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간행사 ... 5
근세 동아시아의 신분과 토지소유 / 岸本美緖(기시모토 미오) ... 13
머리말 ... 14
1. 동아시아 근세문서 비교의 의의와 과제 ... 15
2. 근세 동아시아 토지계약문서의 비교 연구에서의 논점들 ... 20
1) 토지소유의 관념 ... 20
2) 신분과 공동체 ... 26
맺음말 .....
더보기
목차 전체
간행사 ... 5
근세 동아시아의 신분과 토지소유 / 岸本美緖(기시모토 미오) ... 13
머리말 ... 14
1. 동아시아 근세문서 비교의 의의와 과제 ... 15
2. 근세 동아시아 토지계약문서의 비교 연구에서의 논점들 ... 20
1) 토지소유의 관념 ... 20
2) 신분과 공동체 ... 26
맺음말 ... 29
土地臺帳의 比較史 量案ㆍ檢地帳ㆍ魚鱗圖冊 / 宮嶋博史(미야지마 히로시) ... 31
1. 머리말 ... 32
2. 각 토지대장의 양식 ... 32
1) 조선시대의 양안 ... 32
2) 일본 '근세'의 檢地帳 ... 37
3) 明淸시대의 魚鱗圖冊 ... 40
3. 각 토지대장의 공통점 ... 43
4. '結負制'ㆍ'石高制'ㆍ'折무制'의 역사적 의의 ... 45
1) 또 하나의 검지장 ... 45
2) 結負制와 量案의 역사적 변천 ... 47
3) 중국의 '折무制' ... 50
5. 결론 ... 51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의 토지소유관계 : 토지 관련 所志와 立旨를 중심으로 / 廉定燮 ... 53
머리말 ... 54
1. 土地 관련 所志와 立旨의 성격 ... 56
2. 土地文記 亡失 관련 所志와 立旨 ... 59
3. 土地 賣買와 還退 관련 所志와 立旨 ... 64
1) 土地 還退 관련 所志와 立旨 ... 66
2) 土地 賣買 관련 所志와 立旨 ... 68
3) 洞內立旨와 官立旨 ... 69
4. 土地 開墾 관련 所志와 立旨 ... 72
5. 量田과 量案 관련 所志와 立旨 ... 78
맺음말 ... 84
魚鱗圖冊을 통해 본 明淸代의 토지소유관계 / 汪慶元(왕칭위안) ... 87
1. 명청시대 魚鱗圖冊의 형식 변천 ... 88
2. '現業的名' : 淸代 토지대장 관리의 발전 ... 96
1) 착오의 정정 ... 101
2) 契稅의 점검 ... 103
3) 부분적 토지 측량 ... 105
4) 토지소유권의 정리 ... 106
3. 어린도책으로 본 명청시대의 토지소유관계 ... 107
1) 소토지소유제 ... 107
2) 종족소유제 ... 119
賦役黃冊과 明代의 신분 등급 / 樂成顯(롼청시엔) ... 127
1. 명대 황책문서의 소개 ... 128
2. 부역황책에 반영된 帝王의 이념 ... 135
3. 부역황책에 반영된 等級 차별 ... 143
4. 부역황책에 반영된 세습제도 ... 148
5. 황책제도의 소멸과 인신예속관계의 이완 ... 152
人別帳과 정(오키테)를 통해 본 일본 근세의 신분 / 塚田孝(쓰카다 다카시) ... 157
머리말 ... 158
1. 천민신분과 人別帳 ... 160
2. 신분집단과 신분내법 ... 172
3. 신분내법과 垣外仲間의 구조 ... 175
맺음말 ... 179
조선시대의 신분구조, 변화, 그리고 전망 / 金盛祐 ... 181
1. 조선왕조 초기 국가의 인민편제 방식의 특징 : 한ㆍ중ㆍ일 3국의 비교사적 관점 ... 182
2. 조선 초기 : 국가적 평등을 지향한 사회 ... 189
1) 국가의 작동원리 ... 189
2) 個人의 能力에 基礎한 開放型 社會 ... 193
3) 閉鎖型 社會로의 移動 ... 195
3. 조선 중기 : 폐쇄형 사회로 나아가는 과도기 ... 198
1) '사족층'의 성장 ... 198
2) 제약과 한계 ... 202
3) '사족층'의 분열 ... 204
4) '양반지배구조'의 확립 ... 207
4. 조선 후기 : 상ㆍ하위 신분 변화의 이중주 ... 209
1) '17세기의 위기'와 조선의 대응 ... 209
2) 良賤制 기능의 정지 ... 213
3) 양반층의 존재 ... 215
4) 위계의 조정 ... 218
5. 조선시대 신분제 해명에 앞서 놓여 있는 몇 가지 난제들 ... 220
朝鮮後期 변경지역 武任集團에 대한 고찰 : 東萊地域의 사례연구 / 孫淑景 ... 225
1. 문제 제기 : 근대 이행기 동아시아 삼국의 무임집단의 동향과 그 차이 ... 226
2. 東萊지역의 軍制와 武任集團의 형성 ... 232
3. 무임집단의 先生案 작성 관행과 집단의 경계 ... 246
4. 무임집단의 문화적 상징 만들기와 그 향방 ... 251
5. 맺음말 ... 255
朝鮮前期와 中國 明 戶籍의 비교사적 검토 / 李榮薰 ... 259
서론 ... 260
제1절 比較 槪觀 - 몇 가지 기본적 차이점 ... 262
1) 인구ㆍ토지에 대한 지배방식의 일원성과 이원성 ... 265
2) 직역ㆍ신분제의 차이 ... 268
제2절 戶의 構造에 관한 비교 ... 274
제3절 縣里制 및 收取體制에 관한 비교 ... 284
맺음말 ... 292
徽州문서와 중국 전통촌락 사회생활의 재구성 / 唐力行(탕리싱) ... 299
일본의 촌락 동아시아에서 근세 촌락의 비교사적 고찰을 위하여 / 吉田ゆリ子(요시다 유리코) ... 319
머리말 ... 320
1. 일본의 근세 촌락 ... 321
2. 근세 촌락의 성립 과정 ... 324
3. 박 씨와 박 舊臣들의 동향 ... 329
4. 촌인의 정신적 지주 - 神社와 제사 ... 331
5. 근세의 사회질서와 鎭守 ... 335
맺음말 ... 338
참고문헌 ... 340
간행 후기 ... 34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