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3
제1부 고전시가의 전통
조선 전기 강호시조의 전개 국면
1. 문제의 제기 ... 13
2. 조선 전기 강호시조 전개의 두 축 - '치군택민'과 '조월경운'이라는 개념 ... 16
3. '조월경운'과 '치군택민'의 관계를 통해 본 조선 전기 강호시조의 면모 ... 20
4. '조월경운'과 '...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3
제1부 고전시가의 전통
조선 전기 강호시조의 전개 국면
1. 문제의 제기 ... 13
2. 조선 전기 강호시조 전개의 두 축 - '치군택민'과 '조월경운'이라는 개념 ... 16
3. '조월경운'과 '치군택민'의 관계를 통해 본 조선 전기 강호시조의 면모 ... 20
4. '조월경운'과 '치군택민'의 두 축을 통해 본 강호가도의 의미 ... 43
5. 맺음말 ... 46
17세기 초의 사상적 전개와 정훈의 시조
1. 문제의 제기 ... 49
2. 원전의 이해와 작품 해석의 기반 ... 52
3. 17세기 초의 사상적 배경와 정훈의 작품 세계 ... 67
4. 맺음말 ... 77
17세기 가사의 성격
1. 문제의 제기 ... 79
2. 현실 인식을 통해 본 17세기 가사의 제 양상 ... 80
3. 17세기 가사의 문학성과 시대적 위상 ... 102
4. 맺음말 ... 111
19세기 시조의 양상과 의미
1. 문제의 제기 ... 113
2. 19세기 시조의 양상 ... 115
3. 19세기 현실비판류 시조의 의미 ... 127
4. 19세기 현실비판류 시조와 개화기시조의 관련성 ... 130
5. 맺음말 ... 132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본 '시가'와 '가요'의 문제
1. 문제의 시각 ... 135
2. 실록에 나타난 '시가'의 용례 ... 138
3. 실록에 나타난 '가요'의 용례 ... 153
4. '시가'와 '가요'의 개념 문제 ... 163
5. 맺음말 ... 169
제2부 고전시가의 당대성과 현재성
고려가요에 나타난 성과 사회적 성격
1. 문제의 제기 ... 173
2.〈쌍화점〉의 작품 해석 ... 174
3.〈만전춘별사〉의 작품 해석 ... 181
4. 고려가요와 당대 사회의 관련성 ... 188
5. 맺음말 ... 194
고전시가의 현대적 계승과 변용
1. 고전의 당대성과 현재성의 문제 ... 195
2. 고전시가와 '다시 쓰기'라는 개념 ... 197
3. 고려가요의 현대적 계승과 변용 양상 ... 200
4. 고려가요의 계승과 변용의 의미 ... 214
5. 고전의 현대적 계승과 변용의 전망 그리고 과제 ... 219
[부록] 고려가요를 다시 쓰기 한 작품 목록 ... 221
시조의 정체성 확립과 실험성 모색
1. 현대시조의 불안한 현실 ... 233
2. 시조의 구조와 그 미학 ... 235
3. 현대시조의 전통성과 실험성 ... 240
4. 현대시조의 현재와 미래를 위하여 ... 246
5. 시조 창작을 위한 모색 ... 249
고전의 현대적 계승과 변용을 통해 본 시조
1. 문제의 시각 ... 253
2. 식민지 현실에서 재창조된 시조의 양상 ... 254
3. 고전을 재창조한 현대시조의 양상 ... 269
4. 맺음말 ... 274
규방가사의 본질과 경계
1. 문제의 시각 ... 277
2. 선행 연구의 검토와 문제의 시각 ... 281
3. 규방가사의 본질적 성격 ... 303
4. 관습적 성격을 통해 본 규방가사의 전통 기반 ... 312
5. 맺음말 ... 314
현대 규방가사의 한 예
1. 문제의 제기 ... 317
2. 고향의 형상화 양상과 의미 ... 319
3. 공간적 표상의 특징 ... 326
4. 애향의식의 확장화 ... 329
5. 맺음말 ... 333
참고문헌 ... 335
찾아보기 ... 34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