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요약문 ... ⅰ
Ⅰ. 서장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2. 연구 방법 ... 7
1) 문헌연구 ... 7
2) 설문지 조사 및 통계 분석 ... 7
3) 국제비교분석 ... 10
3. 연구의 기대효과 및 한계 ... 10
Ⅱ. 이론적 배경 및 분석틀 ... 13
1. 다민족·다문...
더보기
목차 전체
요약문 ... ⅰ
Ⅰ. 서장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2. 연구 방법 ... 7
1) 문헌연구 ... 7
2) 설문지 조사 및 통계 분석 ... 7
3) 국제비교분석 ... 10
3. 연구의 기대효과 및 한계 ... 10
Ⅱ. 이론적 배경 및 분석틀 ... 13
1. 다민족·다문화 사회의 배경과 한국사회의 '다문화' 논의 ... 15
1) 탈-국가적 이주의 증가와 민족국가의 모순 ... 15
2) 반-이주(민) 움직임의 대두 ... 18
3) 대안의 모색과 논란 ... 21
4) 한국사회의 근대경험과 다민족·다문화 사회로의 변화 ... 24
5) 한국사회의 '다문화' 논의 ... 30
2. 이론적 배경 및 기존연구 검토 ... 31
1) 이론적 배경 및 개념 검토 ... 31
2) 기존연구 검토 ... 38
3.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의 개념 구성 ... 49
Ⅲ.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 53
1. '사회적 거리'의 개념과 측정 ... 55
1) 사회적 거리 ... 56
2) 감성적 의미 이론 ... 57
3) 사회적 거리감의 다차원성 ... 60
2. 사회적 거리감 분석 ... 62
1)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 62
2)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적 거리감 ... 65
3) 사회적 거리감 국제비교 ... 69
3. 감성적 의미론 : 감성, 권력, 활동 ... 75
1) 각 차원별 평가 ... 75
2) 다차원 비교 ... 77
3) 사회경제적 배경과 각 차원별 평가 ... 80
4. 소결 ... 83
Ⅳ. 한국인의 국민 정체성과 다문화 시티즌십(citizenship) ... 87
1. 배경 : 시티즌십의 개념 ... 89
2. 분석 : 한국인의 국민 정체성 ... 93
1) 혈통-문화적 정체성과 정치-법적 정체성 ... 93
2) 외국인 귀화에 대한 태도 ... 99
3) 세대간 인식차이 ... 100
3. 이주자의 권리에 대한 태도 ... 104
4. 소결 ... 108
Ⅴ. 문화 다양성에 대한 한국인의 가치지향 ... 111
1. 다문화사회에 대한 태도 ... 113
2. 다문화지향성에 따른 집단 비교 : 개방적·제한적·부정적 지향 집단 ... 117
3. 외국 및 외국문화에 대한 태도 ... 125
1) 국가·지역별 관심의 분화 ... 125
2) 영역별 관심의 격차 ... 131
4. 외국에 대한 관심 구조를 통해 본 한국인의 상호문화지향성 : 로컬 상호문화지향 vs. 글로벌 상호문화지향 ... 134
5. 소결 ... 138
Ⅵ. 이주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와 종족적 배제주의(ethnic exclusionism) ... 141
1. 배경 및 개념 검토 ... 143
1) 종족적 배제주의(ethnic exclusionism)의 요인 구성 ... 143
2) 현실경쟁이론과 사회정체성 이론 ... 146
2. 분석 : 한국인의 종족적 배제주의 ... 148
1) 사회경제적 지위와 종족적 배제주의 ... 150
2) 사회적 가치관과 종족적 배제주의 ... 155
3) 경로분석 ... 157
3. 국제비교 : EU와의 비교 ... 160
4. 소결 ... 165
Ⅶ. 결론 및 정책제언 ... 169
1. 분석 결과 :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의 다차원성 ... 171
1)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 - 제도적 변화의 수용, 정서적 변화의 지체 ... 173
2) 세대별 차이 - 다문화 수용의 불균형성 ... 174
3) 이주에 대한 관용성과 계층적 차이 ... 176
2. 정책 제언 ... 178
1) 정책 방향 : 포괄적 '다문화 사회정책' 개념의 도입 ... 178
2) 정책 제언 ... 180
참고문헌 ... 185
부록 : 설문지 ... 19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