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1부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3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8
가. 연구 내용 ... 8
나. 연구 방법 ... 16
2부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논의 및 향후 연구방향 ... 25
1. 서구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배경 ... 28
가. 다문화주의 정의 ... 28
나...
더보기
목차 전체
1부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3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8
가. 연구 내용 ... 8
나. 연구 방법 ... 16
2부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논의 및 향후 연구방향 ... 25
1. 서구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배경 ... 28
가. 다문화주의 정의 ... 28
나. 서구사회 다문화주의 정책의 도입 배경 ... 29
다.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쟁점 ... 30
2. 한국사회에서의 다문화주의 ... 35
가. '다문화'에 대한 이론적 논의 ... 35
나. 한국사회의 다문화주의에 대한 논의의 문제점 ... 37
다. 비판적 다문화주의를 위한 새로운 문화 개념 ... 41
3. 다문화사회 실현을 위한 실천방안: 다문화 역량 강화 ... 43
가. 다문화 역량의 개념 ... 43
나. 다문화 역량의 구성요소 ... 45
다. 다문화 역량 강화를 위한 실천방안 ... 46
4. 소결 ... 49
3부 다문화주의: 이론적 배경과 주요국의 정책 ... 51
1. 다문화사회의 유형에 따른 다문화정책의 성격 ... 54
2. 유럽의 다문화정책: 프랑스, 독일, 스웨덴 ... 59
가. 프랑스의 다문화정책 ... 59
나. 독일의 다문화정책 ... 70
다. 스웨덴의 다문화정책 ... 84
3. 아시아의 다문화정책: 싱가포르, 일본 ... 91
가. 싱가포르의 다문화정책 ... 91
나. 일본의 다문화공생정책 ... 99
4. 소결 ... 109
4부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 115
I.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1: 정규교육과정 다문화교육 ... 117
1. 다문화교육의 개념 및 도입배경 ... 117
2. 학교에서의 다문화교육 ... 120
3. 다문화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123
가.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과 교수ㆍ학습 계획 ... 124
나.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ㆍ학습 관련 변인 ... 125
다.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과 교수ㆍ학습 프로그램 개발 ... 131
4. 소결 ... 137
Ⅱ.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2: 생활세계 속 다문화교육 ... 139
1. 생활세계 속 다문화교육의 개념 ... 140
2. 민간단체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현황 ... 142
가.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 ... 142
나. 외국인인권을위한모임 부설 아시아평화인권연대 ... 143
다. 국경없는마을의 '이주민 문화 멘토 프로그램' ... 144
3. 해외사례연구: 남양대만자매회(Trans Asia Sisters' Association, TASAT) 다문화교육강사 양성 과정 ... 148
가. 이주여성 역량 강화 프로그램 ... 148
나. 다문화강사 프로그램 ... 150
4. 생활세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방안 ... 157
가. 결혼이주자여성을 위한 다문화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 158
나. 다문화 강사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161
다. 한국인 배우자 남성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교육의 방향 ... 166
5. 소결 ... 168
Ⅲ.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3: 사회서비스정책 ... 171
1. 조사방법 ... 172
가. 조사대상자 및 사례연구 지역 ... 172
나. 조사내용 ... 173
2. 생애주기별 사회서비스 경험 ... 175
가.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한 사회서비스 내용 ... 175
3. 생애주기별 사회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 183
가. 입국초기-가족관계형성기의 사회서비스에 대한 요구 ... 183
나. 임신 및 출산 전ㆍ후 사회서비스에 대한 요구 ... 185
다. 자녀양육 사회서비스에 대한 요구 ... 186
라. 아동취학기 사회서비스에 대한 요구 ... 188
마. 노동시장 (재)진입기 사회서비스에 대한 요구 ... 190
4. 소결 ... 191
Ⅳ.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4: 문화정책 ... 195
1. 다문화사회로의 이행과 문화정책의 부상 ... 196
2. 다문화사회의 전개에 따른 문화정책의 방향 ... 199
가. '새로운' 이주민들의 주류문화에 대한 접근ㆍ통합 욕구 ... 200
나. 소수민족 공동체 형성과 문화의제 전망 ... 201
다. 주류사회 수용성과 문화 주체 간 소통의 의미 ... 206
3. 다문화사회 관련 정책계획 및 법률에 나타난 문화정책의 성격 ... 208
가. 사회통합정책의 일환으로서 문화정책 ... 209
나. 문화다양성 중심의 정책 형성 움직임 ... 215
4. 소결 ... 220
5부 한국 다문화정책의 현황 및 향후 정책적 대응 ... 223
1.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실 및 정책 현황 ... 225
가. 한국사회의 이주민 실태와 전망 ... 226
나. 한국사회의 다문화정책 현황 ... 231
다. 다문화정책 추진과정 상의 문제점 ... 241
2. 향후 다문화정책 수립의 방향 ... 253
가. 다문화사회 주체의 정책적 위상 확립 ... 253
나. 다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인프라 구축 ... 255
다. 소통지향적 다문화 프로그램의 개발 ... 257
라. 이주민의 문화권에 대한 보장 ... 260
3. 다문화사회의 이행단계별 사회문제 전망 ... 262
가. 다문화사회의 이행단계별 위험요인 ... 262
나. 다문화사회 발전방향에 따른 미래 전망 ... 265
4. 성공적인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전략 ... 267
5. 다문화정책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방안 ... 272
가. 현행 다문화정책 거버넌스의 문제점 ... 272
나. 다문화정책 거버넌스 체계 수립의 목표와 방향 ... 274
6. 소결 ... 278
참고문헌 ... 283
부록 ... 313
Abstract ... 32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