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제Ⅰ부 이데올로기적 환경
제1장 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 11
1. 이데올로기의 기원과 전개 ... 11
2. 이데올로기의 기능과 속성 ... 15
3. 현대 사회와 이데올로기 ... 19
제2장 冷戰과 이데올로기 ... 22
1. 머리말 ... 22
2. 冷戰 體制와 韓國戰爭 ......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제Ⅰ부 이데올로기적 환경
제1장 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 11
1. 이데올로기의 기원과 전개 ... 11
2. 이데올로기의 기능과 속성 ... 15
3. 현대 사회와 이데올로기 ... 19
제2장 冷戰과 이데올로기 ... 22
1. 머리말 ... 22
2. 冷戰 體制와 韓國戰爭 ... 24
3. 冷戰에서 데탕트로, 再冷戰에서 新데탕트로? ... 29
4. 이데올로기의 東西에서 貧富의 南北으로 ... 33
5. 맺음말 ... 36
제3장 冷戰下에서의 東歐 ... 40
1. 東歐諸國의 탄생 ... 40
2. 사건별로 본 東歐의 개혁 운동 ... 43
3. 사회주의로의 독자 노선 ... 54
제4장 東歐와 西歐의 관계 ... 56
1. 東歐 共産圈의 성립 배경 ... 56
2. 冷戰으로 막힌 東·西歐 교류 ... 58
3. 東歐 변화의 배경 ... 59
4. 東歐의 경제적 곤란과 西歐의 필요 ... 60
5. 東·西歐, 상호 이해 관계의 합치점 찾아 ... 62
6. 東歐 改革主義와 西歐 ... 64
7. 헬싱키 선언과 유럽의 장래 ... 66
제5장 유럽 사회주의 ... 69
제6장 유럽에서의 反戰·反核 運動 ... 75
1. 전후 유럽의 실상 ... 75
2. 反戰·反核 運動의 배경 ... 79
3. 미·소의 경쟁과 유럽의 장래 ... 83
제7장 현대 사회와 폭력 ... 86
1. 폭력의 원인과 배경 ... 86
2. 폭력 이론의 계보 ... 89
3. 현대적인 폭력과 사회 ... 93
제8장 공산주의의 변천과 유형 ... 97
1. 공산주의의 성립 ... 97
2. 공산주의의 분화 및 변화 ... 108
3. 맺음말 ... 127
제9장 네오마르크시즘 ... 133
1. 네오마르크시즘의 개념 문제 ... 133
2. 네오마르크시즘과 프랑크푸르트학파 ... 136
3. 네오마르크시즘에서의 쟁점들 ... 139
4. 네오마르크시즘의 한계 ... 146
제10장 신식민주의론 ... 149
1. 신식민주의론의 대두 ... 149
2. 신식민주의론의 내용 ... 151
3. 신식민주의론의 쟁점 ... 156
제11장 保守와 革新 ... 159
제Ⅱ부 분단국의 정치 환경
제1장 서독 공산당의 불법화 논쟁 ... 167
1. KPD의 불법화 논쟁 ... 167
2. 공산당의 기소 이유 ... 169
3. DKP의 등장과 저항 운동 ... 170
4. 공산당원의 직업 금지 조치 ... 172
제2장 서독의 파워 엘리트 ... 175
1. 머리말 ... 175
2. 독일 권력 엘리트들의 구성 ... 177
3. 독일 권력 엘리트들의 사회적 출신 성분 ... 179
4. 독일 권력 엘리트들의 교육 수준과 경력 ... 185
5. 맺음말 ... 191
제3장 서독의 정당 체제와 이익집단 ... 193
1. 독일 정당 체제의 역사적 배경 ... 193
2. 서독 각 정당의 발전 및 상황 ... 198
3. 서독 정당 체제의 특징 ... 208
4. 정당과 이익집단 ... 214
5. 서독의 주요 이익집단 ... 216
제4장 한국의 지방자치와 정당 ... 221
1. 문제의 제기 ... 221
2. 한국인의 정당관과 정당정치 ... 226
3. 역대 지방자치 선거와 정당 ... 231
4. 맺음말 ... 234
제5장 정당정치와 정치 자금 ... 238
1. 머리말 ... 238
2. 부패 방지와 정치 자금 규제를 위한 각국의 예 ... 241
3. 부패 방지를 위한 장치 ... 245
4. 맺음말 ... 248
제6장 한·서구 관계 : 1세기의 진맥 ... 251
1. 한·서구 수교의 재조명 ... 251
2. 한·서구 관계의 회고 ... 254
3. 한·서구 관계의 전망 ... 257
제7장 사회주의 인터내셔널(SI)과 한국 ... 260
1. 사회주의인터내셔널의 성립 배경과 성격 ... 260
2. 사회주의인터내셔널과 아시아 사회주의 정당들의 관계 ... 263
3. 사회주의인터내셔널의 활동과 한국 ... 268
4. 對 사회주의인터내셔널 접근을 위한 방안 ... 271
제8장 국제민주동맹(IDU)과 한국 ... 275
1. IDU의 설립 배경과 성격 ... 275
2. SI와 IDU의 활동 방향 비교 ... 279
3. IDU가 국제 정치에 미칠 영향력 타진 ... 284
4. IDU와 한국의 관계 ... 287
제Ⅲ부 통일 환경
제1장 분단 국가들의 통일 논의 ... 291
1. 머리말 ... 291
2. 독일의 분단과 통일 논의 ... 292
3. 중국의 분단과 통일 논의 ... 295
4. 오스트리아와 베트남 통일의 교훈 ... 299
제2장 통합 이론과 경험적 유형 ... 302
1. 통합의 개념과 이론의 유형 ... 302
2. 경험적 유형 ... 308
3. 통합 이론과 한반도 통일 문제 ... 324
제3장 동·서독 교류의 기원과 발전 ... 329
1. 동·서독 교류의 배경 ... 329
2. 각종 교류의 방법 및 현황 ... 333
3. 越境 교통과 인적 왕래 ... 337
4. 문화·교육·스포츠 및 언론인 교류 ... 340
5. 한반도에의 적용 문제 ... 343
제4장 동·서독의 학생 및 학술 교류 ... 345
1. 동·서독 교류의 배경 ... 345
2. 동·서독 교류의 실태 ... 347
3. 동·서독 교류의 특징과 전망 ... 353
제5장 무너진 베를린 장벽 30년 ... 356
1. 독일 분단은 독일 약화 수단 ... 358
2. 냉전 체제 속의 개혁의 씨앗 ... 359
3. 동방 정책의 승리 ... 361
4. 통일문제, 현실로 대두 ... 362
5. 독일은 하나다 ... 364
제6장 동방 정책과 북방 정책 ... 366
1. 서독의 동방 정책 추진 배경 ... 366
2. 서독 동방 정책의 목표 및 내용 ... 371
3. 동방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견해들과 평가 ... 377
4. 동방 정책과 북방 정책의 비교 ... 381
제7장 북한의 통일 정책 ... 389
1. 북한 통일 정책의 특성 ... 389
2. 북한 통일 정책의 문제점 ... 396
제8장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 ... 404
1.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의 기본 구도 ... 404
2. 새 통일 방안의 탄생 배경과 의의 ... 406
3. 실천의 의지가 문제 ... 409
제9장 독일 통일과 유럽의 장래 ... 412
1. 기존의 독일 통일 논의 ... 412
2. 동·서독 관계의 변화 ... 417
3. 독일 통일의 과정과 방법 ... 427
4. 독일 통일의 촉진 배경 ... 431
5. 독일 통일과 유럽의 장래 ... 433
제10장 한반도 통일 문제-어떻게 해야 하나? ... 435
1. 통일 논의, 왜 사라졌는가 ... 435
2. 통일 방안 남북 합의가 관건 ... 436
3. 통일에 대한 남·북한의 시각 차이 ... 438
4. 독일 통일에서 배울 점 ... 441
5. 「7·7선언」실천이 중요 ... 445
6. 지금 무엇을 해야 하나 ... 446
7. 북한측의 요구, 새로 검토해야 ... 448
책을 마무리 지으며 ... 449
著者의 著書 및 論文 目錄 ... 45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