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간행사 ... 7
축간사 ... 12
조선초기 정국의 추이와 용헌이원의 대응 / 이병휴[경북대학교 교수]
Ⅰ. 머리말 ... 14
Ⅱ. 이원의 가계와 생애 ... 15
Ⅲ. 조선의 건국과 이원의 대응 ... 19
Ⅳ. 태종대의 정국과 이원의 활동 ... 22
Ⅴ. 세종대의 정국과 이원의 역할 ... 31
Ⅵ. 맺음말 ......
더보기
목차 전체
간행사 ... 7
축간사 ... 12
조선초기 정국의 추이와 용헌이원의 대응 / 이병휴[경북대학교 교수]
Ⅰ. 머리말 ... 14
Ⅱ. 이원의 가계와 생애 ... 15
Ⅲ. 조선의 건국과 이원의 대응 ... 19
Ⅳ. 태종대의 정국과 이원의 활동 ... 22
Ⅴ. 세종대의 정국과 이원의 역할 ... 31
Ⅵ. 맺음말 ... 38
용헌의 철학사상 / 이기동[성균관대학교 교수]
Ⅰ. 머리말 ... 40
Ⅱ. 용헌의 생애 ... 42
Ⅲ. 한국사상의 특징과 용헌의 위치 ... 44
1. 한국사상의 원형 ... 44
2. 한국사상의 두 흐름 ... 45
3. 한국 성리학과 용헌의 위치 ... 46
Ⅳ. 용헌사상의 수양철학적 성격 ... 48
1. 양촌의 수양철학 계승 ... 48
2. 수양과 실천의 조화 ... 52
3. 정치실천으로의 발전 ... 53
Ⅴ. 용헌의 정치철학 ... 57
1. 위민(爲民)사상 ... 57
2. 애국(愛國)사상 ... 59
3. 충군(忠君)사상 ... 61
Ⅵ. 맺음말 ... 63
용헌이원의 정치사상과 그 유가철학적 원리 / 지교헌[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Ⅰ. 서론 : 이원 정치사상의 시대적 배경 ... 67
Ⅱ. 이원 정치사상의 연원 ... 69
1. 십조소의 구조 ... 69
2. 십일조소의 구조 ... 74
Ⅲ. 이원정치사상의 유가철학적 원리 ... 77
1. 천명 사상 ... 77
2. 왕도사상 ... 78
3. 거경ㆍ계신 사상 ... 79
4. 절검사상 ... 79
5. 배불사상 ... 80
6. 기복ㆍ음사의 금단 ... 81
7. 기강의 확립 ... 81
Ⅳ. 결언 : 이원 정치사상의 평가와 현대적 의의 ... 83
용헌이원의 시문평연구 / 김주한[영남대학교 교수]
Ⅰ. 머리말 ... 90
Ⅱ. 용헌의 가계와 생평 ... 91
Ⅲ. 용헌의 시문에 대한 제가(諸家)의 평 ... 95
1. 변계량(卞季良)의 평 ... 95
2. 정인지(鄭麟趾)의 평 ... 100
3. 서거정(徐居正)의 평 ... 104
4. 이육(李陸)의 평 ... 110
5. 정종로(鄭宗魯)의 평 ... 115
6. 권상규(權相圭)의 평 ... 121
Ⅳ. 용헌의 타인 시문에 대한 평 ... 124
Ⅴ. 용헌의 시문평이 가진 의의 ... 129
Ⅵ. 맺음말(結言) ... 132
용헌시의 풍격과 내용적 특성 / 김영숙[경산대학교 교수]
Ⅰ. 서론 ... 135
Ⅱ. 시의 풍격 ... 136
1. 청신(淸新) ... 138
2. 아려(雅麗) ... 143
Ⅲ. 시의 내용 ... 147
1. 차운시(次韻詩) ... 147
2. 증여시(贈與詩) ... 158
3. 송별시(送別詩) ... 164
4. 영물시(詠物詩) ... 167
5. 즉사시(卽事詩) ... 168
6. 술회시(述懷詩) ... 170
Ⅳ. 시의 내용적 특성 ... 173
1. 관료성(官僚性) ... 174
2. 순정성(醇正性) - 감물음시(感物吟詩) ... 178
3. 회화성(繪畵性) - 시중유화(詩中有畵) ... 180
4. 상관성(相關性) - 교환증여(交驩贈與) ... 183
5. 탈속성(脫俗性) - 유거한락(有居閑樂) ... 186
Ⅴ. 결론 ... 192
용헌한시의 표현미에 대한 연구 / 홍우흠[영남대학교 교수]
Ⅰ. 머리말(緖言) ... 194
Ⅱ. 용헌한시(容軒漢詩)의 배경(背景) ... 195
1. 려말(麗末), 선초(鮮初)의 문예사조(文藝思潮) ... 195
2. 가계(家系)와 학문연원(學問淵源) ... 197
(1) 가계(家系) ... 197
(2) 사우연원(師友淵源) ... 199
3. 생애(生涯)와 인품(人稟) ... 204
(1) 생애(生涯) ... 204
(2) 인품(人稟) ... 206
4. 한시(漢詩) 표현형식(表現形式)의 발달과정(發達過程) ... 208
Ⅲ. 시형선택(詩形選擇) ... 213
1. 사언시(四言詩) ... 215
(1) 사언육구(四言六句) ... 215
2. 오언시(五言詩) ... 215
(1) 오언절구(五言絶句) ... 215
(2) 오언율시(五言律詩) ... 215
(3) 오언배율(五言排律) ... 217
(4) 오언고시(五言古詩) ... 217
3. 칠언시(七言詩) ... 217
(1) 칠언절구(七言絶句) ... 217
(2) 칠언율시(七言律詩) ... 220
(3) 七言六句 ... 221
(4) 칠언연구시(七言聯句詩) ... 221
(5) 오칠언잡언(五七言雜言) ... 221
4. 시형운용(詩形運用)을 통해 본 용헌시(容軒詩)의 제양상(諸樣相) ... 222
(1) 시사(詩史)에 대한 조예(造詣)와 시작흥취(詩作興趣) ... 222
(2) 성리학적(性理學的)인 문예사조(文藝思潮)와 전아미(典雅美)의 구현 ... 227
(3) 관유(官遊)의 감흥(感興)과 칠언절구시(七言絶句詩) ... 229
Ⅳ. 압운현상(押韻現象) ... 231
1. 고시(古詩)의 압운(押韻) ... 233
2. 율시(律詩)의 압운(押韻) ... 233
(1) 오언율시(五言律詩)의 압운(押韻) ... 233
(2) 칠언율시(七言律詩)의 압운(押韻) ... 236
Ⅴ. 평측강구(平仄講求) ... 243
1. 오언율시(五言律詩)의 평측(平仄) ... 244
(1) 오언절구(五言絶句)의 평측(平仄) ... 244
(2) 오언율시(五言律詩)의 평측(平仄) ... 245
2. 칠언율시(七言律詩)의 평측(平仄) ... 247
(1) 칠언절구(七言絶句)의 평측(平仄) ... 247
(2) 칠언율시(七言律詩)의 평측(平仄) ... 248
Ⅵ. 대장미(對仗美) ... 250
1. 오언율시(五言律詩)의 대장(對仗) ... 251
2. 칠언율시(七言律詩)의 대장(對仗) ... 251
Ⅶ. 수사기교(修士技巧) ... 253
1. 부체거다(賦體居多) ... 253
2. 비(比), 흥(興) ... 256
3. 첩어다용(疊語多用) ... 258
Ⅷ. 맺음말(結語) ... 262
용헌 이원시 연구 / 조종엽[충남대학교 교수]
Ⅰ. 서론 ... 265
Ⅱ. 본론 ... 266
1. 생평(牛平) ... 266
2. 작품분석 ... 270
(1) 일반적 경향 ... 270
(2) 표현의 묘 ... 272
(3) 다양한 형식 ... 275
(4) 시중론시(詩中論詩) ... 277
(5) 시정(施政) ... 280
(6) 사회시(社會詩) ... 285
(7) 유교관계(儒敎關係) ... 290
(8) 용헌시의 가치 ... 295
Ⅲ. 결론 ... 298
부록
Ⅰ. 용헌공이원연보(容軒公李原年譜) ... 300
Ⅱ. 용헌공이원문집(容軒公李原文集) ... 315
시 (詩) ... 315
습유시(拾遺詩) ... 372
증유시(贈遺詩) ... 374
Ⅲ. 용헌공이원유묵(容軒公李原遺墨) ... 384
Ⅳ. 용헌공이원화보(容軒公李原畵譜) ... 387
편집을 끝내면서 ... 388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