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한국의 차 문화 천년을 펴내며 ... 4
조선 후기의 차 문화를 엮어 내며 ... 7
일러두기 ... 16
이익(李瀷), 1681∼1763
다식 ... 19
다시 ... 21
신유한(趙泰億), 1675∼1728
일본의 다례 ... 23
이광사(李匡師), 1705∼1777
내도재기 ... 24
이상정(李象靖), 1710∼1781
도언 ...
더보기
목차 전체
한국의 차 문화 천년을 펴내며 ... 4
조선 후기의 차 문화를 엮어 내며 ... 7
일러두기 ... 16
이익(李瀷), 1681∼1763
다식 ... 19
다시 ... 21
신유한(趙泰億), 1675∼1728
일본의 다례 ... 23
이광사(李匡師), 1705∼1777
내도재기 ... 24
이상정(李象靖), 1710∼1781
도언 김종덕에게 답하다 ... 26
신광수(申光洙), 1712∼1775
성천 생원 원형에게 ... 28
안정복(安鼎福), 1712∼1791
수다설 ... 30
이덕리(李德履), 1728∼?
기다 ... 32
황윤석(黃胤錫), 1729∼1791
부풍향다보 ... 47
홍대용(洪大容), 1731∼1783
중국의 음식 문화 ... 51
조선의 음식 문화 ... 54
유득공(柳得恭), 1748∼1807
차의 대용품 ... 58
유만주(兪晩柱), 1755∼1788
중국에서 황제에게 바치는 납차ㆍ중국 차의 유래와 종류ㆍ순채국과 차 ... 59
빙허각 이씨(憑虛閣 李氏), 1759∼1824
다품 ... 63
정약용(丁若鏞), 1762∼1836
차의 생산과 판매 ... 64
승려 아암에게 차 주기를 청하는 편지 ... 65
혜장의 병풍에 쓴다 ... 68
차의 명칭 ... 70
차의 전매 제도 ... 72
차의 전매와 민고 ... 81
다신계 절목 ... 83
윤종삼ㆍ윤종진에게 말해주노라 ... 90
윤형규(尹馨圭), 1763∼1840
다설 ... 92
서유구(徐有i?, 1764∼1845
차 ... 92
다공 ... 121
다구 ... 153
이학규(李學逵), 1770∼1835
감찰다시 ... 156
혜장(惠藏), 1772∼1811
금호에게 보낸 답장 ... 157
정학연(丁學淵), 1783∼1859
차의 재배와 저장 ... 158
초의(草衣), 1786∼1866
홍현주에게 바친다 ... 160
원당 김정희에게 바치는 제문 ... 162
다신전 ... 163
김정희(金正喜), 1768∼1856
이재 권돈인에게(제17신) ... 174
오경석에게(제4신) ... 176
초의에게 ... 177
허 선달에게 답한다(제1신) ... 186
허 선달에게 답한다(제3신) ... 187
김명희(金命喜), 1788∼1857
찻잎을 따서 덖는 방법 ... 189
김경선(金景善) 1788∼1853
음식 ... 193
이규경(李圭景), 1788∼1856
도다변증설 ... 195
차, 율무, 청양을 심는 것에 대한 변증설 ... 210
개다와 죽로차 ... 212
이상적(李尙迪), 1803∼1865
용단승설을 적다 ... 214
최한기(崔漢綺), 1803∼1879
음식의 훈증 ... 217
조재삼(趙在三), 1808∼1866
황차 ... 218
황차 관련 기록 ... 219
이유원(李裕元), 1814∼1888
다시청 ... 220
신헌구(申獻求), 1823∼1902
해다설 ... 222
김윤식(金允植), 1835∼1922
차 주발 ... 224
이홍장과의 담화 ... 225
정약용과 강진 차 ... 227
내아문 포시 ... 230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흑색 작설차를 봉납한 일 ... 233
청차와 우전차의 효능 ... 234
우전차의 효능 ... 236
작설차의 효능 ... 238
삼남의 작설차 ... 240
작설차의 복용법 ... 242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중국 작설차를 봉진함 ... 247
다례에 쓰던 인삼차 ... 248
인정전에서 행하던 다례 ... 249
대마도 사람들의 차 애호 ... 251
사적으로 차를 거래하는 것에 대한 법령 ... 252
원문 ... 257
인명 사전 ... 353
서명 사전 ... 376
찾아보기 ... 394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