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제1장 어촌사회를 바라보는 시각 ... 1
Ⅰ. 어촌문화와 사회에 대한 관심 ... 1
Ⅱ. 어촌공동체론의 전개 ... 6
Ⅲ. 쟁점 ... 18
Ⅳ. 책의 구성 ... 28
제2장 완도와 해조류 양식의 전개 ... 29
Ⅰ. 지역적 배경 ... 29
Ⅱ. 김양식의 역사 ... 34
Ⅲ. 완도의 김양식과 그 변...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제1장 어촌사회를 바라보는 시각 ... 1
Ⅰ. 어촌문화와 사회에 대한 관심 ... 1
Ⅱ. 어촌공동체론의 전개 ... 6
Ⅲ. 쟁점 ... 18
Ⅳ. 책의 구성 ... 28
제2장 완도와 해조류 양식의 전개 ... 29
Ⅰ. 지역적 배경 ... 29
Ⅱ. 김양식의 역사 ... 34
Ⅲ. 완도의 김양식과 그 변화 ... 47
제3장 간척과 공동체적 질서 ... 51
Ⅰ. 과거의 유산 ... 51
Ⅱ. 간척과 공동체 원리의 이전 ... 55
Ⅲ. 마을공동체성의 변화 ... 69
Ⅳ. 주민의 정체성 ... 79
Ⅴ. 변화와 전망 ... 84
제4장 마을의 집단적 지향과 운영 ... 87
Ⅰ. 간척과 연륙의 꿈 ... 87
Ⅱ. 조사지역 개관 ... 89
Ⅲ. 어촌계의 운영실태 ... 95
Ⅳ. 마을운영의 체계와 권력구조 ... 105
Ⅴ. 대개포 간척사업과 귀결 ... 127
Ⅵ. 맺음말 ... 136
제5장 시장과 양식어업 ... 139
Ⅰ. 어촌에서의 시장과 국가 ... 139
Ⅱ. 조사지역 개관 ... 142
Ⅲ. 시장과 양식어업 ... 149
Ⅳ. 어촌개발정책 ... 164
Ⅴ. 마을운영의 변화 ... 167
Ⅵ. 맺음말 ... 180
제6장 해조류 양식의 교체 ... 183
Ⅰ. 금당도의 개관 ... 183
Ⅱ. 마을운영구조의 변화 ... 188
Ⅲ. 생산구조의 변화 ... 196
Ⅳ. 맺음말 ... 211
제7장 김양식과 어촌공동체 ... 215
Ⅰ. 넙도의 개관 ... 215
Ⅱ. 내리의 생산활동 ... 219
Ⅲ. 내리의 공동체성 ... 227
Ⅳ. 정체성과 생활권 ... 233
Ⅴ. 변화와 전망 ... 237
제8장 마을운영과 지역사회 권력구조 ... 241
Ⅰ. 마을경제와 작은 권력 ... 241
Ⅱ. 소안도의 사회경제적 실태 ... 243
Ⅲ. 마을운영체계와 그 변화 ... 254
Ⅳ. 권력구조의 변화 ... 268
Ⅴ. 맺음말 ... 273
제9장 어장이용의 변화와 어민의 합리성 ... 275
Ⅰ. 공동체성의 약화 ... 275
Ⅱ. 조사지역 개관 ... 277
Ⅲ. 마을과 어촌계 운영 ... 286
Ⅳ. 어업권과 어장지 ... 294
Ⅴ. 양식장의 변화와 어장분배 ... 297
Ⅵ. 어장규제 ... 307
Ⅶ. 맺음말 ... 309
제10장 결론 ... 313
부록 ... 320
참고문헌 ... 330
찾아보기 ... 33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