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사진화보 ... 2
머리말 ... 10
제Ⅰ부 "나를 키운 건 팔할이 바람이다"
제1장 파천황(派天荒)의 상상력, 그리고 신(神)이 내린 언어〔개관〕 ... 21
제2장 '從天順日派'라는 말의 내력 그리고 미당의 '親日時'에 대한 담론 ... 29
1. '從天順日派'라는 말의 내력 ... 29
2. 미당의 '親日時'에 대한 담론 ... 46
제3...
더보기
목차 전체
사진화보 ... 2
머리말 ... 10
제Ⅰ부 "나를 키운 건 팔할이 바람이다"
제1장 파천황(派天荒)의 상상력, 그리고 신(神)이 내린 언어〔개관〕 ... 21
제2장 '從天順日派'라는 말의 내력 그리고 미당의 '親日時'에 대한 담론 ... 29
1. '從天順日派'라는 말의 내력 ... 29
2. 미당의 '親日時'에 대한 담론 ... 46
제3장 20대 무렵, 정신적 육체적 방황의 시기, 그리고 직정적 언어와 순나(純裸)의 미 ... 64
1. 정신적 육체적 방황의 시기 ... 64
2. 직정적(直情的) 언어와 순나(純裸)의 미 ... 70
제4장 30대 무렵, 유산 상속과 정서적 안정의 시기 그리고 전통적 정서와 시적 사유의 세계 ... 80
1. 유산 상속과 정서적 안정의 시기 ... 80
2. 전통적 정서와 시적 사유의 세계 ... 86
제5장 40대 무렵, 짭짤한 체험이 '보약'이 된 시기 그리고 6ㆍ25전쟁의 비극, 그 초극(超克)의 노래 ... 94
1. 짭짤한 체험이 '보약'이 된 시기 ... 94
2. 6ㆍ25전쟁의 비극, 그 초극(超克)의 노래 ... 104
제6장 50대 무렵, 영생적 개안(開眼)의 시기 그리고 파천황의 상상력, 혹은 불교적 은유 ... 117
1. 영생적 개안(開眼)의 시기 ... 117
2. 파천황의 상상력, 혹은 불교적 은유 ... 127
제7장 60대 무렵, 상실한 과거로의 회귀의 시기 그리고 원형적 고향의 토속성과 설화성 ... 153
1. 상실한 과거로의 회귀의 시기 ... 153
2. 원형적 고향의 토속성과 설화성 ... 164
제8장 70대 무렵과 그 이후, '떠돌이'와 '自由人'의 시기 그리고 '曲卽全'과 현실대응, 혹은 영생주의 ... 177
1. '떠돌이'와 '自由人'의 시기 ... 177
2. '曲卽全'과 현실대응, 혹은 영생주의 ... 185
제Ⅱ부 미당 서정주 대표작 해설
自畵像 ... 201
花蛇 ... 204
문둥이 ... 207
대낮 ... 209
壁 ... 211
엽서 ... 213
正牛의 언덕에서 ... 215
입맞춤 ... 218
水帶洞時 ... 220
復活 ... 223
歸蜀途 ... 225
거북이에게 ... 228
密語 ... 231
꽃 ... 233
牽牛의 노래 ... 235
木花 ... 237
行進曲 ... 239
푸르른 날 ... 241
石窟庵觀世音의 노래 ... 243
누님의 집 ... 246
菊花 옆에서 ... 248
무등을 보며 ... 251
鶴 ... 253
상리과원 ... 256
추천사 ... 259
춘향 유문 ... 262
내리는 눈밭 속에서는 ... 265
無題 ... 268
나의 詩 ... 270
光化門 ... 272
冬天 ... 275
연꽃 만나고 가는 바람같이 ... 279
추석 ... 283
내가 돌이 되면 ... 286
無의 意味 ... 289
禪雲寺 洞口 ... 292
내 영원은 ... 294
마흔 다섯 ... 296
선덕여왕의 말씀 ... 298
老人獻花歌 ... 301
新婦 ... 306
해일 ... 308
上歌手의 소리 ... 310
신발 ... 312
눈들 영감의 마른 명태 ... 314
來蘇寺 大雄殿 丹靑 ... 316
소X한 놈 ... 319
雨中有題 ... 321
曲 ... 324
福받을 處女 ... 326
제Ⅲ부 부록
1.『미당 담론』에 대한 담론 ... 331
2.『질마재 神話』의 토속성과 설화성 ... 354
3. 독자적 관점의 세심한 미당 연구서 / 李甫永 ... 369
4. 서정주 문학 연구의 한 결정 / 趙明濟 ... 376
미당 서정주 연보 ... 388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