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한의대학교 향산도서관

상세정보

부가기능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프레임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프레임/ 최인철 지음.
개인저자최인철
발행사항파주: 북이십일21세기북스, 2007.
형태사항213 p.: 삽화, 도표; 23 cm.
총서사항KI신서;1096.
ISBN9788950911546
서지주기참고문헌: p. 207-213
비통제주제어심리학
분류기호189
언어한국어

소장정보

  • 소장정보

캠퍼스간대출 캠퍼스간대출 소재불명도서 소재불명도서 자료배달서비스 자료배달서비스 인쇄 인쇄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M0354428 RM 189 최인철ㅍ 삼성캠퍼스/종합자료실-독서마라톤/ 대출가능 캠퍼스간대출 소재불명도서 자료배달서비스 인쇄 이미지
false|true|true|false |true|true |
 
2 M0354429 RM 189 최인철ㅍ C2 삼성캠퍼스/종합자료실-독서마라톤/ 대출가능 캠퍼스간대출 소재불명도서 자료배달서비스 인쇄 이미지
false|true|true|false |true|true |
 
3 M0357269 RM 189 최인철ㅍ C3 삼성캠퍼스/종합자료실-독서마라톤/ 대출가능 캠퍼스간대출 소재불명도서 자료배달서비스 인쇄 이미지
false|true|true|false |true|true |
 
4 M0357270 분 189 최인철ㅍ C4 수성캠퍼스/대출자료실/ 대출가능 캠퍼스간대출 소재불명도서 인쇄 이미지
false|true|true|false |true|true |
 
5 M0542789 엄 189 최인철ㅍ C5 삼성캠퍼스/개인문고실(4층)/ 대출불가(별치) 인쇄 이미지
false|true|true|false |true|true |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지은이의 글 : 심리학에서 배운 인생의 지혜 ... 6
프롤로그 : 세상을 보는 마음의 창, 프레임 ... 10
   핑크대왕 퍼시
   프레임으로 보는 세상
1 나를 바꾸는 프레임 ... 19
   행복을 결정하는 것
   삶과 죽음을 결정하는 프레임
   실패를 부르는 회피 프레임
   틀 속에 갇힌 마음
   히스토리와 허스토리
   편견의 실수
  ...

more더보기

목차 전체


서평(리뷰)

  • 서평(리뷰)
프레임 [ ***2602566 | 2024-06-02 ] 5 | 추천 (0)
프레임을 읽고 나면 세상을 보는 관점이 달라진다. 단, 프레임이라는 개념을 단순히 마음가짐으로만 새기고 넘어가면 안되고, 세상을 어떤 관점으로 봐야 하고, 생각하고, 판단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알려주는 책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세상을 바라보는 지혜를 알려주는 책이다. 내가 조금이라도 지혜로운 사람이 되고싶거나 나만의 줏대를 가지고 살아가고 싶은 사람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뿐만 아니라 프레임은 나 자신을 바라보는 계기를 만들어주며, 책을 주의깊게 읽다보면 자연스럽게 내 삶을 되돌아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내 삶을 재정비하고 싶을 때 읽으면 좋은 책이다
프레임을 읽고 [ ***2494011 | 2022-06-22 ] 5 | 추천 (0)
살아가면서 마주하게 되는 다양한 상황들에 대해서 우리가 겪게 되는 심리에 대해 저술해 놓았다. 특히 긍정 언어에 관한 내용이 인상 깊었다. 한 사람의 언어는 그 사람의 프레임, 즉 주체성을 결정하는데, 1932년 미국의 젊은 수녀들이 쓴 간증문의 내용을 통해서 언어가 생명과도 연결되어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내가 매일 사용하는 단어들, 내가 자주 사용하는 말들의 특징이 무엇인지 곰곰히 생각해보니 긍정적인 단어가 부족하다고 느껴졌고, 앞으로 사용하는 말들에 좀 더 유의해서 긍정으로 채워나가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프레임 [ ***2467534 | 2021-10-06 ] 4 | 추천 (0)
이 책은 제목 그대로 프레임이라는 행동경제학의 개념으로 세상을 어떤 틀에 맞춰 바로보고 있는지에 대해 연구한 내용들로 구성되었다. 이 책을 읽고나서 내가 정말 이토록 나 밖에 모르는 사람이었나 라는 생각을 많이 했었다. 이렇게 생각할 수 있었던 이유는 미국에서 직접 연구한 결과를 가지고 서술되어있기 때문에 객관적 근거가 있으므로 그만큼 자기반성을 할 수 있었고, 내가 그동안 어떤 관점으로 세상을 바로보고 있었는지 현실을 직시할수 있었다. 재밌었던 스토리는 동메달이 은메달보다 행복한 이유에 대한 이야기였다. 실제로도 동메달리스트들이 은메달리스트보다 행복감과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 이유가 동메달리스트가 생각했던 기대치가 노메달일 수 있다는 생각이 마음속에 있었기에 생각치도 못했던 메달을 얻게 되었을 때 그 성취가 은메달리스트들 보다 높게 도달했다는 것이었다. 확실히 객관적인 지표가 바탕이 되어 이야기가 진행되니깐 더 믿음이 가고 흥미로웠던 스토리였다.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프레임 [ ***2450062 | 2019-11-20 ] 5 | 추천 (0)
책을 읽고 가장 뜻깊게 나를 깨우쳤던 점은 행복에 대해서이다. 이제껏 단순히 내 삶이 행복하고 싶다. 행복해지고 싶다. 만 바라보았을 뿐 과연 행복이 무엇인지에 대한 의미 파악은 하지 않았었다. 하지만 행복은 그 어디에 있는것이 아니라 나 자신이 그 의미를 찾아 피부로 몸소 느끼는것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아주 사소하고 쓸모없다고 생각이 드는 일일지라도, 그것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을 통해 상위 수준의 행복 프레임을 만드는 연습을 해야한다. 틀을 바꾸는 것이 처음은 어렵겠지만 조금씩 습관을 들이다보면 나에게도 곧 행복이 눈앞에 있지않을까 생각했다.
프레임 [ ***2420551 | 2019-11-01 ] 4 | 추천 (0)
프레임이란 정지 영상의 낱장들을 뜻하는 말이다. 영화에서 필름 낱장 한장한장들을 뜻하는 말에서 유래되었는데 여기서 말하는 '프레임'이란 관점이다. 세상을 바라볼 때 어떠한 관점으로 바라보고 어떤 사람들은 고정관념의 틀에 박혀서 바라볼 수 밖에 없는 사람들도 있다. 사실상 자기가 정해놓은 자신의 프레임을 바꾸기가 쉽지않다. 하지만 여기서는 그 틀에 박혀있는 프레임을 잘못되게 생성되는 것들을 어떻게 더 나은 방향으로 바꿀 수 있는지를 설명해주고 있다.
프레임 [ ***2440219 | 2019-10-19 ] 3 | 추천 (0)
저자가 책에서 이야기하는 것처럼 맥락이나 관점 가정등은 타인이 만들어 내는게 아니라 자기 스스로가 만들어 내는 것이다. 프레임은 내 자신이 어떻게 상대를 인지해 생각하는 것을 어떤 한 부분만 바라보며 제약하고 그 제약으로부터 상대를 생각하는 제약을 스스로 만들어 낸다. 자기 자신이 처해진 상황에 따라 관점과 바라보는 시점이 달라진다. 나만의 프레임을 만들어야겠다.
프레임 [ ***2448300 | 2019-09-21 ] 5 | 추천 (0)
저자는 프레임이란 세상을 바라보고 있는 마음이라고 말한다. 내가 책을 읽고난 후 내가 생각하는 프레임의 정의는 더 확실하다고 생각한다. 프레임이란 집중과 반복의 연속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생각하는 거이상으로 프레임에 노출되어있다고 생각한다. 항상 노출되지만 의식하지 못한다면 흐름대로 인식하지 못한채 살아간다. 내가 살아있는동안 프레임을 항상 보고 살아왔다니 그저 놀라울수밖에 없다. 생각하면서 살기를 배운다.
프레임 [ ***2456004 | 2019-06-04 ] 4 | 추천 (0)
프레임은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마음의 창문이다. 인생을 살아오면서 주변의 환경 등에 따라 프레임이 다 다른데 이 창을 넓힐수록 세상을 더 넓게 바라볼 수 있는 것 같다. 그말은 곧 왜곡과 고정관념에 흔들리지 않고 바르게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는 힘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다시한번 편견이나 고정관념에 대해서 생각해보게되었고 내 프레임도 '잘'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자기자신을 알아가고싶은 사람에게 추천할만한 책인 것 같다.
[ ***2431354 | 2019-05-14 ] 3 | 추천 (0)
나는 생각한다. 사람이라면 어떤한 색안경 즉, 프레임을 가지고 모든것을 판단하고 생각하게 된다. 그 이유는 이때까지 살아온 삶에 대비해서 생각하기때문에 그것이 즉, 프레임이라고 생각한다. 책을 읽으면서도 그렇게 생각했다. 따라서 책의 제목처럼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프레임처럼 어떠한것이든 어떠한 프레임을 가지고 생각하느냐에 따라 나의 생각의 폭이 달라진다. 그렇기에 사실은 프레임이라는 것이 무섭다고 생각한다. 이 프레임이 어떻게 씌워지느냐에 따라 사람이나 물건을 보는 시선이나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책을 읽으며 많이 깨달았다. 다방면으로 볼줄 알아야하며 생각해야한다는 것을 말이다. 이것이 말이 쉽지 쉽사리 되지 않기에 앞으로 많은 노력을 해야할 것같다. 나의 프레임을 깨려면 말이다.
프레임 [ ***2365644 | 2018-12-29 ] 3 | 추천 (0)
심리학은 우리 마음이 얼마나 많은 착각과 오류, 오만과 편결, 실수와 오해로 가득 차 있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동시에 이런 허점들이 프레임이라고 하는 마음의 창에 의해서 생겨남을 증명하고 있다. 건물 어느 곳에 창을 내더라도 그 창만큼의 세상을 보게 되듯이, 우리도 프레임이라는 마음의 창을 통해서 보게 되는 세상만을 볼 뿐이다. 우리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객관적으로 보고 있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프레임을 통해서 채색되고 왜곡된 세상을 경험하고 있다. 지혜로운 사람의 11가지 프레임을 제시해주는 책을 통해서, 11가지만이 아닌 나만의 프레임을 만들어야겠다 생각하게 한 책이다.
‘세상에 구성된 작가만의 프레임, 그 프레임을 습득하다.’ [ ***2372187 | 2018-12-28 ] 3 | 추천 (1)
지혜는 한계를 인정하고 나아가는 것, 삶이 주는 프레임 그렇다고 놓지도 말 것, 새로움을 거부하는 힘은 편견, 비만을 해결하는 것은 스스로 얼마만큼 먹는 지 알고 줄여나가는 것, 애매함과 감각의 불확실성은 예술성을 도왔다. 이 사람은 세상의 틀을 다르게 보았다. 프레임이라고 보았으며, 이것을 구체화 함으로 바꾸기도 하고 변화하기도 하였다. 이것은 스스로 어떤 주인공이 되어있을지 만들게도 하였고, 어떤 변화를 가져오게도 하였으며, 구체적인 것을 볼 수 있게 되어 이것으로 인한 현상이나 아이디어, 다양한 모습들을 두 눈으로 적으면서 현상을 글로 볼 수 있게 되었다.
프레임 [ ***2396238 | 2018-12-17 ] 3 | 추천 (0)
우리가 매일 보고 듣는 말이나 내용은 개애인의 프레임에 대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누군가, 저 사람은 어떻고 저 세상은 어떻다라고 평가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이 어떤 프레임을 가지고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알고있다. 나는 이책을 읽으면서 프레임이 어떠한 고정관념을 심어주는지에대한 것을 알수도 있었다. 이 책은 우리에게 프레임을 어떻게 풀어나가야하는지에 대한 지혜를 알려준다. 외곬수처럼 나아가는 사람들이라면 한번 쯤 읽어볼만한 책이다.
프레임 [ ***2425332 | 2018-11-21 ] 3 | 추천 (0)
작가는 지혜를 이렇게 정의한다. '지혜는 한계를 인정하는 것이다.' 지혜란 자신이 아는 것과 알지 못하는 것,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사이의 경계를 인식하는 데서부터 출발한다고 한다. 세상을 바라보는 마음의 창이 바로 프레임이다. 세상을 향한 마인드, 은유, 고정관념 등이 모두 프레임에 속한다.♧이 책은 프레임의 원리와 역할, 종류를 설명하며 마지막으로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 어떠한 프레임을 가질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프레임 [ ***2446277 | 2018-05-16 ] 5 | 추천 (0)
프레임이라는 것은 특정방향으로 바라보게 한다. 우리의 한계, 편견을 의미하기도 한다. 편견은 사람들에게 실수를 가져다주고 좁은 한계선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프레임이 생겼다는 것은 무섭게도 다가오기도 한다. 짧은 기간으로 사람을 준비하게 하는 힘을 가지게 하며 하물며 긴 기간으로 형성된 것은 엄청난 힘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프레임이라는 것은 습관이랑 비슷하다고 느꼈다. 습관이라는 것도 짧은 시간, 긴 시간 안에 생기기도 하고 습관이라는 것이 생겼을 때는 죽음에 몰지라도 사라지지 않을 정도에 강력한 힘을 가졌기 때문이다. 물론 편견을 가지게 하지는 않지만 같은 맥락을 가졌다고 생각하다.
세상의 중심 [ ***2452442 | 2018-04-11 ] 3 | 추천 (0)
프레임은 주변의 사소한 물건들을 통해서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도 우리의 행동을 좌지우지할 수 있다고 한다. 고로 프레임은 단순히 '마음먹기'에만 달린 문제가 아니다. 우리 주변의 물건들이 단순한 생활의 도구가 아니라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결정짓는 프레임의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깨닫고 나면 사소한 선택도 더욱 신중해질 수밖에 없고 프레임에 대한 깨달음이 왜 중요한지 이해할 수 있다. 같은 행동도 어떻게 프레임 하느냐에 따라 삶에서 얻어내는 결과물은 현저히 달라진다. 이것이 프레임을 알아야 하는 이유이다. 같은 일에는 똑같이 행동할 거라 믿었던 나조차 어떻게 프레임 하느냐에 따라 나의 선택은 달라졌다. 나의 선택을 달리할 수 있는 프레임이라면 프레임을 제대로 이해하고 의미 중심의 프레임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싶다.
프레임 [ ***2464857 | 2018-04-03 ] 5 | 추천 (0)
프레임이란 '세상을 바라보는 마음의 창'을 의미한다. 우리는 살아오면서 각자의 안경에 색을 계속해서 덧칠해가고, 또한 그 안경을 계속 칠하면서 살아간다. '프레임'은 독자들이 책을 읽는 순간동안 다양한 색의 안경을 써보게 해준다. 지금까지의 세상이 검은색인 것을 알면서도 회색으로 봐왔다고 생각하던 독자에게, 세상은 검은색이 아니며 파란색, 노란색으로도 볼 수 있음을 알려준다. 이 책은 우리 생각의 틀에서 한 발짝 떨어져, 어떻게 그 한계와 오해의 색을 벗게 해주는 책이다. ' 한 인간에게서 모든 것을 빼앗아 갈 수는 있지만, 한 가지 자유는 빼앗아 갈 수 없다. 바로 어떤 상황에 놓이더라도 삶에 대한 태도만큼은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자유이다.'(프레임 中 - 빅터 프랭클)
프레임이라는 색안경 [ ***2360136 | 2016-04-13 ] 5 | 추천 (0)
우리는 세상을 살아가면서 여러가지를 보지만 대체로 우리는 흑백으로밖에 세상을 볼수밖에 없다. 사회의 영향이든, 자기가 살아온 환경이든, 자기가 보고 느끼고 생각해서 쌓여진 업이든 간에 결국 흑백이라는 두가지로 밖에 볼 수 없다. 이것이 옳다, 아니다. 이게 대체로 우리가 판단하는 상식이다. 좀더 넓게 생각하고 좀더 깊이 생각해야 하지만 그게 잘 되지않는다. 왜냐면 귀찮고, 단순한걸 좋아하는 우리로써는 많이 생각하지 않기 떄문이다. 프레임이라는 틀에 갇혀 우리는 울타리 속의 양과 같은 처지나 다름없다. 좀 더 다른 관점으로 봤을때 세상은 달라 보일수 있다.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로그인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