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4
일러두기 ... 8
제1부
1장 '사이'의 미학과 그 의미 ... 15
1. 문제제기 ... 15
2. 사이에서 들여다보기 ... 18
1) 역설의 미학 ... 18
2) 열림의 미학 ... 24
3) 경계의 미학 ... 33
3. 18세기 '사이'의 의미 ...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4
일러두기 ... 8
제1부
1장 '사이'의 미학과 그 의미 ... 15
1. 문제제기 ... 15
2. 사이에서 들여다보기 ... 18
1) 역설의 미학 ... 18
2) 열림의 미학 ... 24
3) 경계의 미학 ... 33
3. 18세기 '사이'의 의미 ... 37
2장 우정론의 문학ㆍ사회적 의미 ... 43
1. 머리말 ... 43
2. 조선 후기 우정론의 형성 배경 ... 45
3. 18세기 우정론의 양상 ... 48
1) 비기형제(非氣兄弟) 의식 ... 48
2) 교불택인(交不擇人) 태도 ... 52
3) 자의식의 과잉 ... 57
4. 18세기 우정론의 의미 ... 63
3장 지식인의 자아의식 ... 67
1. 머리말 ... 67
2. 고민하는 자아 ... 68
3. 길 위에서 자아 찾기 ... 78
4. 새로운 자아의 탐색 ... 84
5. 18세기 자의식의 현재적 의미 ... 91
4장 독서론과 독서방식의 변화 ... 95
1. 문제제기 ... 95
2. 문자관, 독서관의 변모 ... 98
3. 독서론과 독서방식의 변화 ... 102
1) 의리추구에서 실용과 진실성으로 ... 102
2) 글쓴이 마음에서 읽는이 마음으로 ... 108
3) 존숭에서 회의, 유추로 ... 112
4) 숙독에서 백과전서식 독서열로 ... 119
4. 조선후기 독서론의 현재적 의미 ... 124
5장 새로운 글쓰기의 대응양상과 의미 ... 129
1. 문제제기 ... 129
2. 신문체(新文體)의 대응논리 ... 132
1) 도불일괄(道不一括)의 태도 ... 133
2) 심미관의 변모 ... 140
3) 시문(時文)의 가치 옹호 ... 146
3. 18세기 새로운 글쓰기의 의미 ... 152
제2부
1장 18세기 실학자의 사유 방식 ... 159
1. 머리말 ... 159
2. 통합의 논리: 중(中) ... 160
3. 상황의 논리: 권(權) ... 172
4. 균형과 포용의 사유체계 ... 180
5. 마무리 ... 186
2장 18세기 한 광사(狂士)의 자아 찾기 ... 189
1. 서론 ... 189
2. 송욱, 진실된 자아의 광사(狂士) ... 190
3. 계우, 외물에 의탁한 주성(酒聖) ... 197
4. 작품의 주제 ... 202
5. 결론 ... 204
3장 박제가 시에 나타난 갈등과 고독의 세계 ... 209
1. 문제제기 ... 209
2. 초청 시에 나타난 갈등과 내면 의식 ... 211
1) 경세제민의 포부와 현실 사이의 갈등 ... 211
2) 관리 생활과 신분적 한계 사이의 갈등 ... 217
3) 한가 속의 고적(孤寂) ... 224
4) 무상과 우수의 정조 ... 229
3. 결론 ... 233
4장 박제가의 언어 문자관과 문학 세계 ... 237
1. 문제제기 ... 237
2. 박제가의 언어 문자관과 문학 태도 ... 238
1) 역(易)과 자(字)의 동등한 가치 인식 ... 239
2) 문자의 본래적 기능 강조 ... 249
3) 소리와 글자의 일치 지향 ... 255
3. 결론 ... 263
5장 박지원의 「환희기」에 나타난 글쓰기 요령 ... 267
1. 문제제기 ... 267
2. 환희에 대한 일반 글쓰기 태도 ... 269
3. 박지원의 「환희기」와 글쓰기 전략 ... 273
4. 요술과 본다는 것 ... 285
5. 마무리 ... 290
6장 「상기」에 나타난 박지원의 글쓰기 전략 ... 293
1. 문제제기 ... 293
2. 「상기」의 구성과 글쓰기 전략 ... 295
3. 「상기」의 주제와 선변의 정신 ... 312
4. 결론 ... 318
참고문헌 ... 320
찾아보기 ... 32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