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4
제1장 서론 ... 15
1. 예(禮), 유교적 전통사회를 이해하는 관건 ... 17
2. 선행 연구의 검토 ... 24
(1) 정약용의 예학에 대한 연구 경향 ... 25
(2) 정약용의 신관에 대한 연구 경향 ... 36
(3) 정약용의 심신수양론에 대한 연구 경향 ... 39
(4...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4
제1장 서론 ... 15
1. 예(禮), 유교적 전통사회를 이해하는 관건 ... 17
2. 선행 연구의 검토 ... 24
(1) 정약용의 예학에 대한 연구 경향 ... 25
(2) 정약용의 신관에 대한 연구 경향 ... 36
(3) 정약용의 심신수양론에 대한 연구 경향 ... 39
(4) 정약용의 경세론에 대한 연구 경향 ... 42
3. 연구의 관점과 본문의 구성 ... 47
제2장 종교문화체계로서의 예(禮)와 유교 의례 ... 53
1. 예(禮)의 복합성 ... 55
2. '종교문화체계'로서의 예(禮) ... 59
3. 유교 의례의 구조와 특성 ... 67
(1) 심리와 문화를 매개하는 구성적 실재 ... 67
(2) 초월적 권위와 보편적 질서의 표상체계 ... 72
(3) 종교문화적 권위와 사회적 질서의 호응관계 ... 75
제3장 사천(事天)의 제사론과 초월적 인격신관 ... 81
1. 제사, 종교문화체계의 기초 ... 83
(1) 사천(事天)의 의례화 ... 83
(2) 의절(儀節)과 환심(歡心) ... 86
(3) 영명(靈明)과 공덕(功德) ... 88
2. 상제(上帝)를 중심으로 한 초월적 인격신관 ... 92
(1) '만물일체(萬物一體)'에서 '만물일본(萬物一本)' ... 92
(2) 신관의 변화와 초월적 위계질서의 재구성 ... 110
(3) 초월적 인격신관에 대한 예학사적 평가 ... 114
3. 제사의 구조와 의례이론의 특징 ... 123
(1) 주향(主享)과 배향(配享)의 제사 구조 ... 123
(2) 의례 대상과 의례 방식의 호응관계 ... 132
(3) 천지지정(天地之情)과 인정(人情)의 현실주의적 예론(禮論) ... 138
제4장 종교적 의식의 체화와 심신의 수양 ... 151
1. 종교적 의식의 체화와 배천(配天)에 이르는 덕행 ... 153
(1) 신독(愼獨)과 성(誠): 종교적 의식의 체화 ... 153
(2) 경(敬): 미발함양을 부정하는 지향적 경건주의 ... 161
2. 심신의 수양과 완성의 경지 ... 168
(1) 위의(威儀) 공부와 호연지기(浩然之氣) 양성 ... 168
(2) 전덕지인(全德之人)과 격천지인(格天之人) ... 176
제5장 제도로서의 예제(禮制)와 왕도정치의 실현 ... 183
1. 의례의 경세론적 기능 ... 185
(1) 천인상응론에 따르는 사인-사천의 통합적 사유 ... 185
(2) 환심(歡心)을 통한 공동체의 통합 ... 197
(3) 공동체를 대표하는 의례 주체에 대한 각성 ... 201
2. 예치(禮治)와 왕도정치의 실현 ... 207
(1) 과도한 인정의 절제와 위계적 사회질서의 확립 ... 207
(2) 공ㆍ덕을 창출하는 영명한 인간과 사회 ... 226
(3) 공ㆍ덕을 강조하는 제사론과 위계적 사회질서 ... 241
제6장 결론 ... 257
참고문헌 ... 266
찾아보기 ... 29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