년대 후반기 ... 303
2. 현실의 변화와 거대서사의 붕괴 ... 306
3. 전환기적 현실과 문학의 대응 ... 313
1) 환멸주의와 세계의 상징적 인식 ... 313
2) 자기 비판과 진정한 반성의 거리 ... 319
4. 속물이라는 괴물과 이상적 자아에의 집착 ... 324
5. 1930년대 후반기 문학의 한계, 혹은 한국 근대문학의 한계 ... 331
전환기적 현실과 환멸주의 : 유항림론 ... 333
1. 1930년대 후반과 유항림 ... 333
2. 환멸의 힘과 한계 - 「마권」과 「구구」의 세계 ... 339
3. 현실에의 관심과 자기 반성 - 「부호」와 「농담」의 세계 ... 356
4. 1930년대 후반, 해방 직후 문학의 또 하나의 기원 ... 367
친일문학론의 계몽적 담론 구조 : 최재서의 비평을 중심으로 ... 370
1. 친일문학의 연속성과 비연속성 ... 371
2. 코스모폴리탄 의식의 부정과 국가이성의 설정 ... 380
3. 결단의 윤리와 광기의 이성 - 친일문학론의 구조 ... 391
4. 고향을 상실한 문학 ... 398
친일문학론의 역사철학적 맥락 ... 401
1. 친일문학에 대한 관심의 제고와 그 명암 ... 401
2. 친일문학적 담론의 형성 과정, 혹은 친일문학이란 무엇인가 ... 410
3. 광기의 이성으로 향하는 길 ... 418
4. 친일문학 어떻게 볼 것인가 ... 423
냉소와 숭고의 이상한 가역반응 : 채만식 문학에 있어서의 친일과 반성의 문제 ... 428
1. 친일과 반성, 혹은 채만식 문학의 키워드 ... 428
2. 역사책 방향성의 상실과 동앙체제라는 매혹 ... 434
3. 이상한 해방과 반성의 정치학 ... 455
5부 해방 후의 문학, 연속성과 비연속성
이상화된 현실과 소설적 진실 : 이기영의 『땅』 ... 465
1. 시적 현실과 장편소설 ... 465
2. 농민이라는 전위, 혹은 '제2의 자연'에 대한 불만 ... 468
3. 토지개혁이라는 '개혁'과 계몽으로서의 소설 ... 478
4. 중용사상과 민담의 세계 ... 482
5. 『땅』의 의미와 한계 ... 489
미적 유토피아의 발견과 정치의 미학화 ... 491
1. 서론 ... 491
2. 반(反)봉건성과 예술적 자율성의 의미 - 『사상의 월야』의 세계 ... 493
3. 역사에의 동참의지와 예술적 자율성의 부정 ... 503
4. 미적 유토피아의 발견과 정치의 미학화 ... 513
산책자와 영웅 : 박태원의 『갑오농민전쟁』에 대하여 ... 524
1. 『갑오농민전쟁』이 놓인 자리 ... 524
2. 문학외적인 담론의 존재방식과 소설적 진실 ... 528
3. 공간의 대립 또는 산책자와 영웅 ... 533
4. 『갑오농민전쟁』의 성과와 한계 ... 544
1990년대 북한의 문화정책 ... 547
1. 전지구적 자본주의화 - 1990년대 북한 문학이 놓인 자리 ... 547
2. 세계사적 구도의 변화와 북한의 대응 ... 552
3. 새로운 문예정책의 제시와 그 구조 - 『주체문학론』을 중심으로 ... 565
4. 1990년 북한 문예정책의 의미 ... 575
중심을 향한 동경 : 한국 근대문학 연구의 정치적 무의식 ... 581
1. 이식과 굴절, 한국 근대문학의 두 축 ... 581
2. '민족문학사' - 역사의 물신화, 그리고 절반의 문학사 ... 590
3.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이라는 계열화 - 주석달기와 차이의 소멸 ... 599
4. 보편의 특수화에서 특수의 보편화로 ... 60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