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7
제1부 중국위협론과 한중관계
제1장 중국의 부상에 대한 한국의 시각
1. 서론 ... 13
2. 중국의 부상에 대한 일반적 논의: 중국위협론 ... 17
3. 중국의 부상에 대한 한국의 기존 시각 ... 24
4. 중국의 부상에 대한 한국의 새로운 시각: 중국경제경계론 ... 31
...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 7
제1부 중국위협론과 한중관계
제1장 중국의 부상에 대한 한국의 시각
1. 서론 ... 13
2. 중국의 부상에 대한 일반적 논의: 중국위협론 ... 17
3. 중국의 부상에 대한 한국의 기존 시각 ... 24
4. 중국의 부상에 대한 한국의 새로운 시각: 중국경제경계론 ... 31
5. 결론 ... 36
제2장 중국 내 한반도 연구: 한반도 문제 전문가들의 연구를 중심으로
1. 서론 ... 38
2. 중국 내 한반도 문제 전문가에 대한 이해 ... 40
3. 중국 내 한반도 문제의 연구경향과 내용 분석 ... 44
4. 중국 내 한반도 연구의 특징 및 한계 ... 56
5. 결론 ... 59
제2부 후진타오 시대 중국의 대외관계 변화
제3장 ARF와 중국: 중국의 안보적 구속에 대한 논의
1. 서론 ... 63
2. 제도주의적 접근과 아세안적 방식 ... 66
3. ARF에 대한 중국의 외교적 행태와 구속 ... 72
4. 결론 ... 78
제4장 책임대국론의 중국적 논의: 서구와 중국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1. 서론 ... 80
2. 책임대국에 대한 서구의 논의 ... 82
3. 책임대국에 대한 중국의 논의 ... 86
4. 중국의 책임대국화 가능성 ... 91
5. 결론: 중국의 책임대국론에 대한 평가 ... 95
제5장 중국의 신안보 개념 분석: 다자간 안보에 대한 협력 가능성과 한계
1. 서론 ... 97
2. 신안보 개념의 등장 배경: 국제환경의 변화 ... 100
3. 신안보 개념의 내용: 다자안보의 수용 ... 104
4. 신안보 개념의 제한성: 주권문제의 상존 ... 109
5. 결론 ... 112
제3부 후진타오 외교와 동아시아 신질서 구축
제6장 제4세대 지도부의 등장과 동아시아의 질서변화: 화평발전 전략을 중심으로
1. 서론 ... 117
2. 화평발전론의 분석 ... 120
3. 화평발전론의 외교적 적용 ... 126
4. 결론 ... 129
제7장 6자회담과 중국의 딜레마
1. 서론 ... 132
2. 중국의 6자회담 참여 이유: 대내외적 요인 ... 136
3. 중국의 '이중전략'과 6자회담: 책임대국과 북한의 체제유지 ... 141
4. 북한 핵문제와 중국의 전략적 고민: 완충지대론 대 북한부담론 ... 149
5. 결론 ... 153
제8장 중국의 다극화 전략, 다자주의 외교, 동북아 안보
1. 서론 ... 155
2. 중국의 다극화 전략과 국제질서의 변화 ... 157
3. 중국의 다극화 전략과 다자주의 외교 ... 163
4. 중국의 다자주의와 동아시아/한반도의 안정 ... 165
5. 결론: 다자주의 외교와 중미관계의 미래 ... 171
참고문헌 ... 17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