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역서 / 허권수(許捲洙) ... 1
불우헌문집 서문 / 오진영(吳震泳) ... 17
스스로 지은 서문 ... 21
『불우헌문집(不憂軒文集)』제1권
시(詩)
1. 시냇가 얼음 ... 33
2. 홀로 앉아서 ... 33
3. 다듬이 소리 ... 34
4. 눈 ... 34
5. 굶주린 솔개 ... 3...
더보기
목차 전체
역서 / 허권수(許捲洙) ... 1
불우헌문집 서문 / 오진영(吳震泳) ... 17
스스로 지은 서문 ... 21
『불우헌문집(不憂軒文集)』제1권
시(詩)
1. 시냇가 얼음 ... 33
2. 홀로 앉아서 ... 33
3. 다듬이 소리 ... 34
4. 눈 ... 34
5. 굶주린 솔개 ... 35
6. 월영대 ... 35
7. 용암사(龍巖寺) 버려진 옛 터 ... 36
8. 부서진 거문고 ... 36
9. 지도 ... 37
10. 닭 ... 37
11. 입춘 ... 38
12. 늦봄에 소강절(邵康節)의 시 운자를 써서 아무렇게나 흉내내어 ... 38
13. 아이를 씻으며 동파(東坡)의 시 운자를 써서 ... 39
14. 봄날 즉흥적으로 읊어 종형제 민정읍(閔廷揖)의 시에 차운하여 ... 39
15. 소촌역(召村驛) 벽 위의 시 운자에 따라서 ... 40
16. 정암(鼎巖) ... 40
17. 둔한 말 ... 41
18. 경대에 쓰다 ... 41
19. 자형 곽익조(郭翊朝)의 시로 쓴 서신에 답하여 ... 42
20. 신축(1721)년 책력에 쓴 시 ... 45
21. 가을날 개양동(開陽洞)에 가서 종형의 별세를 애도하여 ... 45
22. 장인 권공(權公 ; 휘는 壽昌)의 별세를 애도하는 시 ... 46
23. 가야산(伽倻山)에 유람하면서 골짜기 어귀로 들어갈 때 지은 시 ... 47
24. 해인사에서 우연히 지은 시, 세 수 ... 47
25. 양전(陽田) 시골 집에서 좌중의 운자에 따라 ... 48
26. 또 앞의 운자를 써서 시를 지어 최공(崔公 ; 이름은 震衡)에게 드린다 ... 49
27. 외숙 한공(韓公)을 삼가 이별하며 ... 50
28. 무봉암(舞鳳庵)의 현판에 있는 시 운자를 따라서 ... 50
29. 면양(沔陽) 고을원 곽사또(이름은 績)와 이별하면서 준 시 ... 52
30. 윤3월에 짓다 ... 53
31. 밤에 이야기하며 ... 53
32. 무신년 역적의 반란이 막 일어나자, 진주병사가 촉석루 아래에 미리 도망갈 배를 준비시켜 놓고 위급하면 달아나려고 했다는 사실을 듣고서 분개하여 짓다 ... 54
33. 거울을 비춰보다가 흰 머리를 처음으로 보고서 느껴 탄식하여 ... 54
34. 서울에 들어와 느낌이 있어 ... 55
35. 영동(永同) 관아에서 윤진사(이름은 ?)의 시 운자에 따라서 ... 55
36. 화악루(華岳累) 시의 운자에 맞추어 고을원 윤공(이름은 鳳五)에게 주며 ... 56
37. 다시 앞 시의 운자(韻字)를 따라서 고을원에게 주다 ... 56
38. 영동(永同)에서 회포를 적어 ... 57
39. 무주(茂朱)에 들어가서 ... 58
40. 섣달 그믐날 밤에 고촉주(高蜀州) 시의 운자를 써서 오백옥(吳伯玉 ; 이름은 瑗) 백온(伯溫 ; 이름은 瑋)과 함께 읊다 ... 58
41. 달 밝은 밤에 운자를 불러 백온(伯溫)과 함께 읊어 백옥(伯玉)에게 주다 ... 59
42. 을묘(1735)년 섣달 그믐날 밤 죽은 아들을 생각하며 ... 60
43. 용추(龍湫)를 지나며 ... 60
44. 부상역(扶桑驛)에서 비에 막혀 ... 61
45. 부채에 쓴 시 ... 61
46. 입춘날 축하하는 시 ... 62
47. 청곡사(靑谷寺)에서 강성보(姜聖輔)를 만나 족숙 명암(明庵)이 준 시의 운자를 따라서 준다 ... 63
48. 장안사(長安寺)에서 우연히 지은 시 ... 63
49. 아림(娥林 ; 居昌의 별칭) 고을원 윤공(尹公 ; 이름은 慶哲)의 회갑 잔치 때시의 운자를 따라서 ... 64
50. 섣달 그믐날 입춘이 들다 ... 64
51. 최운수(崔雲?)의 집 벽에 쓴 시 ... 65
52. 하곡(荷谷)에서 임시로 지내는 동안 운수(雲?) 한성빈(韓聖彬 ; 이름은 炯)의 고기 낚는 시의 운자를 따라서 ... 65
53. 새벽 닭 울음소리를 듣고 ... 66
54. 임술(1742)년 음력 칠월 십육일에 소동파(蘇東坡)가 옛날 놀던 일을 생각하며 ... 66
55. 조군(이름은 玄齡)의 무덤을 지나면서 느낌이 있어 절구 한 수를 짓는다 ... 67
56. 홍수 ... 68
57. 섬진강(蟾津江)에서 회포가 있어 ... 68
58. 박참판(이름은 而章)의 시인들의 성명을 엮어서 지은 시를 본받아 ... 69
59. 강래수(姜來? ; 이름은 載東)의 죽음을 슬퍼하여 ... 70
60. 친구 곽진약(郭鎭若 ; 이름은 安朝)의 약저울 시의 운자에 따라서 ... 71
61. 조송설(趙松雪)의 법첩(法帖)을 보니 그 아래「시화음(詩?吟)」이라는 절구 한 수가 있기에 완성시켰다 ... 72
62. 옥천사(玉泉寺)를 두고 지은 시 ... 73
63. 함안 가는 길에 눈을 만나 ... 73
64. 조중길(曺仲吉)이 영천(永川)의 옛 집으로 돌아가는 것을 전송하며 ... 74
65. 의암(義巖) ... 75
66. 누에 '잠(蠶)'자를 운자로 써서 ... 76
67. 규백(奎伯) 등 여러 친구들과 시를 주고받으며 ... 77
68. 마침 아이가 누에고치를 구하기에 '잠(蠶)'자 운자를 써서 입으로 부르다 ... 78
69. 함안(咸安)의 박동지(朴同知) 형제(이름은 昌億, 昌兆)가 수직(壽職)을 받은 경사로 잔치를 열었는데, 그 맏아들 정보(貞甫)가 시를 보내면서 화답(和答)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짧은 서문이 있다 ... 80
『불우헌문집(不憂軒文集)』제2권
70. 두류산(頭流山)에서 놀며 ... 87
71. 두류산에서 여러 사람들이 같이 지은 시 ... 87
72. 남대암(南臺庵)에 들어가서 ... 88
73. 남대암(南臺庵)에서 집안 아저씨 명암(明庵)이 남긴 시의 운자에 따라서 ... 88
74. 남대암(南臺庵)에서 돌아오는 길에 문욱(文郁)의 시 운자를 따라서 ... 89
75. 대원동(大源洞) 어귀에서 또 문욱(文郁)의 시 운자를 따라서 ... 89
76. 신천(新川)에서 자면서 ... 90
77. 원북(院北)의 여러 친구들의『정충록(精忠錄)』에 대한 감음시의 운자에 따라서 ... 90
78. 서산서원(西山書院)에서 노송나무를 읊은 시의 운자를 따라서 ... 91
79. 권석주(權石洲)의「유연전(柳淵傳)」뒤에 쓴 시의 운자를 따라서 ... 92
80. 새 책력에 쓴 시 ... 93
81. 박성보(朴成甫 ; 이름은 尙節)의 용화산(龍華山) 시의 운자를 따라서 ... 94
82. 박성보(朴成甫)의 풍영대(風詠臺) 시의 운자를 따라서 ... 95
83. 박구현(朴龜玄)이 지은 시의 운자를 따라서 ... 96
84. 서생 정태광(鄭台光)군이 석가산(石假山)을 쌓아놓고 나에게 시를 지어 줄 것을 요청하기에 ... 98
85. 서생 노각(盧珏)군이 수미음(首尾吟) 형식의 시로 아들 채(埰)에게 주기에 아들이 차운(次韻)했고, 나도 차운했다 ... 99
86. 정묘(1747)년 음력 3월 17일 서울 소격동(昭格洞) 셋집에서 잔치를 베풀고 고조부의 은혜로운 시호(諡號)를 맞이할 때 감격하여 지은 시 ... 101
87. 음성 고을원 홍채보(洪采輔)의 집에서 서생 정여소(鄭汝素)군의 시 운자에 맞추어 ... 102
88. 양성(陽城)의 종형 오백온(吳伯溫 ; 이름은 瑋)이 정묘(1747)년 섣달에 와서 머물렀는데, 새해 설날이 되자 돌아가신 우리 아버님 사당에 참배하고 느낌이 있어 절구 세 수를 지었다. 이에 그 시의 운자에 따라서 지었다 ... 103
89. 오백온(吳伯溫)이 또 절구 한 수를 읊어 나의 아들과 손자에게 주기에 내가 그 운자를 따라서 지었다 ... 104
90. 산속의 집에 붙어 자면서 ... 105
91. 함안(咸安) 가는 길에 비에 막히고 양식이 떨어져 ... 105
92. 박동지(朴同知 ; 이름은 昌兆)의 죽음을 슬퍼하여 ... 106
93. 솔례(率禮)에서 연로한 부인들 대여섯 명이 합동으로 수연(壽宴)을 베풀었는데, 친구 곽진약(郭鎭若 ; 이름은 安朝)이 오언율시를 읊어 원근의 여러 친구들에게 화답해 줄 것을 요구하기에 그 운자에 따라서 시를 지어 준다 ... 110
94. 허군칙(許君則 ; 이름은 ?)의 죽음을 애도하여 ... 111
95. 형(?) 스님의 시축(時軸)에 있는 시의 운자를 따라서 ... 112
96. 의상대(義相臺)에서 강대휴(姜大?) 조술보(趙述甫) 등과 함께 읊다 ... 113
97. 조중효(趙仲孝 ; 이름은 希閔)의 죽음을 애도하여 ... 114
98. 곽형(郭兄) 숙행(叔行)의 수연(壽宴) 날에 빗을 두고 지은 시의 운자를 따라서 ... 117
99. 헤어질 때 또 앞의 운자를 따라서 시를 지어 삼가 주었다 ... 118
100. 곽숙행(郭叔行)의 절구시의 운자에 따라서 ... 118
101. 박성보(朴成甫 ; 이름은 尙節)의 집에서 우연히 곽숙행(郭叔行)의 유고를 읽어 보았는데, 그 가운데 나와 주고받은 시가 있기에 느낌이 있어 짓는다 ... 119
102. 곽숙행(郭叔行)의 죽음을 애도하여 ... 119
103. 친척 아저씨 조공(趙公 ; 이름은 ?)의 죽음을 애도하여 ... 120
104. 이종동생인 동복(同福) 고을원 임중유(任仲由 ; 이름은 ?)와 주고 받은 시 ... 123
105. 학을 읊은 시 ... 124
106. 물염정(勿染亭)에 걸린 시의 운자를 따라서 ... 125
107. 임중유(任仲由)가 그 어머님을 위해서 생일잔치를 연 것을 축하하여 ... 126
108. 협선루(挾仙樓)에서 현판 위의 시 운자를 따라서 ... 126
109. 누각에 올라 회포를 적어 ... 127
110. 조공우(趙功禹) 집 벽 위 노송(老松)이라는 시의 운자를 따라서 ... 128
111. 압록원(鴨綠院)에서 거기 있는 운자에 따라서 시를 지어 벽에 쓴다 ... 128
112. 또 앞의 시의 운자를 따라서 백헌(白軒)의 시 뒤에 쓴다 ... 128
113. 복천(福川) 고을원과 더불어 시내 놀이하다가 두보(杜甫)의 율시 운자를 따라서 ... 129
114. 복천 고을원과 함께 만경대(萬景臺)에 올라 또 두보 시의 운자를 따라서 ... 130
115. 조카 임자동(任子東)이 유마사(維摩寺) 글 읽는 곳에서 절구 한 수를 부쳐 보냈다. 나와 임달(任撻)이 동시에 화답했다 ... 130
116. 현풍(玄風)의 선비 곽공(郭公 ; 이름은 師泰)이 회혼례(回婚禮)와 아울러 수직(壽職)을 받고 잔치할 때의 시운자에 나중에 화답하여 ... 131
117. 회포를 적어 이길상(李吉祥)의 시 운자를 따라서 ... 132
118. 사간(司諫) 조공(趙公 ; 이름은 重稷)에게 준 시 ... 132
119. 아들 기(?)가 서울로 들어가는 것을 전송하면서 회포를 적어 ... 133
120. 세상을 떠난 아내를 슬퍼하여 ... 134
121. 곽택중(郭宅中 ; 이름은 在心)의 죽음을 애도하여 ... 135
122. 뜰의 매화가 성하게 핀 것을 보고서 먼저 세상을 떠난 아내를 생각하며 ... 136
123. 구정봉(九井峯)에 올라 ... 136
124. 삼종숙 명암(明庵)이 이름 쓴 것을 보고서 느낌이 있어 ... 137
125. 관음포(觀音浦)에서 느낀 바가 있어 ... 138
126. 청곡사(靑谷寺) 밤비에 당시(唐時)의 운자를 따라서 ... 138
127. 육월 이십구일에 진양성(晋陽城)에 올라 ... 139
128. 절간 누각의 벽 위에 쓴 시의 운자를 따라서 ... 139
129. 오찰방(吳察訪 ; 이름은 璡)과 함께 읊어 ... 140
130. 오찰방(吳察訪)의 작고를 애도하여 ... 142
131. 충렬사(忠烈祠)를 두고 두공부(杜工部)의「무후묘(武侯廟)」시의 운자를 따라서 ... 143
132. 병에 꽂힌 유자 ... 144
133. 친척 동생 오경숙(吳敬叔 ; 이름은 頊)과 함께 이야기하며 ... 144
134. 노어대(?魚臺)를 지나다가 족숙 명암(明庵 ; 鄭?) 어른을 돌이켜 생각하면서 ... 145
135. 경숙(敬叔 ; 吳頊)을 이별하면서 준 시 ... 145
136. 삼가현(三嘉縣)을 지나며 ... 146
137. 여행 다니며 회포를 적어 ... 147
138. 미인 그림에 쓴 시 ... 156
139. 막내며느리를 맞이하는 날 죽은 아내를 그리워하며 느낌이 있어 ... 157
140. 박성보(朴成甫 ; 이름은 尙節)의 '옹(翁)'자 운에 따라서 ... 158
141. 박성보(朴成甫)의 「뜰의 매화」라는 시의 운자를 따라서 ... 158
142. 박성보(朴成甫)와 함께 월영대에서 놀면서 ... 159
143. 권계익(權季翼)의 시 운자를 따라서 ... 160
144. 권백우(權伯羽)의 별세를 애도하여 ... 161
145. 송사아(宋士雅 ; 이름은 履徵)의 별세를 애도하여 ... 168
146. 이군겸(李君兼 ; 이름은 贇望)의 시축(詩軸)의 운자에 따라서 ... 169
147. 성보(成甫 ; 朴尙節)에게 주는 시 ... 169
148. 의령(宜寧) 고을원 서공(徐公 ; 이름은 命瑞)의 「애민헌시(愛民軒詩)」에 화답하여 ... 170
149. 서생 박구현(朴龜玄)과 친척 정한걸(鄭漢傑)과 시를 주고받다 ... 171
150. 박천범(朴天範)과 정겸삼(鄭兼三)의 시에 답하여 ... 174
151. 진사 이진여(李進汝 ; 이름은 光漸)의 별세를 애도하여 ... 176
152. 성보(成甫 ; 朴尙節)와 함께 읊어 ... 179
153. 생질 곽필기(郭弼箕)의 시의 운자(韻字)를 따라서 지어 준다 ... 180
154. 자고당(紫皐堂)에서 곽진약 이군겸 박성보 손제경과 연구(聯句)를 지어 ... 180
155. 다시 앞에 사용한 운자를 써서 곽진약(郭鎭若)에게 부친다 ... 181
156. 박재정(朴載挺)의「지정(池亭)」이라는 시의 운자를 따라서 ... 182
157. 이가 빠져나간 것을 탄식하여 ... 183
158. 정완세(鄭完世)군이 그 선조 우곡(隅谷)선생을 위해서 원근의 사우(士友)들에게 시를 구하였는데, 내가 그 시축(詩軸) 가운데 있는 운자에 따라서 시를 지어 주었다 ... 183
159. 이종형 참지(參知) 윤학보(尹學보輔)의「영환(詠鰥)」이라는 시의 운자를 맞추어 ... 184
160. 임석천(林石川 ; 이름은 億齡)의「부주(賦酒)」라는 시의 운자를 따라서 ... 185
161. 육월 일일 제사를 지내고 나서 느낌을 적어 ... 186
『불우헌문집(不憂軒文集)』제3권
서신(書信)
1. 이이항(李以恒) 이이곤(李以坤) 이서세(李瑞世)에게 주는 서신 ... 189
2. 박자고당(朴紫皐堂)에게 주는 서신 ... 193
3. 자고(紫皐)에게 주는 서신 ... 194
4. 박자헌(朴紫軒)에게 주는 서신 ... 196
5. 자헌(紫軒)에게 주는 서신 ... 198
6. 박자고(朴紫皐)에게 주는 서신 ... 200
발문(跋文)
1. 고조부 농포선생(農圃先生)문집 발문 ... 202
2.『월곡집(月谷集)』책 뒤에 쓴다 ... 206
3. 집에서 소장하고 있는『통감강목(通鑑綱目)』첫 권의 표지 안쪽에 쓰다 ... 209
4.『중궤방(中饋方)』책 표면에 쓴다 ... 210
5. 돌아가신 아버님께서 편찬하신『서찰(書札)』이란 책의 뒤에 삼가 쓴다 ... 211
6. 집에서 소장하고 있는 책의 목록 뒤에 쓴다 ... 212
상량문(上樑文)
1. 해은재(海隱齋) 상량문 ... 214
제문(祭文)
1. 장인 권공(權公 ; 이름은 壽昌)의 별세를 애도하는 글 ... 221
2. 죽은 아우 상림(相臨)의 영(靈)에게 고하는 제문 ... 227
3. 진사 송공(宋公 ; 이름은 時徵)의 영전에 드리는 제문 ... 230
4. 삼종형[相詹]의 영전에 드리는 제문 ... 233
5. 죽은 아들 단(壇)의 영(靈)에게 고하는 제문 ... 238
6. 매부 송성대(宋聖大)의 죽음을 애도하는 제문 ... 246
7. 소헌(蘇軒) 최공(崔公 ; 이름은 震衡)의 죽음을 애도하는 제문 ... 250
8. 이양중(李養中 ; 이름은 孟和)의 죽음을 애도하는 제문 ... 255
9. 삼종형[相稷]의 별세를 애도하는 제문 ... 258
10. 한공(韓公 ; 이름은 相琦)의 죽음을 애도하는 제문 ... 261
11. 며느리 함양여씨(咸陽呂氏)의 죽음을 애도하는 제문 ... 264
12. 삼종숙(三從叔) 명암처사(明菴處士)의 별세를 애도하는 제문 ... 267
13. 삼종형 진사공[相說]의 별세를 애도하는 제문 ... 272
14. 매부 박이중(朴而中 ; 이름은 經權)의 죽음을 애도하는 제문 ... 276
15. 삼종형[相摯]의 별세를 애도하는 제문 ... 278
16. 고종사촌형님 배공(裵公 ; 이름은 舜佐)의 별세를 애도하는 제문 ... 282
17. 자형 곽공(郭公 ; 이름은 翊朝)의 죽음을 애도하는 제문 ... 285
18. 죽은 아우 상삼(相參)을 애도하는 제문 ... 290
19. 죽은 아내 권씨를 애도하는 제문 ... 292
20. 곽씨(郭氏) 집안의 며느리인 누님의 영전에 드리는 제문 ... 305
21. 고종사촌 형님 곽공(郭公 ; 이름은 在全)의 영전에 드리는 제문 ... 308
22. 권백우(權伯羽 ; 이름은 ?)의 별세를 애도하는 제문 ... 314
23. 안여고(安汝固 ; 이름은 ?)의 죽음을 애도하는 제문 ... 318
행장(行狀)
1.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성균진사(成均進士) 평헌(萍軒) 정공(鄭公) 행장 ... 323
묘지(墓誌)
1. 선고(先考) 처사부군(處士府君) 선비(先?) 청주한씨(淸州韓氏) 묘지(墓誌) ... 337
『불우헌문집(不憂軒文集)』제4권
부록(附錄)
행장(行狀) / 안정복(安鼎福) ... 345
묘갈명(墓碣銘) / 안정복(安鼎福) ... 361
발문(跋文) 1. / 정준교(鄭準敎) ... 374
발문(跋文) 2. / 정창석(鄭昌錫) ... 376
〈추가자료〉
오대조불우헌부군실기(五代祖不憂軒府君實記) / 정준교(鄭準敎) ... 379
「<B><FONT color ... #0000
「<B><FONT color ... #000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