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21세기 한국 사회학은 어디까지 왔는가 ... 7
제1장 한국 사회학의 위기와 그 대안 ... 35
1. 21세기의 도래와 한국 사회학 패러다임의 변화 ... 35
2. 사회학과 현대성 논쟁 ... 41
제2장 사회학의 신제도주의적 접근의 사례 - 레이몽 부동의 사회학 ... 55
들어가면서 : 21세기의 도전과 레이몽 부동의 사회...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 21세기 한국 사회학은 어디까지 왔는가 ... 7
제1장 한국 사회학의 위기와 그 대안 ... 35
1. 21세기의 도래와 한국 사회학 패러다임의 변화 ... 35
2. 사회학과 현대성 논쟁 ... 41
제2장 사회학의 신제도주의적 접근의 사례 - 레이몽 부동의 사회학 ... 55
들어가면서 : 21세기의 도전과 레이몽 부동의 사회학 ... 55
1. 현대사회학의 위기와 새 패러다임의 필요성 ... 58
2. 부동사회학의 인식론적 기초 : 짐멜의 사회학 방법론 ... 61
3. 부동의 사회학적 인식론 : 방법론적 개인주의 ... 69
4. 혼돈 속의 사회변동 이론들과 사회학의 사명 ... 81
5. 프로그램화된 산업사회론을 반대하며 ... 89
6. 이데올로기와 방법론적 개인주의 ... 96
7. 어째서 우리는 잘못된 이념이나 의심스러운 이념을 자연스럽게 믿는 것일까 ... 102
8. 맺는말 ... 111
제3장 현대성의 위기와 이데올로기 개념의 변화 - 탈냉전시대의 이데올로기론을 찾아서 ... 120
1. 문제 제기 ... 120
2. 이데올로기 개념 등장의 사상사적 배경 ... 122
3. 고전사회학자들의 기여 ... 133
4. 마르크스 전통의 현대사회학 이론들과 이데올로기 ... 140
5. 자유주의 전통의 현대 이데올로기 이론들 ... 145
6. 개념사의 정리를 마치며 : 우리 사회에의 함의 ... 152
7. 맺는말 ... 157
제4장 현대성의 위기와 지식인 역할의 변화 ... 160
1. 문제 제기 ... 160
2. 이데올로기와 변혁 지향적 지식인 ... 165
3. 현대사회의 이데올로기와 비관적 지식인의 역할 ... 168
4. 이데올로기 문제의 접근을 위한 발상전환의 필요성 : 두 가지 사례연구 ... 180
5. 맺는말 ... 189
제5장 현대성의 위기와 마르크스주의의 변신에 대한 이론적 재고찰 - 68년 5월 혁명과 마르크스주의의 방법론적 혁신 ... 191
1. 문제 제기 ... 191
2. 앙리 르페브르의 일상성과 문화혁명 ... 193
3. 피에르 부르디외와 새로운 사회학 패러다임의 등장 ... 202
4. 알랭 투렌의 후기 산업사회 인식: 성숙한 현대성과 실천적 행동의 사회학 ... 205
제6장 토크빌 자유주의의 현대적 의의 -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다시 읽는 토크빌 ... 215
1. 문제 제기 : 21세기 한국사회에서 토크빌적 시민사회론이 필요한 이유 ... 215
2. 개인주의와 민주주의의 관계 ... 218
3. 민주주의와 계몽된 시민의식 ... 221
4. 현대 민주주의의 특징 ... 222
5. 현대 민주주의의 사악한 효과와 새로운 자유주의의 필요성 ... 225
6. 토크빌과 근대 자유주의의 심화(민주적 독재의 예고) ... 227
7. 토크빌적 관점에서 본 프랑스 중도 우파 정권의 자유주의 ... 239
8. 토크빌을 넘어서: 21세기 토크빌적 사고의 중요성 ... 244
제7장 뒤르케임 문화사회학의 지평과 과제 - 뒤르케임 탄생 150주년을 맞아 ... 253
1. 문제 제기 ... 253
2. 연구방법론 ... 256
3. 한국에서의 뒤르케임 문화사회학의 연구 현황 및 발전과정 ... 257
4. 한국에서의 뒤르케임 문화사회학 연구에 대한 평가 및 향후 과제 ... 276
5. 맺는말 ... 280
제8장 현대성의 도전과 한국인의 사고방식의 변화 ... 290
1. 문제 제기 ... 290
2. 21세기에 다시 본 한국인의 전통적 사고방식 ... 294
3. 한국인의 현대적 사고방식 ... 307
4. '한국적 사고방식'의 현대적 가능성을 찾아서 ... 316
5. 맺는말 ... 323
제9장 21세기의 도전과 한국 정신문화의 재발견 ... 327
1. 문제 제기 ... 327
2. 한국의 전통적 정신문화와 가치관의 과도기적 혼란 ... 328
3. 고전사회학 정신의 회복 : 사회학의 탄생과 소명의식 ... 330
4. 현대사회의 가치관 제시와 문화사회학적 역량의 강화 ... 341
5. 맺는말 : 현대적 가치관 정립을 위한 대안을 찾아서 ... 343
제10장 한국 사회의 현대성 위기 극복을 위한 성찰적 민주주의의 정착을 향하여 ... 345
1. 의회 민주주의의 위기와 참여의 과잉 ... 345
2. 참여 민주주의의 왜곡과 법치주의의 위기 ... 349
3. 현대 민주정부의 역할과 공공선의 탐구 ... 350
4. 한국 민주주의와 지식인의 위기(또는 엘리트의 종말?) ... 352
5. 맺는말 ... 353
찾아보기 ... 358
수록된 글의 출처 ... 37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