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4
제1장 종교와 민속 - 이론과 실천의 방법적 고찰 / 편무영
1. 문제의 범주 ... 15
2. 현상의 서술 ... 20
3. 종교적 사유와 민속적 감성 ... 33
제2장 종교와 조상제사 - 총론 / 편무영
1. 문제의 소재 ... 39
2. 종교와 조상제사의 만남 ... 45
3. 마무리 ... 5...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4
제1장 종교와 민속 - 이론과 실천의 방법적 고찰 / 편무영
1. 문제의 범주 ... 15
2. 현상의 서술 ... 20
3. 종교적 사유와 민속적 감성 ... 33
제2장 종교와 조상제사 - 총론 / 편무영
1. 문제의 소재 ... 39
2. 종교와 조상제사의 만남 ... 45
3. 마무리 ... 56
제3장 불교 천도재에 투영된 유교의 제사이념 / 구미래
1. 추모의례로서 제(祭)와 천도의례로서 재(齋) ... 59
2. 사례를 통해본 불교 제사의 성립과 의례양상 ... 63
3. 서로 다른 세계에서 추구하는 존재의 영속성 ... 74
4. 천도재와 제사의 결합방식 ... 84
5. 마치는 글:민간의 통합적 죽음 인식 ... 90
제4장 불교 제례의 의미와 행법 / 正覺(문상련) -시아귀회(施餓鬼會)를 중심으로-
1. 서언 ... 93
2. 불교 제례의 기원과 의미 ... 95
3. 불교 제례의 설행 시기와 행법 ... 104
4. 불교 제례의 의궤화(儀軌化) ... 112
5. 결어 ... 128
제5장 불교식 가정제사 봉행에 대한 실태조사와 연구 / 이덕진
1. 불교와 제사의례 ... 131
2. 불교식 가정 제사 봉행에 대한 실태조사 및 분석 ... 135
3. 가정에서의 불교식 제사 봉행에 대한 예 ... 156
4. 나가는 말 ... 173
제6장 봉안당과 불교제사 / 이창식
1. 머리말 ... 177
2. 봉안당의 기능과 장례의식 ... 178
3. 제사의 본향성과 죽음의례의 상징성 ... 189
4. 제사의 미래와 상장례 콘텐츠 ... 197
5. 맺음말 ... 204
제7장 초기 한국 개신교와 제사문제 / 옥성득
1. 한문 소책자의 제사금지론 ... 208
2. 중국 개신교의 제사금지정책 ... 212
3. 내한 선교사들의 제사금지정책 ... 219
4. 한국교회의 반응 ... 230
5. 맺음말 ... 254
제8장 한국 개신교 추도식의 현황 / 이복규
1. 머리말 ... 261
2. 한국 개신교 몇 교단의 추도식 순서 ... 262
3. 한국 개신교 가정에서의 실제 추도식 사례들 ... 273
4. 한국 개신교 추도식과 전통 기제사의 차이점과 공통점 ... 286
제9장 전통 기제사에서 추도예배로의 전환과정 -개신교 이준영 목사 가정의 경우- / 이복규
1. 머리말 ... 293
2. 기독교를 받아들이기 이전의 양상 ... 295
3. 기독교를 받아들인 이후의 전환기적 양상 ... 298
4. 현재의 양상 및 기제사와 추도예배의 의미에 대한 생각 ... 304
5. 맺음말 ... 308
제10장 '한국 가톨릭과 조상제사'에 대한 역사민속학적 접근 / 김영수
1. 서론 ... 311
2. 가톨릭의 유입 과정과 전통사회와의 충돌 ... 313
3. 중국에서의 의례논쟁과 조상제사 금지령 ... 318
4. 신사참배와 조상제사의 허용 ... 323
5. 제사 금지와 허용의 전래사적 의미 ... 329
6. 결론 ... 334
제11장 천도교의 제사 민속지 / 김시덕
1. 머리말 ... 337
2. 유교식 제사의 종류와 내용 ... 339
3. 천도교 제사 민속지 ... 343
4. 천도교의 조상 인식과 숭배, 제사 ... 355
5. 맺는말 ... 366
제12장 재일 한국기독교인의 조상제사 실태 / 진대철
1. 문제 제기와 과제 ... 369
2. 재일 한국인교회의 역사와 실태 ... 371
3. 민족단체에서 규정하는 기독교식 조상예배 ... 378
4. 사례제시 ... 381
5. 약간의 분석 ... 386
참고문헌 ... 389
찾아보기 ... 407
후기 ... 417
필자소개 ... 42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