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5
제1부 텍스트 언어학의 이해
1. 텍스트 언어학의 개념과 전개 ... 19
1.1 텍스트 언어학과 텍스트 ... 19
1.2 텍스트 언어학의 성립과 발전 ... 32
1.3 국내에서의 연구 동향 ... 40
2. 텍스트성 ... 53
2.1 텍스트성이란? ... 53
2.2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5
제1부 텍스트 언어학의 이해
1. 텍스트 언어학의 개념과 전개 ... 19
1.1 텍스트 언어학과 텍스트 ... 19
1.2 텍스트 언어학의 성립과 발전 ... 32
1.3 국내에서의 연구 동향 ... 40
2. 텍스트성 ... 53
2.1 텍스트성이란? ... 53
2.2 의도성 ... 58
2.3 용인성 ... 64
2.4 정보성 ... 68
2.5 상황성 ... 74
2.6 텍스트상호성 ... 80
2.7 응집성 ... 85
2.8 응결성 ... 89
3. 텍스트 분석과 텍스트 언어학의 전망 ... 91
3.1 텍스트 분석 방법 ... 91
3.2 텍스트 언어학과 국어 교육 ... 100
3.3 텍스트 언어학의 발전·전망 ... 118
참고 문헌 ... 129
제2부 <B><FONT color ... #0000
1. 시의 언어적 효용성 분석 ... 145
1.1 머리말 ... 145
1.2 시 텍스트 분석 ... 147
1.3 맺음말 ... 159
참고 문헌 ... 161
2. 21세기 都·農 담론 분석 ... 163
2.1 머리말 ... 163
2.2 『모내기블루스』란 표제의 이차적 의미 ... 165
2.3 『모내기블루스』의 이야기시학 ... 166
2.4 맺음말 ... 176
참고 문헌 ... 178
3. 대화 텍스트의 구조 ... 179
3.1 머리말 ... 179
3.2 텍스트, 담화, 대화 ... 180
3.3 대화 텍스트의 구조 ... 188
3.4 맺음말 ... 199
참고 문헌 ... 201
4. 심리적 갈등 구조와 대화의 구조 ... 205
4.1 머리말 ... 205
4.2 갈등의 요인 ... 208
4.3 남성과 여성의 대화 ... 211
4.4 부모와 자녀의 대화 ... 215
4.5 친구 사이의 대화 ... 222
4.6 맺음말 ... 226
참고 문헌 ... 231
5. 유머 텍스트의 의도성과 용인성 ... 233
5.1 머리말 ... 233
5.2 유머 텍스트의 의도성 ... 234
5.3 유머 텍스트의 용인성 ... 244
5.4 맺음말 ... 249
참고 문헌 ... 250
6. 관용 표현의 유형과 구조 ... 253
6.1 언어 단위와 텍스트 ... 253
6.2 관용 표현 말글(텍스트)의 분류 ... 257
6.3 전래 관용 표현 ... 265
6.4 유행 관용 표현 ... 281
6.5 결론 ... 301
참고 문헌 ... 304
7. 신문 기사문의 텍스트 이해 과정 ... 311
7.1 머리말 ... 311
7.2 본문 ... 316
7.3 맺음말 ... 337
참고 문헌 ... 339
8. 인터넷 신문의 텍스트적 특성 ... 341
8.1 머리말 ... 341
8.2 인터넷 신문의 발달 및 특성 ... 343
8.3 인터넷 신문의 언어 구조적 특성 ... 346
8.4 인터넷 신문의 소통 상황적 특성 ... 352
8.5 맺음말 ... 355
참고 문헌 ... 358
9. 광고 텍스트의 언어 사용 양상 ... 359
9.1 광고의 본질 ... 359
9.2 인쇄 광고 카피 ... 361
9.3 광고 텍스트의 언어 사용 양상 ... 364
참고 문헌 ... 374
10. 옥외광고와 외래어 ... 375
10.1 머리말 ... 375
10.2 간판의 외래어 사용 실태 조사 ... 377
10.3 간판의 외래어 오용 표기 양상 ... 387
10.4 맺음말 ... 391
참고 문헌 ... 393
11. 대통령 취임사의 국어 표현 ... 395
11.1 대통령과 국민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현 ... 396
11.2 어휘 선택 ... 399
11.3 문장 표현 ... 405
참고 문헌 ... 418
12. 동명왕편(東明王篇)의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 419
12.1 머리말 ... 419
12.2 東明王篇의 構造 ... 421
12.3 東明王篇에 담긴 意味 解釋 ... 436
12.4 맺음말 ... 441
13. 신재효본 토별가의 언어 층위 ... 443
13.1 머리말 ... 443
13.2 토별가 구성 언어의 몇 가지 층위 ... 444
13.3 유혹의 말과 인식의 문제 ... 448
13.4 맺음말 ... 462
14. 16세기에 쓰여진 김성일 언간의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 465
14.1 머리말 ... 465
14.2 조선 시대 언간 텍스트의 일반적 특징 ... 466
14.3 김성일 언간의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 468
14.4 맺음말 ... 478
참고 문헌 ... 480
15. 대사헌 민개 등의 상소와 태조의 전교 분석 ... 483
15.1 조선왕조 최초의 사헌부 상소 ... 483
15.2 민개 등의 상소의 담화 장르적 정체 ... 485
15.3 민개 등의 상소의 논증 분석 ... 488
15.4 마무리 ... 500
참고문헌 ... 502
자료 : 민개 등의 상소와 임금의 전교 ... 504
16. 경문(經文)의 이해 ... 504
16.1 머리말 ... 513
16.2 본론 ... 517
찾아보기 ... 54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