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5
제1장 교육과정의 분야
1. 교육과정의 접근 방법 ... 21
1) 행동주의적 접근 방법 ... 22
2) 관리적 접근 방법 ... 24
3) 체제적 접근 방법 ... 26
4) 학문적 접근 방법 ... 29
5) 인본주의적 접근 방법 ... 30
...
더보기
목차 전체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5
제1장 교육과정의 분야
1. 교육과정의 접근 방법 ... 21
1) 행동주의적 접근 방법 ... 22
2) 관리적 접근 방법 ... 24
3) 체제적 접근 방법 ... 26
4) 학문적 접근 방법 ... 29
5) 인본주의적 접근 방법 ... 30
6) 재개념주의자 ... 32
2. 교육과정의 정의 ... 34
1) 정의의 도전 ... 36
2) 교육과정 분야를 정의하는 데 필요한 배경 쟁점 ... 38
3) 근본적인 질문 ... 38
3. 교육과정의 기초 ... 40
1) 주요 기초: 철학, 역사, 심리학, 그리고 사회학 ... 40
4. 교육과정의 영역 ... 41
1) 교육과정 개발 ... 43
2) 교육과정 설계 ... 46
3) 교육과정의 기타 영역 ... 47
5.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 48
1) 이론에서 실제로 ... 49
2) 교육과정 전문 자격증 ... 52
6. 교육과정 연구자의 역할 ... 54
1) 교육과정 연구자의 책임 ... 55
2) 교사와 교육과정 ... 56
3) 교육과정 및 수업과 관련된 교장의 역할 ... 57
7. 결론 ... 59
미주 ... 60
제1부 교육과정의 기초
제2장 교육과정의 철학적 기초
1. 철학과 교육과정 ... 69
1) 철학과 교육과정 연구자 ... 70
2) 교육과정의 원천으로서 철학 ... 71
2. 주요 철학 이론 ... 72
1) 관념론 ... 73
2) 실재론 ... 74
3) 실용주의 ... 75
4) 실존주의 ... 76
3. 교육철학 이론 ... 77
1) 항존주의 ... 78
2) 본질주의 ... 83
3) 진보주의 ... 89
4) 재건주의 ... 97
4. 결론 ... 107
미주 ... 108
제3장 교육과정의 역사적 기초
1. 식민지 시대 ... 115
1) 세 식민 지역 ... 115
2) 식민 학교 ... 116
3) 구교과서, 구독본 ... 118
2. 국가 형성기 ... 120
1) Rush: 과학, 진보와 무상 교육 ... 120
2) Jefferson: 시민을 위한 교육 ... 121
3) Webster: 학교 지도자와 문화국가주의 ... 122
4) McGuffey: 독본과 미국적 미덕 ... 123
3. 19세기 유럽 교육자 ... 123
1) Pestalozzi: 일반적 방법과 구체적 방법 ... 125
2) Froebel: 유치원 운동 ... 125
3) Herbart: 도덕적 발달과 지적 발달 ... 126
4) Spencer: 실용적이고 과학적인 교육 ... 127
4. 보편교육의 등장 ... 128
1) 학생감독학교 ... 129
2) 보통 학교 ... 129
3) 중등학교 ... 132
4) 아카데미 ... 133
5) 고등학교 ... 133
5. 과도기 ... 137
1) 전통적 교육과정의 재확인: 세 가지 위원회 ... 138
2) 근대적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 ... 140
6. 연구 분야의 하나로서 교육과정 탄생 ... 145
1) Bobbitt과 Charters: 행동주의와 과학적 원리 ... 145
2) Kilpatrick: 진보주의의 영향 ... 148
3) 26번째 연감 ... 151
4) Rugg와 Caswell: 개발의 시대 ... 152
5) Tyler: 기본 원리 ... 156
7. 현재의 초점 ... 160
8. 결론 ... 161
미주 ... 162
제4장 교육과정의 심리학적 기초
1. 행동주의 ... 170
1) 연합설 ... 170
2) Thorndike의 영향: Tyler, Taba, Bruner ... 171
3) 고전적 조건화 ... 172
4) 조작적 조건화 ... 173
5) 새로운 조작적 행동의 획득 ... 174
2. 인지심리학 ... 178
1) 인지적 관점 ... 180
2) Jean Piaget의 이론 ... 182
3) Piaget의 영향: Tyler, Taba, Bruner, Kohlberg ... 183
4) Lev Vygotsky의 이론 ... 186
5) 사고와 학습에 대한 강조 ... 189
6) 구성주의 ... 194
7) 문제 해결과 창의적 사고 ... 197
8) 인지 작용과 교육과정 ... 205
3. 현상학과 인본주의 심리학 ... 206
1) 게슈탈트이론 ... 207
2) Maslow: 자아실현인 ... 207
3) Rogers: 비지시적 학습과 치료적 학습 ... 209
4) 현상학과 교육과정 ... 209
4. 결론 ... 214
미주 ... 215
제5장 교육과정의 사회적 기초
1. 사회, 교육, 그리고 학교교육 ... 222
1) 사회와 미국인의 전형적 성격 ... 223
2. 역동적으로 변모하는 사회 ... 230
1) 변화의 원천으로서 사회 ... 231
2) 변화의 주체로서 학교 ... 234
3) 변화의 원천으로서 지식 ... 246
3. 사회적ㆍ교육적 현안 ... 250
1)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 ... 250
2) 학업에 재능이 있는 학생에 대한 관심 ... 252
3) 불우한 학생에 대한 관심 ... 256
4) 확장된 우선 사항: 새로운 불우 아동집단 ... 257
5) 학교 수준의 개혁 ... 259
4. 교육에 관한 국가정책위원회 보고 ... 263
5. 교육적 변화를 위한 계획 ... 269
6. 결론 ... 271
미주 ... 271
제6장 교육과정 이론
1. 이론적 관점 ... 278
1) 이론의 의미 ... 279
2) 교육과정 이론의 주요 배경 ... 280
2. 교육과정 이론화의 고전적 토대 ... 281
1) 과학적 이론 ... 281
2) 인간 중심적 이론 ... 282
3. 이론의 기능 ... 283
4. 이론의 구성 ... 285
1) 이론 구성의 단계 ... 285
5. 교육과정 이론 ... 288
1) 초기의 교육과정 이론 ... 288
2) 20세기 중기의 이론 ... 289
6. 비유와 이론적 진영들 ... 294
1) 전통주의자 ... 296
2) 개념적 경험주의자 ... 297
3) 재개념주의자, 비판이론가 ... 297
4) 포스트모더니스트 ... 302
7. 교육과정 이론에 대한 균형적인 태도 ... 305
8. 결론 ... 306
미주 ... 307
제2부 교육과정의 원리
제7장 교육과정 개발
1. 기술ㆍ과학적 접근 ... 316
1) 기술ㆍ과학적 접근의 역사 ... 316
2. 비기술적ㆍ비과학적 접근 ... 331
1) 숙의 모형 ... 333
2) 후기실증주의적-포스트모던적 모형 ... 340
3. 교육과정 개발에서 고려되는 구성 요소 ... 343
1) 교육과정의 내용 ... 345
2) 교육과정 경험 ... 352
3) 교육 환경 ... 356
4. 교육과정 개발의 참여자 ... 360
1) 정치 분야 참여자 ... 360
2) 학교 분야 참여자 ... 360
3) 학군 밖의 참여자 ... 365
4) 그 외 참여자 ... 366
5. 결론 ... 368
미주 ... 368
제8장 교육과정 설계
1. 설계의 요소 ... 375
1)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자원 ... 377
2) 개념적 구조: 수평적 조직과 수직적 조직 ... 382
2. 교육과정 설계의 차원 ... 384
1) 스코프 ... 384
2) 시퀀스 ... 385
3) 계속성 ... 386
4) 통합성 ... 387
5) 연계성 ... 389
6) 균형성 ... 389
3. 교육과정 설계의 대표적 유형 ... 390
1) 교과 중심 설계 ... 391
2) 학습자 중심 설계 ... 403
3) 문제 중심 설계 ... 413
4. 결론 ... 420
미주 ... 422
제9장 목적, 목표, 명세적 목표
1. 교육의 목적 ... 431
1) 목적의 원천 ... 432
2. 교육의 목표 ... 435
1) 목표의 수준 ... 436
2) 목표 만들기 ... 438
3. 교육의 명세적 목표 ... 439
1) 교육의 명세적 목표의 유형 ... 440
2) 교육 목표를 진술하기 위한 지침 ... 446
4. 분류학적 수준 ... 448
1) 인지적 영역 ... 448
2) 정의적 영역 ... 449
3) 심리운동적 영역 ... 450
4) 종합적 분류학 ... 451
5. 교육적 목표에 대한 접근방법 ... 453
1) 행동주의적 접근 방법 ... 453
2) 체제 관리적 접근 방법 ... 455
3) 인본주의적 접근 방법 ... 456
4) 재개념주의, 급진주의 ... 457
6. 도전 ... 460
7. 결론 ... 461
미주 ... 462
제10장 교육과정 실행
1. 교육과정 실행의 성격 ... 467
1) 계획과 실행의 관계 ... 469
2) 점진적 변화 ... 470
3) 의사소통 ... 472
4) 지원 ... 473
2. 변화 과정으로서 교육과정의 실행 ... 475
1) 변화의 이론 ... 476
2) 변화 유형학 ... 479
3) 변화에 대한 저항 ... 481
4) 변화에 대한 수용 능력의 개선 ... 485
3. 교육과정 실행 모형 ... 487
1) 변화 저항 극복 모형 ... 488
2) 조직적 발달 모형 ... 491
3) 관심 기반 채택 모형 ... 492
4) 조직의 구성 요소, 구성 단위 및 연결 고리 ... 494
5) 교육적 변화 모형 ... 495
4. 교육과정 변화 촉진자의 역할 ... 499
1) 학생 ... 500
2) 발의자로서 교사 ... 500
3) 장학사 ... 501
4) 발의자로서 교장 ... 502
5) 교육과정 감독자 ... 503
6) 교육과정 상담가 ... 504
7) 학부모와 지역사회 구성원 ... 504
5. 결론 ... 505
미주 ... 506
제11장 교육과정 평가
1. 평가의 본질과 목적 ... 512
1) 교육과정 ... 514
2) 인지 ... 514
3) 관찰 ... 515
4) 해석 ... 515
5) 평가와 관련된 문제 ... 515
6) 평가의 정의 ... 518
7) 측정 대 평가 ... 519
2. 평가에 대한 접근방법 ... 520
1) 평가에 대한 과학적 접근법과 인본주의적 접근법 ... 521
2) 내재적 평가와 결과 평가 ... 525
3) 형성 평가와 총괄 평가 ... 526
3. 과학적-실증주의적 평가 모형 ... 527
1) Provus의 불일치 평가 모형 ... 527
2) Stake의 합치-유관 모형 ... 530
3) Stufflebeam의 맥락, 투입, 과정, 산출 모형 ... 532
4. 인문학적 평가 모형과 자연주의적 평가모형 ... 534
1) 실행 연구 ... 535
2) Eisner의 감식안 평가 모형 ... 537
3) Stake의 반응평가 모형 ... 539
4) 조명적 평가 모형 ... 540
5) 묘사 모형 ... 541
5. 평가의 실제와 쟁점 ... 542
1) 평가의 제 단계 ... 543
2) 대안적 평가 ... 544
3) 고부담 평가 ... 548
4) 규준참조측정과 준거참조측정 ... 550
5) 평가에 있어서 인간적 문제 ... 552
6. 평가활동에 참여하는 주체의 다양한 역할 ... 556
1) 학생 ... 556
2) 교사 ... 557
3) 평가자 ... 557
4) 외부 컨설턴트 ... 558
5) 학부모 및 지역사회 구성원 ... 558
7. 결론 ... 559
미주 ... 559
제3부 교육과정의 쟁점
제12장 교육과정의 쟁점과 추세
1. 교육의 재창조 ... 568
1) 학교 밖에서 생각하기 ... 574
2) 학교 문화의 재창조 ... 579
3) 협약 학교와 계약 학교 ... 582
2. 정치학과 교육사회학 ... 586
1) 다문화적 교육 ... 589
2) 정치적 과정으로서 교육학 ... 594
3. 도덕적ㆍ영적 교육 ... 599
1) 도덕-인성 교육 프로그램 ... 608
2) 도덕-인성 교육의 정치학 ... 610
4. 표준과 시험 ... 611
1) 표준과 평가의 정치화 ... 614
5. 교육공학과 교육과정 ... 619
6. 추세, 교훈, 발전하는 미래 ... 622
7. 결론 ... 624
미주 ... 624
찾아보기 ... 62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