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감사의 글 ... 4
1장 머리말
1. 연구 동향 ... 19
1.1. 청동기시대 생업연구 동향 ... 19
1.2. 청동기시대 사회연구 동향 ... 26
2. 연구 범위 ... 45
2.1. 시대적 범위 ... 45
2.1.1. 시대적 범위의 개요 ... 45
2.1.2. 무문토기를 ...
더보기
목차 전체
감사의 글 ... 4
1장 머리말
1. 연구 동향 ... 19
1.1. 청동기시대 생업연구 동향 ... 19
1.2. 청동기시대 사회연구 동향 ... 26
2. 연구 범위 ... 45
2.1. 시대적 범위 ... 45
2.1.1. 시대적 범위의 개요 ... 45
2.1.2. 무문토기를 중심으로 한 상대편년과 지역별 전개양상 ... 46
2.2. 지역적 범위와 분석대상 자료 ... 55
3. 연구상의 한계 ... 60
4. 연구 목적 ... 61
2장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방법 ... 65
2. 분석방법 ... 65
2.1. 생업 연구상의 분석방법 ... 66
2.1.1 지역별ㆍ시기별 생업양상 분석 ... 66
2.1.2. 주거지 입지유형의 분석 ... 67
2.1.3. 생산과 소비의 단위 ... 69
2.2. 사회 연구상의 분석방법 ... 69
2.2.1. 사회 최소 구성단위의 분석 ... 70
2.2.2. 마을의 규모와 인구 추정 ... 70
2.2.3. 사회구조 ... 72
2.2.4. 재화의 분배와 소비권역 ... 73
2.2.5. 사회적 불평등의 출현여부 분석 ... 73
2.2.6. 사회적 긴장상태의 추적 ... 74
2.2.7. 종족개념의 존재여부 ... 74
3. 이론적 배경과 해석상의 문제 ... 77
3.1. 이론적 배경 ... 77
3.2. 해석상의 문제점 ... 81
3장 <B><FONT color ... #0000
1. 청동기시대 생업의 추적과 분석 ... 87
1.1. 식물유체 자료의 내용 ... 87
1.2. 주요 경작유구 ... 92
1.3. 생업 관련도구의 분석 ... 96
1 4. 어망추의 존재여부 ... 102
1.5. 농경의 집약화 - 농경의 기술과 농경의 유형 ... 103
1.6. 주거지의 입지유형 ... 108
1.6.1. 유적 입지상의 비고에 따른 분류 ... 108
1.6.2. 유적 입지상의 지형적 특성 ... 113
1.6.3. 유적의 주변환경 ... 116
1.7 인구증가와 생업적 대응방식 ... 119
1.7.1. 낙동강 중류유역 ... 119
1.7.2. 낙동강 하류유역ㆍ남해안지역 ... 122
1.7.3. 남강 유역 ... 122
1.7.4. 형산강ㆍ태화강 유역ㆍ동해안지역 ... 124
1.7.5. 인구 규모와 생업유형의 관계 ... 126
1.8. 생업조직과 사회조직의 관계 ... 131
1.8.1 생업조직과 사회조직의 관계 ... 131
1.8.2. 생산단위와 소비단위 ... 132
1.8.3. 마을의 규모와 사회규범 ... 133
1.8.4. 정주성과 배타적 토지 점유(territoriality) ... 134
1.8.5. 계절성과 계획성 ... 135
1.9. 저장수혈과 창고추정건물지 ... 136
1.10.교환 ... 138
4장 <B><FONT color ... #0000
1. 청동기시대 영남지역 사회 ... 145
1.1 사회 최소 구성단위의 분석 ... 145
1.1.1. 주거지의 마을 내 분포와 군집양상으로 본 사회 최소 구성단위 ... 145
1.1.2. 노지의 수로 본 사회 최소 구성단위 ... 147
1.1.3. 생산과 소비단위로서의 사회 최소 구성단위 ... 149
1.2. 마을의 규모와 인구 추정 ... 153
1.2.1 낙동강 중류유역의 인구 추정 ... 157
1.2.2 낙동강 하류유역과 남해안지역의 인구 추정 ... 160
1.2.3 남강 유역의 인구 추정 ... 161
1.2.4 형산강ㆍ태화강 유역ㆍ동해안지역의 인구 추정 ... 164
1.2.5. 영남지역의 개괄적 인구 추이 ... 166
1.2.6. 중심마을의 출현 시기 ... 171
1.3. 사회의 구조 ... 174
1.3.1 마을 간의 위계화 ... 174
1.3.2. 마을의 위계와 규모에 관한 상관관계(rank-size rule) ... 174
1.3.3 chiefdom분석의 단위와 중심마을의 존재여부와 양태 ... 174
1.4. 재화의 분배와 소비 방식 ... 179
1.5. 의례와 사회적 성(gender) ... 181
1.5.1. 이론ㆍ방법의 논의 ... 182
1.5.2. 선사시대 의례와 사회적 성 ... 186
1.5.3. 한국 선사시대 의례의 특성과 성별 노동분화 ... 196
1.6. 사회적 불평등의 출현 과정 ... 200
1.6.1. 주거지의 배치와 규모의 차별성 ... 200
1.6.2. 마을 규모의 차별성 ... 203
1.6.3. 무덤의 입지와 규모상의 차별성 ... 203
1.6.4. 무덤 부장품상의 차별성 ... 206
1.7. 사회적 긴장상태 ... 207
1.7.1. 마을 내 화재주거지의 비율 ... 208
1.7.2. 고지성 마을의 출현 ... 210
1.7.3. 환호와 목책 등 방어시설의 출현 ... 211
1.7.4. 마을의 집중도 ... 211
1.7.5. 무력 숭배의 증거 ... 213
1.7.6. 석기류에서 차지하는 무기류의 비중 ... 213
1.7.7. 유물 양식(style)의 다양성 ... 214
1.7.8. 의례의 증가 ... 216
1.8. 상징ㆍ이념의 변화 과정 ... 217
1.9. chiefdom사회의 유형 ... 218
1.10. 종족성의 존재여부 ... 222
1.11. 지석묘 자료를 통해서 본 영남지역의 사회 ... 227
1.11.1. 지석묘 사회의 사회ㆍ경제적 배경 ... 227
1.11.2. 지석묘 피장자의 성격과 불평등의 출현 ... 230
1.11.3. 지석묘의 다양성과 다원적 의미 ... 235
1.11.4. 지석묘 연구방향 ... 239
2. 청동기시대 영남지역 사회의 특성과 변화 ... 240
5장 맺음말 ... 251
참고문헌 ... 258
첨부자료(영남지역 청동기시대 주요 마을 일람표) ... 306
찾아보기 ... 33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