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중국 철학의 정신
1. 중국문화상 철학의 위치 ... 26
2. 중국철학의 문제와 정신 ... 31
3. 중국철학의 표현방법 ... 36
4. 언어장벽 ... 39
제2장 중국철학의 배경
1. 중국인의 지리적 배경 ... 42
2. 중국인의 경제적 배경 ... 43
3. 농업의 숭상 ... 44
4. 되돌아...
더보기
목차 전체
제1장 중국 철학의 정신
1. 중국문화상 철학의 위치 ... 26
2. 중국철학의 문제와 정신 ... 31
3. 중국철학의 표현방법 ... 36
4. 언어장벽 ... 39
제2장 중국철학의 배경
1. 중국인의 지리적 배경 ... 42
2. 중국인의 경제적 배경 ... 43
3. 농업의 숭상 ... 44
4. 되돌아가려고 하는 것은 도(道)의 움직임이다(反者道之動) ... 45
5. 자연의 이상화(理想化) ... 46
6. 가족제도(家族制度) ... 47
7. 세간(世間)과 출세간(出世間) ... 48
8. 중국예술(中國藝術)과 시(詩) ... 49
9. 중국철학의 방법론(方法論) ... 50
10. 해양국(海洋國)과 대륙국(大陸國) ... 52
11. 중국철학의 불변요소(不變要所)와 가변요소(可變要素) ... 54
제3장 제자백가(諸子百家) : 여러 학파의 기원
1. 사마담(司馬談)과 육가(六家) ... 58
2. 유흠(劉欽)의 제자백가론 ... 61
3. 유흠학설의 수정(修正) ... 66
제4장 공자(孔子) : 인류의 스승
1. 공자의 육경(六經) ... 72
2. 교육자로서의 공자 ... 74
3. 정명론(正名論) ... 75
4. 인의(人義) ... 76
5. 충서(忠恕) ... 77
6. 지명(知命) ... 79
7. 공자의 정신적 발전단계 ... 81
8. 중국역사상 공자의 지위 ... 83
제5장 묵자(墨子)
1. 묵가의 사회적 배경 ... 86
2. 유가에 대한 비판 ... 89
3. 함께 아끼는 겸애(兼愛) ... 90
4. 천지(天志)와 명귀(明鬼) ... 94
5. 외견상의 불일치 ... 95
6. 국가의 기원 ... 97
제6장 양주(楊朱) : 도가의 선구자
1. 초기 도가와 은자 ... 102
2. 양주의 근본사상 ... 103
3. 양주사상의 예화(例話) ... 104
4. 노장(老莊) 속의 양주사상 ... 106
5. 도가의 발전 ... 108
제7장 맹자(孟子) : 유가의 이상주의자
1. 인성(人性)은 선하다 ... 113
2. 유가와 묵가의 근본적 차이점 ... 115
3. 정치 철학 ... 117
4. 신비주의 ... 122
제8장 명가(名家)
1. 명가(名家)와 변자(辨者) ... 128
2. 혜시의 상대성 이론 ... 133
3. 공손룡의 보편자론 ... 138
4. 혜시와 공손룡 학설의 의미 ... 143
제9장 노자(老子) : 도가의 제2단계
1. 노자의 인물과 책 ... 146
2. 도(道) : 무명(無名) ... 147
3. 자연의 상도(常道) ... 150
4. 인간행위 ... 152
5. 정치철학 ... 156
제10장 장자(壯子) : 도가사상의 3단계
1. 장자(莊子)라는 인물과 《장자(莊子)》라는 책 ... 163
2. 상대적 행복을 얻는 길 ... 163
3. 정치ㆍ사회철학 ... 165
4. 정감[情]과 이치[理] ... 167
5. 절대적 행복을 달성하는 길 ... 170
6. 유한한 관점 ... 171
7. 고차적인 관점 ... 173
8. 고차원의 지혜[知] ... 175
9. 신비주의 방법론 ... 178
제11장 후기 묵가
1. 지식과 이름에 관한 토론 ... 183
2. '변'에 관한 토론 ... 185
3. 겸애설(兼愛說)을 분명히 함 ... 187
4. 겸애설의 변호 ... 190
5. 제가(諸家)에 대한 비평 ... 192
제12장 음양가(陰陽家)와 선진의 우주발생론
1. 여섯 가지 종류의 술수 ... 198
2. 홍범(洪範)에 나타난 오행(五行) ... 200
3. 월령(月令) ... 203
4. 추연(騶衍) ... 205
5. 역사철학 ... 206
6. 역전(易傳)의 음양원리 ... 208
제13장 순자(荀子) : 이상주의자
1. 인간의 지위 ... 214
2. 인성론(人性論) ... 216
3. 예(禮)의 기원 ... 217
4. 예악론(禮樂論) ... 219
5. 정명론(正名論) : 논리이론 ... 223
6. 제가(諸家)의 오류 ... 227
제14장 한비자(韓非子)와 법가(法家)
1. 법가의 사회적 배경 ... 230
2. 한비자(韓非子) : 법가를 체계화(集大成)한 자 ... 232
3. 법가의 역사철학 ... 233
4. 통치방법 ... 235
5. 법가와 도가(道家) ... 238
6. 법가와 유가(儒家) ... 241
제15장 유가의 형이상학
1. 도(道) ... 244
2. 생성(生成)의 도 ... 247
3. 변역(變易)의 도 ... 249
4. 중(中)과 화(和) ... 251
5. 범용[庸]과 평상[常] ... 254
6. 명(明)과 성(誠) ... 256
제16장 세계정치와 세계철학
1. 진(秦)의 통일 이전의 정치상황 ... 260
2. 중국의 통일 ... 262
3. 대학(大學) ... 263
4. 순자(荀子)의 절충적 경향 ... 265
5. 장자(莊者)의 절충적 경향 ... 267
6. 사마담과 유홈 ... 269
7. 중국적 민족주의에 대한 주석 ... 270
제17장 동중서(董仲舒) : 한제국(漢帝國)의 이론가
1. 음양가와 유가의 혼합 ... 276
2. 우주론 ... 278
3. 인성론 ... 280
4. 사회 윤리 ... 282
5. 정치철학 ... 283
6. 역사철학 ... 285
7. 《춘추(春秋)》에 관한 해석 ... 286
8. 사회발전의 세 단계 ... 287
제18장 유가의 독존(獨尊)과 도가의 부흥(復興)
1. 사상의 통일 ... 292
2. 한대 사상에서의 공자의 지위 ... 295
3. 고문학파(古文學派)와 금문학파(今文學派)의 투쟁 ... 296
4. 양웅(楊雄)과 왕충(王充) ... 298
5. 도가와 불학(佛學) ... 300
6. 정치ㆍ사회의 배경 ... 301
제19장 신도가 1 : 합리주의자들
1. 명가에 대한 관심의 부흥 ... 308
2. 공자의 재해석 ... 309
3. 향수(向秀)와 곽상(郭象) ... 311
4. '도(道')'는 '무(無)'다 ... 312
5. 만물의 독화(獨化) ... 314
6. 제도와 도덕 ... 317
7. 유위(有爲)와 무위(無爲) ... 318
8. 지식(知識)과 모방(模倣) ... 320
9. 사물의 평등[齊物] ... 323
10. 절대자유와 절대행복 ... 324
제10장 신도가 2 : 정감주의자들
1. 풍류와 낭만주의 ... 330
2. 양주(楊朱)의 쾌락의 동산 ... 331
3. 홍에 따라 사는 인생 ... 335
4. 정감적 요소 ... 338
5. 성(性)적 요인 ... 341
제21장 중국불학의 건립
1. 불교의 전파와 발전 ... 346
2. 불학의 일반적 개념 ... 348
3. 이제설(二諦說) ... 350
4. 승조(僧肇)의 철학 ... 351
5. 도생(道生)의 철학 ... 355
제22장 선(禪) : 침묵의 철학
1. 선종의 역사에 대한 전통적 설명 ... 364
2. 불립문자(不立文字)의 도 ... 366
3. 수양방법 ... 368
4. 돈오(頓悟) ... 372
5. 얻음이 없는 얻음[無得之得] ... 373
제23장 신유가(新儒家) 1 : 우주론자들
1. 한유(韓愈)와 이고(李?) ... 379
2. 주돈이(周敦?)의 우주론 ... 381
3. 정신적 수양방법 ... 383
4. 소옹(雄雍)의 우주론 ... 385
5. 만물의 진화법 ... 388
6. 장재(張載)의 우주론 ... 390
제24장 신유가(新儒家) 2 : 두 학파의 발단
1. 정호의 인(仁) 사상 ... 396
2. 정주(程朱)의 리(理)사상에 관한 기원 ... 399
3. 정이(程?)의 리(理) 관념 ... 400
4. 감정을 처리하는 방법 ... 402
5. 행복[樂]의 탐구 ... 405
제25장 신유가(新儒家) 3 : 이학(理學, 주자학)
1. 중국역사상 주희의 지위 ... 412
2. 리(理) : 원리(原理) ... 413
3. 태극(太極) ... 416
4. 기(氣) : 물질 ... 418
5. 심(心)과 성(性) ... 421
6. 정치철학 ... 425
7. 정신수양방법 ... 427
제26장 신유가 4 : 심학(心學) - 양명학(陽明學)
1. 육구연의 '마음[心]'에 관한 관념 ... 432
2. 왕수인의 우주관 ... 434
3. 밝은 덕[明德] ... 436
4. 양지(良知) ... 438
5. 격물(格物)은 정사(正事) ... 441
6. 마음의 경건함[敬] ... 443
7. 불교사상의 비판 ... 444
제27장 서양철학의 도입
1. 신유학에 대한 반동 ... 450
2. 공자교(孔子敎)를 위한 운동 ... 454
3. 서양사상의 전래 ... 457
4. 서양철학의 전래 ... 460
제28장 현대중국의 철학
1. 철학가와 철학사가 ... 466
2. 전쟁 중의 철학적 저서 ... 467
3. 철학의 본성 ... 471
4. 생활환경 ... 472
5. 형이상학의 방법론 ... 475
영어참고서명 ... 479
찾아보기 ... 487
제1장 중국 철학의 정신
1. 중국문화상 철학의 위치 ... 26
2. 중국철학의 문제와 정신 ... 31
3. 중국철학의 표현방법 ... 36
4. 언어장벽 ... 39
제2장 중국철학의 배경
1. 중국인의 지리적 배경 ... 42
2. 중국인의 경제적 배경 ... 43
3. 농업의 숭상 ... 44
4. 되돌아가려고 하는 것은 도(道)의 움직임이다(反者道之動) ... 45
5. 자연의 이상화(理想化) ... 46
6. 가족제도(家族制度) ... 47
7. 세간(世間)과 출세간(出世間) ... 48
8. 중국예술(中國藝術)과 시(詩) ... 49
9. 중국철학의 방법론(方法論) ... 50
10. 해양국(海洋國)과 대륙국(大陸國) ... 52
11. 중국철학의 불변요소(不變要所)와 가변요소(可變要素) ... 54
제3장 제자백가(諸子百家) : 여러 학파의 기원
1. 사마담(司馬談)과 육가(六家) ... 58
2. 유흠(劉欽)의 제자백가론 ... 61
3. 유흠학설의 수정(修正) ... 66
제4장 공자(孔子) : 인류의 스승
1. 공자의 육경(六經) ... 72
2. 교육자로서의 공자 ... 74
3. 정명론(正名論) ... 75
4. 인의(人義) ... 76
5. 충서(忠恕) ... 77
6. 지명(知命) ... 79
7. 공자의 정신적 발전단계 ... 81
8. 중국역사상 공자의 지위 ... 83
제5장 묵자(墨子)
1. 묵가의 사회적 배경 ... 86
2. 유가에 대한 비판 ... 89
3. 함께 아끼는 겸애(兼愛) ... 90
4. 천지(天志)와 명귀(明鬼) ... 94
5. 외견상의 불일치 ... 95
6. 국가의 기원 ... 97
제6장 양주(楊朱) : 도가의 선구자
1. 초기 도가와 은자 ... 102
2. 양주의 근본사상 ... 103
3. 양주사상의 예화(例話) ... 104
4. 노장(老莊) 속의 양주사상 ... 106
5. 도가의 발전 ... 108
제7장 맹자(孟子) : 유가의 이상주의자
1. 인성(人性)은 선하다 ... 113
2. 유가와 묵가의 근본적 차이점 ... 115
3. 정치 철학 ... 117
4. 신비주의 ... 122
제8장 명가(名家)
1. 명가(名家)와 변자(辨者) ... 128
2. 혜시의 상대성 이론 ... 133
3. 공손룡의 보편자론 ... 138
4. 혜시와 공손룡 학설의 의미 ... 143
제9장 노자(老子) : 도가의 제2단계
1. 노자의 인물과 책 ... 146
2. 도(道) : 무명(無名) ... 147
3. 자연의 상도(常道) ... 150
4. 인간행위 ... 152
5. 정치철학 ... 156
제10장 장자(壯子) : 도가사상의 3단계
1. 장자(莊子)라는 인물과 《장자(莊子)》라는 책 ... 163
2. 상대적 행복을 얻는 길 ... 163
3. 정치ㆍ사회철학 ... 165
4. 정감[情]과 이치[理] ... 167
5. 절대적 행복을 달성하는 길 ... 170
6. 유한한 관점 ... 171
7. 고차적인 관점 ... 173
8. 고차원의 지혜[知] ... 175
9. 신비주의 방법론 ... 178
제11장 후기 묵가
1. 지식과 이름에 관한 토론 ... 183
2. '변'에 관한 토론 ... 185
3. 겸애설(兼愛說)을 분명히 함 ... 187
4. 겸애설의 변호 ... 190
5. 제가(諸家)에 대한 비평 ... 192
제12장 음양가(陰陽家)와 선진의 우주발생론
1. 여섯 가지 종류의 술수 ... 198
2. 홍범(洪範)에 나타난 오행(五行) ... 200
3. 월령(月令) ... 203
4. 추연(騶衍) ... 205
5. 역사철학 ... 206
6. 역전(易傳)의 음양원리 ... 208
제13장 순자(荀子) : 이상주의자
1. 인간의 지위 ... 214
2. 인성론(人性論) ... 216
3. 예(禮)의 기원 ... 217
4. 예악론(禮樂論) ... 219
5. 정명론(正名論) : 논리이론 ... 223
6. 제가(諸家)의 오류 ... 227
제14장 한비자(韓非子)와 법가(法家)
1. 법가의 사회적 배경 ... 230
2. 한비자(韓非子) : 법가를 체계화(集大成)한 자 ... 232
3. 법가의 역사철학 ... 233
4. 통치방법 ... 235
5. 법가와 도가(道家) ... 238
6. 법가와 유가(儒家) ... 241
제15장 유가의 형이상학
1. 도(道) ... 244
2. 생성(生成)의 도 ... 247
3. 변역(變易)의 도 ... 249
4. 중(中)과 화(和) ... 251
5. 범용[庸]과 평상[常] ... 254
6. 명(明)과 성(誠) ... 256
제16장 세계정치와 세계철학
1. 진(秦)의 통일 이전의 정치상황 ... 260
2. 중국의 통일 ... 262
3. 대학(大學) ... 263
4. 순자(荀子)의 절충적 경향 ... 265
5. 장자(莊者)의 절충적 경향 ... 267
6. 사마담과 유홈 ... 269
7. 중국적 민족주의에 대한 주석 ... 270
제17장 동중서(董仲舒) : 한제국(漢帝國)의 이론가
1. 음양가와 유가의 혼합 ... 276
2. 우주론 ... 278
3. 인성론 ... 280
4. 사회 윤리 ... 282
5. 정치철학 ... 283
6. 역사철학 ... 285
7. 《춘추(春秋)》에 관한 해석 ... 286
8. 사회발전의 세 단계 ... 287
제18장 유가의 독존(獨尊)과 도가의 부흥(復興)
1. 사상의 통일 ... 292
2. 한대 사상에서의 공자의 지위 ... 295
3. 고문학파(古文學派)와 금문학파(今文學派)의 투쟁 ... 296
4. 양웅(楊雄)과 왕충(王充) ... 298
5. 도가와 불학(佛學) ... 300
6. 정치ㆍ사회의 배경 ... 301
제19장 신도가 1 : 합리주의자들
1. 명가에 대한 관심의 부흥 ... 308
2. 공자의 재해석 ... 309
3. 향수(向秀)와 곽상(郭象) ... 311
4. '도(道')'는 '무(無)'다 ... 312
5. 만물의 독화(獨化) ... 314
6. 제도와 도덕 ... 317
7. 유위(有爲)와 무위(無爲) ... 318
8. 지식(知識)과 모방(模倣) ... 320
9. 사물의 평등[齊物] ... 323
10. 절대자유와 절대행복 ... 324
제10장 신도가 2 : 정감주의자들
1. 풍류와 낭만주의 ... 330
2. 양주(楊朱)의 쾌락의 동산 ... 331
3. 홍에 따라 사는 인생 ... 335
4. 정감적 요소 ... 338
5. 성(性)적 요인 ... 341
제21장 중국불학의 건립
1. 불교의 전파와 발전 ... 346
2. 불학의 일반적 개념 ... 348
3. 이제설(二諦說) ... 350
4. 승조(僧肇)의 철학 ... 351
5. 도생(道生)의 철학 ... 355
제22장 선(禪) : 침묵의 철학
1. 선종의 역사에 대한 전통적 설명 ... 364
2. 불립문자(不立文字)의 도 ... 366
3. 수양방법 ... 368
4. 돈오(頓悟) ... 372
5. 얻음이 없는 얻음[無得之得] ... 373
제23장 신유가(新儒家) 1 : 우주론자들
1. 한유(韓愈)와 이고(李?) ... 379
2. 주돈이(周敦?)의 우주론 ... 381
3. 정신적 수양방법 ... 383
4. 소옹(雄雍)의 우주론 ... 385
5. 만물의 진화법 ... 388
6. 장재(張載)의 우주론 ... 390
제24장 신유가(新儒家) 2 : 두 학파의 발단
1. 정호의 인(仁) 사상 ... 396
2. 정주(程朱)의 리(理)사상에 관한 기원 ... 399
3. 정이(程?)의 리(理) 관념 ... 400
4. 감정을 처리하는 방법 ... 402
5. 행복[樂]의 탐구 ... 405
제25장 신유가(新儒家) 3 : 이학(理學, 주자학)
1. 중국역사상 주희의 지위 ... 412
2. 리(理) : 원리(原理) ... 413
3. 태극(太極) ... 416
4. 기(氣) : 물질 ... 418
5. 심(心)과 성(性) ... 421
6. 정치철학 ... 425
7. 정신수양방법 ... 427
제26장 신유가 4 : 심학(心學) - 양명학(陽明學)
1. 육구연의 '마음[心]'에 관한 관념 ... 432
2. 왕수인의 우주관 ... 434
3. 밝은 덕[明德] ... 436
4. 양지(良知) ... 438
5. 격물(格物)은 정사(正事) ... 441
6. 마음의 경건함[敬] ... 443
7. 불교사상의 비판 ... 444
제27장 서양철학의 도입
1. 신유학에 대한 반동 ... 450
2. 공자교(孔子敎)를 위한 운동 ... 454
3. 서양사상의 전래 ... 457
4. 서양철학의 전래 ... 460
제28장 현대중국의 철학
1. 철학가와 철학사가 ... 466
2. 전쟁 중의 철학적 저서 ... 467
3. 철학의 본성 ... 471
4. 생활환경 ... 472
5. 형이상학의 방법론 ... 475
영어참고서명 ... 479
찾아보기 ... 48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