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일러두기
기언 제40권
동서기언(東序記言)
보국숭록대부 행 판중추부사 조용주 시장(輔國崇祿大夫行判中樞府事趙龍洲諡狀) ... 1
용주 신도비(龍洲神道碑) ... 27
권 판서 묘비(權判書墓碑) ... 46
기언 제41권
허씨 선묘의 비문과 석지(許氏先墓碑文石誌)
가락국군 수로왕 납릉 비음기(駕洛國君首露王納陵碑陰記) ... 55
가...
더보기
목차 전체
일러두기
기언 제40권
동서기언(東序記言)
보국숭록대부 행 판중추부사 조용주 시장(輔國崇祿大夫行判中樞府事趙龍洲諡狀) ... 1
용주 신도비(龍洲神道碑) ... 27
권 판서 묘비(權判書墓碑) ... 46
기언 제41권
허씨 선묘의 비문과 석지(許氏先墓碑文石誌)
가락국군 수로왕 납릉 비음기(駕洛國君首露王納陵碑陰記) ... 55
가락국 보주 허 태후 묘비음기(驚洛國普州許太后墓碑陰記) ... 56
문정공 묘갈음기(文正公墓碣陰記) ... 57
판봉상시사 묘갈음기(判奉常寺事墓碣陰記) ... 59
찬성공 묘비(贊成公墓碑) ... 60
찬성공 묘비 후어(贊成公墓碑後語) ... 66
찬성공 부인 묘갈음기(贊成公夫人墓碣陰記) ... 67
별제 부군 묘지(別提府君墓誌) ... 68
조모 의인 진주 강씨 묘갈음기(祖母宜人晉州姜氏墓碣陰記) ... 70
선비 나주 임 부인 묘지(先YQ逢뚱割喜拏燐?) ... 70
기언 제42권
허씨 선묘 비문(許氏先墓碑文)
합천 군수 묘갈음기(陜川郡守墓碣陰記) ... 72
전함사 별제 부군 묘갈(典艦別提府君墓碣) ... 73
포천 현감 부군 묘지(抱川縣監府君墓誌) ... 73
첩증조고 김씨 묘표(妾曾祖姑金氏墓表) ... 79
이 숙인의 장명(李淑人葬銘) ... 79
숙인 이씨의 담제문(淑人李氏yヰ??) ... 79
여러 자식들이 심상 3년을 마치고 담제가 든 달에 이르러 올리는 고향문(諸兒心喪三年後至yリ터깨쌕?) ... 80
허 송화 장명(許松禾葬銘) ... 80
제문(祭文) ... 82
의인 이씨 묘명(宜人李氏墓銘) ... 84
허 영월 묘기(許寧越墓記) ... 85
제문(祭文) ... 87
윤생 묘명(尹生墓銘) ... 88
자부 이씨의 장표(子婦李氏葬表) ... 89
어린 나이로 죽은 딸아이의 빈표(kㅤ繁回끌?) ... 90
죽은 아이의 조전문(亡兒祖奠文) ... 91
우제문(虞祭文) ... 91
졸곡문(卒哭文) ... 92
허씨 선대 묘문 고사 서(許氏先代墓文古事序) ... 92
기언 제43권
허씨 선묘 비문(許氏先墓碑文)
증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 겸 판의금부사 오위도총부도총관인 행 전함사 별제 선교랑 부군 비(贈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五衛都摠府都摠管行典艦司別提宣敎郎府君碑) ... 93
조비 정경부인 강씨 묘갈음기(祖Yo馳悧喜麒⒳ベ栗言眼?) ... 95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인 행 통훈대부 포천현감 양주진관병마절제도위 부군 묘비(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行通訓大夫抱川縣監楊州鎭管兵馬節制都尉府君墓碑) ... 96
선비 정경부인 나주 임씨 묘비(先Yo馳悧喜金逢뚱涵ベ李?) ... 101
정경부인 전주 이씨 묘명(貞敬夫人全州李氏墓銘) ... 102
망자 통덕랑 도의 묘갈 병진년(亡子通德郎?墓碣 丙辰) ... 104
기화를 쓰다(作氣化) ... 105
기언 제44권
허씨 방친 비갈(許氏傍親碑碣)
백부 학역재 묘명(伯父學易齋墓銘) ... 106
신인 양천 허씨 묘표(愼人陽川許氏墓表) ... 107
중부 성균관 진사 묘명(仲父成均進士墓銘) ... 107
유인 권씨 묘명(孺人權氏墓銘) ... 109
유인 권씨 묘표(孺人權氏墓表) ... 112
관설 선생 묘지명(觀雪先生墓誌銘) ... 113
관설 선생 전 부인 이씨 묘지(觀雪先生前夫人李氏墓誌) ... 119
허 낭자의 지(許娘子誌) ... 119
당질 황의 지(堂姪황誌) ... 120
허씨 소낭자의 명(許氏少娘子銘) ... 121
기언 제45권
외가의 묘문과 유사(外家墓文遺事)
지덕사기(至德祠記) ... 123
김 절제사 묘표(金節制使墓標) ... 124
강 정당 유사(姜政堂遺事) ... 125
강 대민공 유사(姜戴敏公遺事) ... 126
임 우후 지석문(林虞候誌石文) ... 127
관서 절도사 임공 묘갈(關西節度使林公墓碣) ... 129
임 정랑 묘갈문(林正郎墓碣文) ... 130
처자 임씨 묘표(處子林氏墓表) ... 133
직제학 김공 유사(直提學金公遺事) ... 133
증 영의정 김공 유사(贈領議政金公遺事) ... 134
수천군 유사(秀泉君遺事) ... 135
함천군 묘지명(咸川君墓誌銘) ... 136
완선군 묘갈음기(完善君墓碣陰記) ... 138
열녀전(烈女傳) ... 140
기언 제46권
설공(雪公)
설공 편년기사 상(雪公編年記事上) ... 142
설공 편년기사 하(雪公編年記事下) ... 146
설옹 선생 묘갈음기(雪翁先生墓謁陰記) ... 152
설옹유편 서(雪翁遺編序) ... 155
답문분류 소서(答問分類小序) ... 155
설공유편 후서(雪公遺編後序) ... 156
기언 제47권 속집
사방 1(四方一)
위정의 고증을 관동으로 부임하는 조 관찰사에게 선사하다(爲政攷證贈關東趙按使) ... 158
호남 방백에게 선사한 서(贈湖南方伯序) ... 159
호서 관찰사가 떠날 때에 선사한 서(湖西觀察使贈行序) ... 160
영남 관찰사를 보내는 서(送嶺南觀察使序) ... 162
이 시랑이 사명을 받들고 연경에 갈 때 선사한 서(贈李侍郎奉使如燕序) ... 163
연경에 사신 가는 오 판서를 전송한 서(送吳判書使燕京序) ... 166
기언 제48권 속집
사방 2(四方二)
남북도풍토지(南北道風土誌) ... 168
관서지(關西誌) ... 172
탐라지(耽羅誌) ... 179
기언 제49권 속집
예 1(禮一)
〈보부편〉을 들어 스스로 해명하는 차자(擧保傳篇自明箚) ... 184
연제 후에는 조석곡이 없다는 것에 대한 차자(練後無朝夕哭箚) ... 186
대왕대비의 복제에 대한 수의(大王大妃服制收議) ... 187
수의한 뒤에 또 올린 차자(收議後又進箚) ... 190
희중에게 보냄 을묘년(與希仲 乙卯) ... 192
희중에게 답함(答希仲) ... 192
좌우음양설(左右陰陽說) ... 194
친경에 대한 의논(親耕議) ... 194
친잠에 대한 의논(親蠶議) ... 197
함흥 본궁의 네 왕과 태조께 제향하는 일에 대한 논의(論咸興本宮四王太祖享祀事) ... 198
예 2(禮二)
오복통고 서(五服通考序) ... 200
기언 제50권 속집
학 1(學一)
〈심학도〉를 올리다(進心學圖) ... 204
학문을 하는 순서(爲學之序) ... 208
학 2(學二)
역학의 전수(易學傳授) ... 209
기언 제51권 속집
논사 1(論事一)
소결에 이어 진언하다(仍疏決進言) ... 213
재이로 인하여 골육에게 관대하게 대하기를 청하다(因災異請寬赦骨肉對) ... 213
박헌을 논한 차자(論朴p箚) ... 215
논사 2(論事二)
정사의 폐단을 논한 차자(論政弊箚) ... 216
배향신을 논한 차자(論配享臣箚) ... 217
희중에게 답함 기미년(答希仲書 己未) ... 220
희중이 또 편지를 보내 나를 꾸짖기에 내가 답하지 않고 상의를 지어서 하문을 기다리다(希仲又以書責我我不答作上議以待下詢) ... 221
〈군덕잠〉을 올리는 차자(進君德箴箚子) ... 222
집정을 논한 차자(論執政箚) ... 224
치도 1(治道一)
《춘추》의 의리로 학자들을 권면하다(春秋之義勉學子) ... 229
〈군덕지계〉를 올리는 차자(進君德之戒箚) ... 230
군덕지계 상편 117자(君德之戒上篇百有十七言) ... 231
군덕지계 하편 109자(君德之戒下篇百有九言) ... 231
기언 제52권 속집
치도 2(治道二)
덕례정형을 조목으로 올린 차자(進德禮政刑箚) ... 233
다시 덕례정형을 미루어 말해서 재차 올린 차자(復推言德禮政刑再上箚) ... 237
고문 11명을 올리는 차자(上古文十一銘箚) ... 239
사수(辭受)
월름을 사양하는 소(辭月^紆?) ... 241
또(又) ... 241
또(又) ... 242
집정을 논하여 상의 뜻을 거스르고 나서 월름을 사양하는 차자(論執政_癌얻⒭朶?稶?) ... 243
음식물을 사양하는 차자(辭食物箚) ... 243
재차 올린 차자(再上箚) ... 244
문학(文學)
〈경설〉과 〈동사〉를 올리는 차자(上經說東事箚) ... 245
정폐 1(政弊一)
호포를 논한 두 번째 차자(論戶布第二箚) ... 246
세 번째 차자(第三箚) ... 248
기언 제53권 속집
정폐 2(政弊二)
총관을 논한 차자(論摠管箚) ... 250
궁중의 숙위를 논한 차자(論宮中宿衛箚) ... 252
김만중의 말을 이유로 대죄하는 상소(以金萬重言待罪疏) ... 252
또(又) ... 253
언변과 외모로 사람을 뽑는 것을 논한 상소(論言貌取人疏) ... 254
정폐를 논한 상소(論政弊疏) ... 255
국구가 차자를 올린 뒤에 청대하다(國舅進箚後請對) ... 259
시폐에 대한 차자(時弊箚) ... 260
정폐를 논한 상소(論政弊疏) ... 263
재이(災異)
흰 무지개가 해를 꿰뚫은 일로 인해 올린 차자(因白虹貫日進箚) ... 267
여기를 논한 차자(論戾氣箚) ... 268
재이로 인하여 파직해 주기를 청하는 차자(因災異乞罷箚) ... 269
기언 제54권 속집
사시(四時)
친경에 대한 차자(親耕箚) ... 271
〈친경송〉을 올리는 차자(進親耕頌箚子) ... 273
친경서(親耕序) ... 273
친경송 병서(親耕頌 幷序) ... 277
경계의 말씀을 올리고 이어 전리로 돌아가게 해 주기를 청하는 차자(進戒仍乞歸箚) ... 279
〈군덕일신잠〉을 올리고 이어 전리로 돌아가게 해 주기를 청하는 차자(進君德日新箴仍乞歸箚) ... 281
경하(慶賀)
축수 올리는 경사스런 예식을 거행한 뒤에 송을 올리는 차자(上壽慶禮後獻頌箚) ... 283
강년시 병서(康年詩 幷序) ... 287
걸해(乞骸)
사직하고 고향에 돌아가도록 허락해 주기를 청하는 차자(乞歸箚) ... 289
두 번째 차자(再箚) ... 290
물러나기를 청하고 이어 기로소의 직임을 사양하는 첫 번째 차자(乞退仍辭耆老所第一箚) ... 291
전리로 돌아가면서 올린 차자(歸田里箚) ... 292
전리에 돌아가는 것을 허락해 준 데 대해 사례하는 차자(謝許歸田里箚) ... 292
기언 제55권 속집
수고(壽考)
궤장을 받은 뒤에 진언한 소 을묘년(受Q陝瑤?鴨吟? 乙卯) ... 294
기로소 기사 병진년(耆老所記事 丙辰) ... 295
늙었다는 이유로 물러나기를 청하면서 스스로 기술한 175자(以老乞退自述百七十五言) ... 296
거실(居室)
나라에서 집을 지어준 것을 사양하는 다섯 번째 차자 무오년(辭作室五上箚 戊午) ... 297
은거시 서(恩居詩序) ... 298
만목춘오에 대한 소설(萬木春뼎小說) ... 299
기언 제56권 속집
유림(儒林)
조 문정공 유권 서(趙文正公遺卷序) ... 300
한강선생문집 서(寒岡先生文集序) ... 301
우득록 서(愚得錄序) ... 308
돈계선생유편 서(遯溪先生遺編序) ... 310
돈계유편의 답문에 붙인 소서(遯溪遺編答問附小序) ... 312
우득록 발(愚得錄跋) ... 313
기언 제57권 산고속집
시(詩)
고시(古詩) ... 314
그냥 우연히 읊다 1수. 임술년(無事偶吟一首 壬戌) ... 317
회포를 담다 2수(寓懷二首) ... 317
백제에서 서쪽으로 바다를 바라보고 지은 노래. 총 9악장 59구이다. 그 노래는 다음과 같다(百濟西望海謠凡九빷五十九句其謠曰) ... 318
노인의 금년 나이 87세라 몸이 이미 많이 늙고 또 귀도 멀어 세상사 할 일이 없고 새와 짐승조차 놀라 피하지 않는다. 산속에서 한가히 지내며 장편의 4언시를 지었다. 그 시는 다음과 같다(老人今年八十有七旣?荒又病聾無人事鳥獸不驚山居閒暇作四言詩長作其詩曰) ... 322
관서 3수(觀書三首) ... 324
가함도 없고 불가함도 없음을 읊다 7언(無可無不可吟七言) ... 325
무제 2수. 소회를 쓰다(無題二首書懷) ... 325
우연히 절구를 읊어 흥을 풀다(偶吟絶句遣興) ... 325
수작을 신중히 하는 것으로 스스로 경계하다 5언(愼酬酢自警五言) ... 326
입춘에 20자를 짓다(立春作二十字) ... 326
산 밖의 일은 알지 못하네(不知山外事) ... 326
경칩 뒤에 짓다(驚蟄後作) ... 327
우연히 말하다 3수(偶言三首) ... 327
기언 제58권 산고속집
요얼 귀신의 재이(妖孼 鬼神之災)
소의 전염병을 기양하는 글 경신년 2월 초하루(祈禳牛疫文 庚申二月初吉日) ... 329
웅연의 귀신을 내쫓다 229자(熊淵謫鬼崇二百二十九字) ... 330
절행 충신(節行 忠臣)
고려 서 장령 묘석기(高麗徐掌令墓石記) ... 331
주계군 묘갈음기(朱溪君碣陰記) ... 332
문장(文章)
자평(自評) ... 333
소학삼체 서(騷學三體序) ... 336
학 고문(學 古文)
한간문(汗簡文) ... 338
상편 5장 54언(上篇五章五十四言) ... 338
중편 4장 48언(中篇四章四十八言) ... 338
하편 6장 85언(下篇六章八十五言) ... 339
애도문(哀悼文)
김현경에 대한 애사 병서(金顯卿哀詞 幷序) ... 34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