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해제 ... 3
권1 총론
1. 동북의 함축된 뜻과 그 이칭 ... 51
동북이란 말의 함축된 뜻
동북의 이칭
요동(遼東)ㆍ요해(遼海)ㆍ안동(安東)의 뜻풀이
만주(滿州)라는 말의 사용 불가
남만(南滿)과 북만(北滿) 및 동몽고(東蒙古)
2. 동북사와 지방지 ... 71
동북의 지방총지(地方總志)
동북 구지(舊志)의 체제
...
더보기
목차 전체
해제 ... 3
권1 총론
1. 동북의 함축된 뜻과 그 이칭 ... 51
동북이란 말의 함축된 뜻
동북의 이칭
요동(遼東)ㆍ요해(遼海)ㆍ안동(安東)의 뜻풀이
만주(滿州)라는 말의 사용 불가
남만(南滿)과 북만(北滿) 및 동몽고(東蒙古)
2. 동북사와 지방지 ... 71
동북의 지방총지(地方總志)
동북 구지(舊志)의 체제
3. 동북사와 민족 ... 87
동북 민족의 계통
동북 민족 세력의 성쇠
4. 동북사와 지리 ... 99
동북구역의 건치(建置)
역대 동북구역의 확장과 축소
동북구역의 연혁
5. 동북사의 범위와 시대 구분 ... 111
동북사의 6시대
동북 전사(專史)로서 상고할 만한 것
권2 제1기 한족개발 시대 - 상고에서 한ㆍ위까지
1. 선사시대의 한족 ... 127
동북 지방의 선사 유적
숙신족(肅愼族)이 산동반도(山東半島)에서 일어남
2. 조선의 개척 ... 136
지금 동북 지구의 일부는 기씨(箕氏)조선에 속함
은(殷)나라 유민들이 기자(箕子)를 따라 동쪽으로 옮김
조선은 주나라 왕실의 번국(藩國)
은(殷) 민족과 동북 지방의 관계
3. 요동ㆍ요서의 설치 ... 145
연(燕)나라 장수 진개(秦開)의 영토 개척과 5군(五郡) 설치
만반한(滿潘汗) 고찰
요령성(遼寧城)에서 출토된 도포(刀布)
연(燕)ㆍ진(秦)의 장성(長城)과 한(漢)의 요동 고새(故塞)
4. 한의 조선 평정 ... 158
위만(衛滿)의 후조선(後朝鮮)
한 무제(武帝)가 조선을 정벌한 원인
조선 4군(四郡) 고찰
낙랑(樂浪) 왕씨(王氏)와 염사착(廉斯봞)
창해군(蒼海郡) 고찰
낙랑 동부교위(東部校尉)의 설치
5. 숙신과 읍루 ... 176
읍루는 숙신의 이칭
6. 부여족의 신장 ... 184
부여족과 맥족(貊族)의 관계
정겸(丁謙)이 말하는 전(前)ㆍ후(後) 고구려
2국(國) 현도군(玄도郡)의 소재지와 내사(內徙)
고구려 왕족은 부여에서 나옴
백제 왕족은 부여에서 나옴
부여국의 소재지
고구려 국도(國都)의 천사(遷徙)
7. 요서군과 요동속국 ... 203
요동속국의 설치
요서태수 조포(趙苞)의 죽음
고죽국(孤竹國)과 백이(伯夷)ㆍ숙제(叔齊)
8. 오환과 선비 ... 214
오환의 선조는 동호(東胡)
3군(三郡) 오환(烏桓)
조조(曹操)의 오환 파멸
전주(田疇)의 지절(志節)
오환의 마지막 이야기
요동 태수 제동(祭_d)의 선비족 격파
선비족 대추장 단석괴(壇石槐)
오환과 선비족이 강성한 원인
9. 공손씨의 요동 점거 ... 229
공손씨의 흥기
공손씨의 동방(東方) 개척과 대방군(帶方郡) 설치
대방 태수가 왜인의 조공을 관장함
공손씨가 딸을 백제왕에게 시집보냄
관녕(管寧)ㆍ병원(병原)ㆍ왕렬(王烈) 등의 현인(賢人)들이 요동으로 도피
3산(三山) 고찰
등주(登州) 반도와 요동의 교통
노철산(老鐵山)과 마석산(馬石山)
사마의(司馬懿)의 공손연(公孫淵) 토벌
사마의 행군(行軍) 지리 고찰
요동 이씨(李氏)
10. 관구검의 고구려 토벌 ... 264
환도산(丸都山) 기공(紀功)의 잔석(殘石)
「동국통감(東國通鑑)」에 기록된 관구검 용병
관구검 용병 지리
7아문(七牙門)의 고찰
권3 제2기 동호와 부여 두 종족의 상호 경쟁 시대 - 진에서 수 초까지
1. 진 초기의 평주 ... 289
평주 설치 전말
평주 자사(刺史) 겸 동이교위(東夷校尉)
평주가 창려(昌黎)에 치소를 둔 이유
요동국(遼東國)
2. 모용씨의 전연과 후연 ... 300
전연ㆍ후연의 여러 군주
3. 모용씨가 흥성한 원인 ... 308
모용씨의 현사(賢士) 초빙과 유민(流民) 안집
모용씨는 진(晉)을 존숭하고 문학을 좋아함
4. 모용씨와 고구려 ... 317
모용씨와 고구려의 충돌
모용황(慕容v?)의 환도성(丸都城) 침입
남도(南道)ㆍ북도(北道) 고찰
모용인(慕容仁)의 평곽(平郭) 점거
고구려가 요동을 함락시킨 해
호태왕비(好大王碑)를 건립한 해
호태왕은 중국 역사에 어떠한 왕으로서 기록되었는가?
요동이 고구려에 속했던 기간
호태왕비에 요동 공략을 기록하지 않은 이유
서백제(西百濟)가 요서를 영유했다고 하는 잘못을 변석함
요동 제군(諸郡)의 교치(橋置)
5. 우문씨와 단씨 ... 346
양(兩) 씨의 세계(世系)
양 씨의 강역
양 씨와 모용씨의 각축
토욕혼(吐谷渾)의 서천(西遷)
6. 풍씨의 북연 ... 362
한현종(韓顯宗)의 연지(燕志)
북연의 별칭 황룡국(黃龍國)
북연의 멸망
7. 부여ㆍ물길 등의 동북 부족 ... 373
부여국(夫餘國)의 멸망
동부여와 북부여
부여 국도(國都)의 소재
물길(勿吉) 지리
말갈(靺鞨) 7부(七部) 지역
해(奚) 거란(契丹)의 소재지
실위(室韋)의 명칭과 거주지
두모루(豆莫婁)ㆍ지두우(地豆于)ㆍ오락후(烏洛侯) 3부(三部)
고구려(高句麗)의 명칭을 고려(高麗)로 바꿈
고구려 국도(國都)를 평양으로 옮김
고구려의 관인(官印)
8. 창려군과 영주 ... 401
극성(棘城)과 도하(徒河)
창려군의 치소는 한 곳에 있지 않음
용성(龍城) 땅은 모두 7개
한(漢) 유성(柳城)과 당(唐) 유성
유성은 지금의 노룡(盧龍) 창려(昌黎)에 있다는 잘못을 변석함
용성(龍城)은 일명 황룡성(黃龍城) 또는 창려(昌黎)라 함
후위(後魏)가 처음으로 영주(營州)를 화룡성(和龍城)에 설치함
후위(後魏) 영주(營州) 조상기(造象記)
창려(昌黎) 한씨(韓氏)는 저성(著姓)
한창려(韓昌黎) 선생 본관(本貫) 고찰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