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을 내면서/역사를 창조하는 것은 결국 사람이다 ... 25
1 유교란 무엇인가
유교는 정치와 윤리의 사상체계이다 ... 31
공자, 어지러운 세상을 떠돌다 ... 32
공자의 꿈 ... 34
한무제, 유교를 국교로 정하다 ... 37
공자를 계승한 맹자 ... 39
사람을 가르친 공자와 맹자 ... 41
순자의 성선설...
더보기
목차 전체
책을 내면서/역사를 창조하는 것은 결국 사람이다 ... 25
1 유교란 무엇인가
유교는 정치와 윤리의 사상체계이다 ... 31
공자, 어지러운 세상을 떠돌다 ... 32
공자의 꿈 ... 34
한무제, 유교를 국교로 정하다 ... 37
공자를 계승한 맹자 ... 39
사람을 가르친 공자와 맹자 ... 41
순자의 성선설과 맹자의 성악설 ... 45
푸른빛은 쪽빛에서 나온다 ... 47
2 기자조선은 실제로 있었을까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는 어떻게 다른가 ... 51
곰의 아들 단군, 은나라의 현인 기자 ... 54
기자조선은 유자들의 패러다이스 ... 58
3 삼국시대의 유교
고구려 백제 신라 그리고 가야 ... 65
고구려는 태학을 통해서 인재 양성 ... 67
고구려를 공격한 수 양제의 자멸 ... 69
백제 사람들은 능숙하게 문장을 지었다 ... 71
신라 대에 국사를 편찬하다 ... 74
원광의 세속오계와 화랑도 ... 76
일본에 간 백제의 오경박사 ... 78
4 후기신라의 유교
삼국을 통일한 신라 ... 83
망국의 한을 품고 일본으로 건너간 백제 사람들 ... 85
원효·설총·설중업 ... 89
국학과 독서삼품과는 관리의 등용문 ... 90
당나라 장안은 유학생의 도시 ... 94
중국에 문명을 떨친 최치원과 최언위 ... 96
5 불교의 나라 고려
고려왕조와 격동의 동아시아 ... 101
불교입국을 내세운 왕건의 훈요십조 ... 105
과거를 통해 널리 인재를 등용하다 ... 109
무신을 멸시하는 풍조가 싹트다 ... 111
6 유교를 우뚝 세운 성종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 117
불교를 비판한 최승로 ... 118
수신을 위한 불교, 치국을 위한 유교 ... 122
나라는 백성을 근본으로 삼는다 ... 124
학교를 세워야 한다 ... 126
고려와 송의 교류 ... 129
7 국자감과 사학 12공도
국립대학을 압도한 사립대학 ... 133
국자감의 학생 수는 200여 명 ... 135
송나라 사신이 본 국자감 ... 138
황홀하여라, 고려청자의 푸른빛 ... 141
묘청의 난 ... 143
유교의 사상체계를 완성한 주희 ... 145
8 무신정권기는 암흑기인가
이제부터 우리가 나라를 다스리겠다 ... 151
최씨 정권은 문인과 유학자를 우대했다 ... 153
30년 동안 몽골과 싸우다 ... 155
일본 원정 ... 158
무신의 칼 아래 꽃핀 문화 ... 161
9 원을 통해 주자학이 들어오다
맹자의 성선설에 근거한 성리학 ... 169
남송에서 박해받은 주자학을 원이 부활시켜 ... 172
유교의 개혁을 부르짖은 안향 ... 177
국자감에서 유교 전문대학 성균관으로 ... 179
불교를 반대하며 역성혁명으로 ... 182
10 역성혁명, 고려에서 조선으로
공민왕의 반원정책 ... 191
이성계, 위화도에서 말머리를 돌리다 ... 193
태조의 즉위교서 ... 197
조선이라는 이름은 아름답고 유래도 오래되었다 ... 200
사대는 종속인가 ... 202
500년 도읍지 서울 ... 204
11 정도전과 권근은 유교입국의 쌍벽
유교입국의 밑그림을 그린 정도전 ... 209
군주제와 재상제, 어느 쪽이 합리적일까 ... 212
새 왕조의 문교정책을 맡은 권근 ... 215
두 영웅은 양립하기 어렵다 ... 218
명은 대국으로 섬기고 ... 220
일본과는 이웃으로 지내고 ... 223
12 주자학으로 무장한 관료들
마을 학교에서조차 주자학만을 가르치니 ... 229
과거는 공정하게 치러졌을까 ... 233
위대한 문화유산 조선왕조실록 ... 238
고려왕조실록은 언제 없어졌을까 ... 242
13 수성의 군주 세종과 세조
백두산에 정계비를 세우다 ... 247
백성을 위하는 바른 문자를 만들리다 ... 249
언문은 학문을 방해합니다 ... 251
사육신과 생육신 ... 254
수양대군과 안평대군 ... 258
법전 경국대전과 한국통사 동국통감 ... 261
두 왕조를 섬기는 것은 불인인가 ... 265
14 사림파가 등장하고 사화가 이어지다
사림파의 등장 ... 271
연산군과 사화 ... 275
사림파와 훈구파의 대결 ... 278
불교를 중흥시킨 보우대사 ... 283
사림파가 동서로 갈라지다 ... 285
15 정계와 학계를 뒤흔든 성리학 논쟁
이황과 영남학파 ... 293
양명학도 학문이다 ... 296
이이와 기호학파 ... 299
십만의 군대를 길러 변란에 대비해야 ... 302
동인파는 영남학파 서인파는 기호학파 ... 306
화이부동이 군자의 길이건만 ... 309
16 다시 어지러운 동아시아 정세
일본, 조선을 침략하다 ... 317
강항은 오늘날의 충신 소무 ... 322
광해군의 갈등 ... 325
인조반정과 정묘호란 ... 329
동양의학의 고전 동의보감 ... 334
명나라에서 청나라로 ... 337
17 중화사상은 진정한 명분을 갖는가
소현세자와 아담 샬 ... 345
나라가 망해도 명분은 살아 있다 ... 351
현실을 망각한 무모한 북벌론 ... 354
주자를 반대하면 사문난적인가 ... 359
어떤 상복을 입는가에서 당쟁으로 비화 ... 364
18 문화군주 영·정조 시대에 꽃핀 실학사상
붕당이란 무엇인가 ... 373
탕평책을 써서 연립정권 수립 ... 377
정조, 규장각에 인재들을 모으다 ... 380
실학파의 선구자 유형원, 학문에 범위를 넓히다 ... 382
초야에 묻혀 백과전서를 저술한 성호 이익 ... 386
서학 연구의 싹을 짓밟은 신유사옥 ... 388
청나라는 선진국이라고 외친 북학파 ... 391
상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박제가 ... 393
사람에게 소용되는 학문을 주장한 정약용 ... 399
인간의 본성은 비슷한데 습관에 따라 바뀐다 ... 403
세한도에 자신의 마음을 남긴 김정희 ... 407
19 세계는 변하고 있다
청나라는 종이호랑이인가 ... 413
만국공법은 국제법 교과서 ... 417
왕을 무력하게 만든 안동 김씨의 세도정치 ... 421
경복궁은 다시 세우고 서원은 무너뜨리고 ... 425
프랑스와 미국 함대 조선을 침략하다 ... 431
반침략과 반근대의 이론을 주도한 화서학파 ... 433
서양의 대포를 주목해야 ... 437
나라의 문을 열어야 한다 ... 441
20 닫힌 나라에서 열린 나라로
운요호의 공격을 받고 강화도조약을 체결 ... 447
적은 적으로써 견제한다 ... 451
서양에 문을 열다 ... 452
임오군란을 업고 대원군 다시 정계로 ... 457
개국에서 개화로 가는 길 ... 460
러시아에 접근하여 청을 물리치겠다 ... 463
조공은 하지만 조선은 엄연한 독립국 ... 466
유교에서 말하는 개화사상 ... 468
과거제를 폐지하고 학교를 세우다 ... 473
민비 시해와 김홍집 내각의 몰락 ... 477
한국의 심장부에서 러시아와 일본이 싸워 ... 480
반일 의병장 최익현 ... 482
지행합일의 양명학은 행동철학이다 ... 485
대동교를 통해 유교 개혁을 외친 박은식 ... 489
지은이의 말/각 시대의 역사적 과제에 유자들은 어떻게 맞섰는가 ... 491
옮긴이의 말/새로운 시각에서 쓴 한국유교사 ... 495
찾아보기 ... 50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