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글을 쓰게 된 취지 ... 5
첫째 마당 : 들어가는 말 ... 9
둘째 마당 : 북학사상의 형성 요인 ... 15
셋째 마당 : 조선후기 존화양이적 대청의식 ... 23
1. 화이의 개념과 변천 ... 23
2. 북벌론과 문화자존의식 ... 27
넷째 마당 : 북학파의 화이일론적 세계관 ... 33
1. 철학적 토대 ... 37
...
더보기
목차 전체
글을 쓰게 된 취지 ... 5
첫째 마당 : 들어가는 말 ... 9
둘째 마당 : 북학사상의 형성 요인 ... 15
셋째 마당 : 조선후기 존화양이적 대청의식 ... 23
1. 화이의 개념과 변천 ... 23
2. 북벌론과 문화자존의식 ... 27
넷째 마당 : 북학파의 화이일론적 세계관 ... 33
1. 철학적 토대 ... 37
1) 낙학과 북학의 사상적 계기 ... 37
2) 서구 과학사상의 영향 ... 49
2. 중세 화이론의 극복 ... 57
1) 홍대용의 경우 ... 57
2) 박지원의 경우 ... 71
다섯째 마당 : 북학파의 주체의식과 북학의 현실구현론 ... 81
1. 근대 지향적 민족주체의식의 각성 ... 81
1) 홍대용의 자주적 역사대외 인식 ... 85
2) 박지원의 주체적 영토관과 문학관 ... 90
2. 북학의 현실구현론 ... 94
1) 문정분리론 ... 95
2) 학화양이론 ... 103
여섯째 마당 : 맺는 말 ... 111
參考文獻 ... 119
저자소개 ... 124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