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해제 ... 3
9. 상제류(喪祭類)
오얏과 잉어는 제사에 쓰지 않는다(桃鯉不薦) ... 21
재마(宰馬) ... 22
어채(魚菜) ... 22
과전(瓜奠) ... 22
국상에는 흰색 초립을 쓴다(國恤白笠) ... 23
기해예송(己亥邦禮) ... 25
죽산마(竹山馬) ... 26
인산(因山) ... 26
나라의 기일에는 소식...
더보기
목차 전체
해제 ... 3
9. 상제류(喪祭類)
오얏과 잉어는 제사에 쓰지 않는다(桃鯉不薦) ... 21
재마(宰馬) ... 22
어채(魚菜) ... 22
과전(瓜奠) ... 22
국상에는 흰색 초립을 쓴다(國恤白笠) ... 23
기해예송(己亥邦禮) ... 25
죽산마(竹山馬) ... 26
인산(因山) ... 26
나라의 기일에는 소식을 한다(國忌食素) ... 27
국상에 급제자 발표(國恤唱榜) ... 28
종묘(宗廟) ... 29
묘호(廟號) ... 30
인명일실(仁明一室) ... 31
시호(諡號) ... 33
신갈추숭(神葛追崇) ... 35
장생전(長生殿) ... 36
사직단(社稷壇) ... 37
황단(皇壇) ... 39
만동묘(萬東廟) ... 40
마암영전(馬巖影殿) ... 40
관왕묘(關王廟) ... 41
선무사(宣武祠) ... 43
삼성사(三聖祠) ... 43
청성묘(淸聖廟) ... 44
숭인전(崇仁殿) ... 45
숭의전(崇義殿) ... 46
귤사(橘祠) ... 47
생사(生祠) ... 48
반고씨묘(盤古氏墓) ... 49
제요대(帝堯臺) ... 49
고요금(皐陶琴) ... 49
한릉의 묘자리(漢陵之X? ... 50
주거사묘(朱居士墓) ... 50
공자의 무덤(孔子墓) ... 50
송제묘(宋帝墓) ... 53
치우의 무덤(蚩尤Q? ... 54
말갈의 무덤(靺鞨墓) ... 54
화천의 큰 무덤(花川大塚) ... 55
금림릉(錦林陵) ... 55
수로왕릉(首露王陵) ... 56
호강왕릉(虎康王陵) ... 57
사릉(蛇陵) ... 58
진주묘(眞珠墓) ... 58
에분성(`Z憤城) ... 59
죽장릉(竹長陵) ... 59
시원(柴原) ... 60
온혜릉(溫鞋陵) ... 60
건원릉(健元陵) ... 61
영릉(英陵) ... 62
김후직의 무덤(金后稷墓) ... 63
김유신의 무덤(金庾信墓) ... 64
만리창의 무덤(萬里倉墓) ... 64
목숙정승의 무덤(귏?政丞墓) ... 65
신태사묘(申太師墓) ... 65
남군보묘(南君甫墓) ... 66
호산묘(虎山墓) ... 66
포은묘(圃隱墓) ... 67
적분(赤墳) ... 68
세 명의 장군을 이장하다(移三將軍葬) ... 68
동고의 무덤(東皐墓) ... 69
제말의 무덤(諸沫墓) ... 70
칠백의사총(七百義士塚) ... 71
반낭묘(뿶囊墓) ... 71
약천이 남긴 훈계(藥泉遺戒) ... 72
동분이장(同墳異葬) ... 73
마렵봉과 토만봉(馬?土饅) ... 73
석인과 석마(石人馬) ... 75
잣나무를 심고, 호랑이상을 세우다(樹柏立虎) ... 76
송추(松楸) ... 76
가토(加土) ... 78
수장(壽藏) ... 78
성소와 금양(省掃禁養) ... 79
만가(挽歌) ... 80
비갈공덕(碑碣功德) ... 82
신도비(神道碑) ... 82
묘제(墓祭) ... 83
분황(焚黃) ... 84
수라상의 반찬 수를 줄이고 조정에 머물다(減膳停朝) ... 85
시법(諡法) ... 86
10. 성명류(姓名類)
여와 생이 성이 된다(女生爲姓) ... 88
성과 씨(姓氏) ... 89
반고(盤古) ... 89
천지인(天地人) ... 90
일월(日月) ... 90
오악(五岳) ... 91
동왕공과 서왕모(東王西母) ... 92
박 씨와 석 씨가 알에서 태어나다(朴昔卵生) ... 93
김알지가 황금상자로 내려오다(閼知降金) ... 94
허 씨와 김 씨는 같은 성이다(許金同姓) ... 95
해 씨ㆍ고 씨ㆍ견 씨ㆍ이 씨(解高甄李) ... 96
공 씨가 노국장공주를 따라오다(孔氏隨魯) ... 99
맹자의 어머니는 장씨(孟母凡氏) ... 100
우리 조 씨는 송나라의 후예(我趙宋裔) ... 100
남 씨는 본래 김 씨(南氏本金) ... 101
육부에 성을 하사하다(六部賜姓) ... 102
차 씨와 ‘도’라는 이름의 유래(車姓棹名) ... 102
당성군 홍 씨와 토박이 홍 씨(唐洪土洪) ... 103
피난온 장 씨와 설 씨(張Pp避亂) ... 104
마귀ㆍ이여송ㆍ만세덕ㆍ천만리의 후손이 귀화하다(麻李萬千) ... 105
‘曹’가 ‘曺’로 된 이유(曺姓一柱) ... 106
소 씨와 궉 씨의 유래(石牛天鳥) ... 106
동이 씨와 김진 씨(O_李金秦) ... 107
양 씨와 명 씨가 부역을 면제받다(楊明免役) ... 108
여섯 가축의 이름을 성으로 하사하다(六畜賜姓) ... 109
오랑캐는 성명이 없다(s`無姓名) ... 110
고 씨ㆍ부 씨ㆍ양 씨(高夫梁) ... 110
저 씨ㆍ뉴 씨ㆍ백 씨ㆍ목 씨(저Y엩旴? ... 112
휴 씨(崖?) ... 113
죽 씨ㆍ목 씨(竹木) ... 113
오랑캐는 어머니의 성을 따른다(胡從母姓) ... 115
오랑캐와 왜는 복성을 사용한다(胡倭複姓) ... 115
완안 왕씨(完顔卽王) ... 117
추 씨ㆍ천 씨ㆍ뢰 씨ㆍ참 씨(騶瞞?f) ... 119
문인 씨ㆍ장시 씨(聞人張是) ... 120
반고 씨ㆍ좌구 씨(盤古左丘) ... 121
배주가 한복이란 성명을 받다(拜住韓復) ... 121
숙량합 씨는 본래 기 씨였다(肅良哈奇) ... 122
과거급제 후에 본래 성을 회복하다(登第歸姓) ... 123
지명을 성으로 삼다(地名人姓) ... 125
먀 씨ㆍ턱 씨ㆍ기 씨ㆍ? 씨(N\?N?) ... 126
어 씨ㆍ지 씨ㆍ구(仇) 씨ㆍ구(具) 씨(魚池仇具) ... 127
오 씨ㆍ불 씨ㆍ문 씨ㆍ탁 씨(於N@門卓) ... 127
장(蔣) 씨ㆍ장(莊) 씨ㆍ태(太) 씨ㆍ태(泰) 씨(蔣莊太泰) ... 128
옹 씨ㆍ선 씨ㆍ능 씨ㆍ견 씨(邕宣能堅) ... 129
함 씨ㆍ추 씨ㆍ공 씨ㆍ승 씨(咸秋貢承) ... 129
왕 씨를 글자 획 속에 감추다(藏王姓uk) ... 130
중국의 희귀성(中國稀姓) ... 132
우리나라 성씨(東方姓譜) ... 133
다다량씨(多多良姓) ... 139
사문석불(沙門釋佛) ... 140
삼대가 같은 이름을 쓰다(三世一名) ... 141
나면서부터 사람을 쳐다 본 위궁(視人位宮) ... 143
돼지 체 자로 임금의 이름을 삼다(_X爲君名) ... 144
신라 진흥왕은 삼 자를 썼고 고려 충숙왕은 만 자를 썼다(羅_a麗卍) ... 145
여왕의 이름은 만(女主名曼) ... 146
천연두를 두려워하여 ‘불화’라고 이름 짓다(畏疫不花) ... 147
창 자의 반쪽과 우순의 완전한 어휘(昌半虞全) ... 148
김유신과 이기축의 이름의 유래(庾信起築) ... 148
생존을 기뻐하여 이름을 하사하다(喜在賜名) ... 150
수 자 항렬을 대대로 전하다(水行傳世) ... 150
대대로 외자 이름을 쓰다(一字相傳) ... 151
가까이 내 몸에서 취하다(近取諸身) ... 151
옛 사람을 사모하여 이름 짓다(慕古作名) ... 152
스승을 배반하고 이름을 고치다(去師改名) ... 153
꿈의 내용으로 이름을 짓다(記夢取名) ... 154
몽 자는 이름에 쓰기를 꺼린다(夢字忌名) ... 156
성과 이름의 음이 같은 사람(姓名同音) ... 158
연 자를 피휘하여 천 자를 사용하다(諱淵爲泉) ... 159
비석에 황제의 이름을 기록하다(碑記帝名) ... 161
별호(別號) ... 162
11. 과거류(科擧類)
출신(出身) ... 167
풍월주(風月主) ... 169
도천(道薦) ... 170
승보(陞補) ... 170
대비(大比) ... 170
조흘첩(照訖帖) ... 171
감시(監試) ... 171
사책과 대책(射策對策) ... 173
생원시(生員試) ... 174
진사(進士) ... 175
과거시험장(棘圍) ... 175
봉미(封彌) ... 176
시관(試官) ... 176
면시(面試) ... 177
전시(殿試) ... 177
홍분방(紅粉榜) ... 178
집을 하사하다(賜第) ... 179
홍패(紅牌) ... 179
유가(遊街) ... 180
음악을 연주하며 서로 기뻐하다(聲樂相慶) ... 180
정시와 알성(庭試謁聖) ... 181
병별(丙別) ... 182
삼천자(三千字) ... 183
강경 실학(講經實學) ... 184
유초와 성령(類抄聖令) ... 185
과신(科神) ... 186
음묵(飮墨) ... 186
평천관(平天冠) ... 187
타모소(打w
w? ... 188
연방과 계방(蓮桂榜) ... 189
어사화(御賜花) ... 189
탐화랑(探花郞) ... 190
진사에 급제하다(雁塔) ... 191
과거합격(龍虎榜) ... 192
급제자의 의관을 다투어 취하다(爭取舊衣) ... 192
광범문에서 벼슬주기를 기다리다(光範門) ... 193
늙도록 과거에 응시하다(老婦g覓? ... 194
유생들의 통행금지를 면제하다(科儒弛禁) ... 194
무과(武科) ... 195
도시(都試) ... 196
중국에서 급제한 우리나라 사람(東人唐第) ... 197
12. 문방류(文房類)
고려 견지(高麗繭紙) ... 200
설화지와 이맥고(雲花麥藁) ... 201
용전지와 백로지(龍箋鷺紙) ... 203
서화황지(書畵黃紙) ... 203
오사란(烏絲欄) ... 204
문서함(金泥玉檢) ... 206
홍계화서(紅契花書) ... 206
흑판과 책표지(粉盤牙籤) ... 209
초호양모(貂毫羊毛) ... 210
쥐 수염 붓ㆍ담비 꼬리 붓(鼠鬚栗尾) ... 211
은대롱붓(銀管) ... 212
대단한 수옥의 판단력(大水判) ... 213
낙랑의 기름과 그을음 먹(樂浪油煤) ... 213
소나무 그을음 먹과 돌먹(松烟石煤) ... 213
부용당먹과 오옥먹(蓉堂烏玉) ... 215
국화석과 현옥석(菊石玄玉) ... 215
복괘연(卜卦硯) ... 217
연적(硯滴) ... 217
어압에 극 자를 전서로 쓴다(御押篆極) ... 218
도장에 인을 새기다(圖書象?) ... 218
서계침재(書契믝梓) ... 219
김생의 서체(金生書體) ... 219
진체ㆍ촉체(晉體蜀體) ... 222
용서ㆍ조적(龍書鳥迹) ... 222
팔분(八分) ... 224
서체행세(書體行世) ... 225
금전서(金剪書) ... 227
과편체(?놷體) ... 227
천령부(蚩冷符) ... 228
초행(草行) ... 228
옛날의 예서가 지금의 해서(古隸今楷) ... 229
영자세자(永字細字) ... 229
육서와 팔체(六書八體) ... 230
오른쪽으로 쓰는 글과 왼쪽으로 쓰는 글(右行左行) ... 231
한비몽서(汗碑蒙書) ... 232
반절(反切) ... 232
언서(諺書) ... 233
강목대자(網目大字) ... 234
이두(吏讀) ... 235
합구성(合口聲) ... 235
구두와 음토(句讀音吐) ... 237
화음속음(華韻俗音) ... 238
삼운통고(三韻通考) ... 239
역판(曆板) ... 241
소나무를 그리니 새가 날아들다(畵松鳥入) ... 241
호렵도(胡獵圖) ... 243
묵죽(墨竹) ... 244
용면산장도(龍眠) ... 245
말하는 사람은 손가락을, 듣는 사람은 팔짱 낀 모습을 그리다(語指聽拱) ... 246
지상선도(地上仙圖) ... 247
수구이어(數九以御) ... 248
해양(垓壤) ... 249
지척(咫尺) ... 251
사자일전(四字一錢) ... 251
일십(臺拾) ... 252
사륙(四六) ... 252
담석(Q石) ... 255
염구산서(Q됍닭⒮? ... 255
젓가락으로 창고의 곡식을 계산함(食箸{mV? ... 255
망해도(望海圖) ... 257
『주역』을 배우려면 수를 먼저 알아야 한다(學易先數) ... 257
문장에는 역사체가 있다(文有史體) ... 258
관각문학과 산림문학(館閣山林) ... 260
직금직견(織錦織絹) ... 260
문장에는 여러 가지 체제가 있다(文屬多體) ... 261
판ㆍ대(判對) ... 263
연주(連珠) ... 263
회문시(回文詩) ... 265
사언시ㆍ오언시(四言五言) ... 266
동문화송(東文華誦) ... 266
부한단(賦邯鄲) ... 268
학술문장(學術文章) ... 268
직금제송(織錦製頌) ... 270
옥봉시집(玉峯詩集) ... 271
경번도사(景樊道士) ... 272
고시격을 띤 지금의 시(今詩古格) ... 273
시로 명성이 높은 사람들(詩以名高) ... 273
시 때문에 옥에 갇히다(詩案成獄) ... 274
계사를 헐뜯고 맹자를 비방하다(毁繫둊孟) ... 278
벽운하(碧雲?) ... 281
주자강목(朱子綱目) ... 282
반계수록(磻溪隨錄) ... 283
동몽선습(童蒙先習) ... 283
육경의 언해(六經諺解) ... 285
아홉 경전의 글자 수(九經字數) ... 28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