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3
송강가사의 대화 전개방식
1. 서론 ... 13
2. 가사의 언술적 특성과 대화이론 ... 19
3. 송강가사의 대화사용방식 ... 34
4. 송강가사의 대화적 양상과 그 의미 ... 95
5. 결론 ... 104
후기 기행가사 〈동유가〉의 작자의식과 문체
1. 문제 제기 ... 109
2. 〈동유가...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3
송강가사의 대화 전개방식
1. 서론 ... 13
2. 가사의 언술적 특성과 대화이론 ... 19
3. 송강가사의 대화사용방식 ... 34
4. 송강가사의 대화적 양상과 그 의미 ... 95
5. 결론 ... 104
후기 기행가사 〈동유가〉의 작자의식과 문체
1. 문제 제기 ... 109
2. 〈동유가〉의 작품 개관 ... 112
3. 〈동유가〉에 나타난 작자의 의식과 문체적 특성 ... 114
4. 〈동유가〉를 통해 본 가사의 장르 변동 ... 125
5. 요약과 전망 ... 130
栗谷 李珥의 文學思想과 16世紀 文學의 한 局面
1. 머리말 ... 133
2. 栗谷의 哲學體系 ... 135
3. 栗谷의 山水觀과 文學論 ... 140
4. 〈楓嶽行〉과 〈關東別曲〉의 해석 ... 144
5. 맺음말 ... 156
가사의 시적 담화 양식
1. 서론 ... 159
2. 가사의 문학적 관습과 그 의미 ... 162
3. 가사의 담화양식과 가사 담당층의 언어의식 ... 170
4. 가사의 시학과 문학사적 의미 : 결론을 대신하여 ... 187
가사와 민요의 장르 교섭 양상과 그 문화적 의미
1. 장르 교섭에 대한 문화론적 접근의 필요성 ... 189
2. 필사된 주류문학과 구술된 대항문학 ... 192
3. 상층인의 자기 확인, 또는 자기 완결적 독백 ... 196
4. 타협적 평형의 몇 가지 경우 ... 202
5. 문화적 의미: 결론을 대신하여 ... 211
서사가사의 사적 전개 양상과 그 의미
1. 문화 읽기와 문학 읽기 ... 219
2. 필사문학으로서의 가사 ... 222
3. 문자화된 노래, 노래로 남은 노래 ... 227
4. 문학사적 의미와 문학교육적 의미 ... 240
5. 앞으로의 과제 ... 244
후기 종교가사의 문학성과 문학사적 의미
1. 가사의 본질과 종교가사 ... 245
2. 후기 종교가사의 문학적 자질 ... 249
3. 개화기 이후 종교가사의 변모 ... 259
4. 전망과 제언 ... 263
송강가사에 나타난 여성화자와 송강의 세계관
1. 문제 제기 ... 267
2. 송강가사의 표현 특성과 송강의 세계관 ... 271
3. 〈전후미인곡〉의 여성화자와 '여성의 몸' ... 280
4. 일상성과 여성성의 문학사적 의의: 결론을 대신하여 ... 292
전기가사 결어의 존재 양상과 담당층의 세계관
1. 문제 제기 ... 297
2. 가사 시학과 결어의 기능 ... 300
3. 전기가사 결어의 존재 양상 ... 305
4. 결어에 드러난 전기가사 담당층의 세계관 ... 319
5. 요약과 전망 ... 324
가사를 통해 본 여성적 글쓰기, 그 반성과 전망
1. 문제를 보는 시각 ... 327
2. 가사에 나타난 여성적 글쓰기의 몇 국면 ... 330
3. 일상성과 윤리: 여성적 글쓰기의 향방 ... 343
4. 남는 문제들 ... 353
참고문헌 ... 355
색인 ... 362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