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첫째마당 - 우리 음악의 멋과 정신
Ⅰ. 아악에 나타난 중용의 정서 ... 15
Ⅱ. 정악에 나타난 선비정신 ... 19
Ⅲ. 민속음악에 나타난 한(恨)의 정서 ... 28
Ⅳ. 제례음악에 나타난 음양오행 사상 ... 35
Ⅴ. 무속음악에 나타난 신명의 정서 ... 39
Ⅵ. 한국음악의 특징론 ... 46
1. 장...
더보기
목차 전체
첫째마당 - 우리 음악의 멋과 정신
Ⅰ. 아악에 나타난 중용의 정서 ... 15
Ⅱ. 정악에 나타난 선비정신 ... 19
Ⅲ. 민속음악에 나타난 한(恨)의 정서 ... 28
Ⅳ. 제례음악에 나타난 음양오행 사상 ... 35
Ⅴ. 무속음악에 나타난 신명의 정서 ... 39
Ⅵ. 한국음악의 특징론 ... 46
1. 장사훈 견해 ... 46
2. 김영운 견해 ... 47
3. 이혜구 견해 ... 47
4. 성경린 견해 ... 47
5. 한만영 견해 ... 47
6. 커트 작스(Curt Sachs) 견해 ... 48
7. 황병기 견해 ... 48
8. 송방송 견해 ... 48
9. 최종민 견해 ... 48
10. 이보형 견해(농악) ... 49
11. 한명희 견해 ... 49
Ⅶ. 한국 전통음악의 상징성 ... 51
Ⅷ. 기타① - 한국 전통미술의 미 ... 53
1. 한국 전통미술사학계의 미학적 견해 ... 53
2. 전통미술작품을 통해서 본 미의식 ... 55
Ⅸ. 기타② - 한국 전통건축의 미 ... 57
고건축을 통해서 본 미학적 견해 ... 57
둘째마당 - 기초이론
Ⅰ. 국악이론 ... 61
1. 12율(律) ... 61
2. 음명 및 계명 ... 62
3. 음높이(音高) ... 63
4. 음계와 조 ... 64
5. 종지법(終止法) ... 67
6. 반음 사용 ... 68
7. 조표 사용 및 이조(移調) ... 68
8. 정간보 ... 69
9. 장단 ... 70
10. 형식 ... 76
11. 발성 및 시김새 ... 81
Ⅱ. 국악의 분류 ... 88
Ⅲ. 국악사의 시대 구분 ... 89
1. 송방송, 「한국음악통사」 ... 89
2. 장사훈, 「증보 한국음악사」 ... 89
3. 이성천, 「국악사」 ... 89
4. 이혜구, 「한국사」한국의 음악 ... 90
5. 국사 교과서, 국악교육내용통일안 ... 90
6. 리차윤, 「조선음악사」 ... 90
7. 노동은, 「한국근대음악사1」 ... 91
화보로 보는 국악기 ... 93
셋째마당 : 악기론
Ⅰ. 악기 분류 방법 ... 111
1. 음악의 계통에 의한 방법 ... 111
2. 악기를 만드는 재료에 따른 분류 방법 ... 112
3. 연주 방법상 그 특징적 성능에 따른 분류 ... 113
Ⅱ. 악기 해설 ... 114
1. 현악기(絃樂器, 14종) ... 114
2. 관악기(管樂器, 18종) ... 121
3. 타악기(打樂器, 35종) ... 128
4. 근래에 만들어진 악기 ... 135
Ⅲ. 악기 편성(연주 형태) ... 135
1. 관현악 편성 ... 135
2. 관악 합주 편성 ... 136
3. 줄풍류 편성 ... 136
4. 세악 편성 ... 136
5. 대풍류 편성 ... 136
6. 삼현육각 ... 137
7. 병주 ... 137
8. 병창 ... 137
9. 삼현삼죽 ... 137
10. 대취타 편성 ... 137
넷째마당 - 악곡론
Ⅰ. 정악 ... 141
1. 정악의 역사상 분류 ... 141
2. 악곡해설 ... 142
1) 영산회상(靈山會相) ... 142
2) 평조회상(平調會相) ... 144
3) 관악영산회상(管樂靈山會相) ... 144
4) 여민락(與民樂) ... 145
5) 여민락만(與民樂慢) ... 147
6) 본령(本令) ... 147
7) 해령(解令) ... 147
8) 보허자(步虛子) ... 147
9) 낙양춘(洛陽春) ... 151
10) 정읍(井邑) ... 151
11) 동동(動動) ... 152
12) 도드리(尾換入) ... 152
13) 세환입(細還入) ... 152
14) 계면(界面)·양청(兩淸)·우조가락도드리(羽調加樂換入) ... 155
15) 자진한잎(數大葉) ... 155
16) 정동방곡(靖東方曲), 유황곡(維皇曲) ... 156
17) 취타(吹打), 대취타(大吹打) ... 156
18) 절화(折花) ... 158
19) 길타령 ... 158
20) 금전악(金殿樂) ... 159
21) 군악(軍樂) ... 159
22) 제례악(祭禮樂) ... 159
23) 가곡(歌曲) ... 164
24) 가사(歌詞) ... 167
25) 시조(時調) ... 167
Ⅱ. 민속악 ... 168
1. 판소리 ... 168
1) 판소리의 조(調) ... 169
2) 판소리의 장단 ... 170
3) 판소리의 유파(流派) ... 170
4) 판소리 열두 마당과 다섯 마당 ... 171
2. 단가·창극·가야금 병창 ... 172
1) 단가 ... 172
2) 창극 ... 172
3) 가야금병창 ... 172
3. 민요 ... 173
1) 경기민요 ... 174
2) 남도민요 ... 174
3) 서도민요 ... 175
4) 동부민요 ... 175
5) 제주민요 ... 175
4. 잡가 ... 176
1) 경기 12잡가 ... 176
2) 휘모리잡가 ... 176
3) 서도잡가 ... 177
4) 산타령 ... 177
5) 남도입창 ... 178
5. 시나위와 산조 ... 178
1) 시나위 ... 178
2) 산조 ... 179
6. 무속음악 ... 180
1) 경기무악 ... 180
2) 남도무악 ... 181
3) 동부무악 ... 181
4) 서도무악 ... 182
5) 제주무악 ... 182
7. 농악 ... 183
1) 풍물의 편성과 역할 ... 184
2) 웃다리농악 ... 185
3) 영동농악 ... 185
4) 영남농악 ... 186
5) 호남우도농악 ... 186
6) 호남좌도농악 ... 187
7) 사물놀이 ... 188
8. 범패 ... 189
1) 재(齋)의 종류 ... 189
2) 안채비소리 ... 190
3) 홋소리 ... 190
4) 짓소리 ... 190
5) 화청과 회심곡 ... 191
6) 작법 ... 191
다섯째마당 - 국악작곡의 실습과 분석
Ⅰ. 국악작곡의 실습과 분석 ... 195
1. 국악작곡의 실습 ... 195
1) 성악 작곡 실습 ... 195
2) 기악 작곡 실습 ... 197
Ⅱ. 창작국악곡의 분석 ... 201
1. 관현악곡 ... 202
1) 16개의 타악기를 위한 시나위 / 이상규 작곡 ... 202
2) 두레사리 / 이해식 작곡 ... 203
3) 매 굿 / 김영동 작곡 ... 206
4) 멍멍개야 짖지마라 / 전인평 작곡 ... 209
5) 송광복 / 김기수 작곡 ... 210
6) 타령 주제에 의한 합부곡 5번 / 이성천 작곡 ... 213
7) 합주곡 1번 / 김희조 작곡 ... 215
8) 합주곡 4번 / 김용진 작곡 ... 217
9) 모란이 피기까지는 / 황의종 작곡 ... 220
2. 협주곡 ... 220
1) 가야금 협주곡 1번 / 이강덕 작곡 ... 220
2) 수리재 / 정대석 작곡 ... 222
3) 대바람 소리 / 이상규 작곡 ... 224
4) 메나리조 주제에 의한 피리 협주곡 / 이강덕 작곡 ... 225
5) 사물놀이와 국악 관현악을 위한 "신모듬" / 박범훈 작곡 ... 227
6) 수나뷔 / 이상규 작곡 ... 229
3. 실내악 ... 232
1) 3대의 가야금을 위한 세 개의 변주곡 : "상주 모심기 노래" / 백대웅 작곡 ... 232
2) 어린 시절 / 김요섭 작곡 ... 233
3) 쥐구멍에 볕들었어도 / 이성천 작곡 ... 235
4) 회혼례를 위한 시나위 / 백대웅 작곡 ... 236
4. 독주곡 ... 237
1) 놀이터 / 이성천 작곡 ... 237
2) 침향무(沈香舞) / 황병기 작곡 ... 239
3) 일출 / 정대석 작곡 ... 241
4) 적념 / 김영재 작곡 ... 242
여섯째마당 - 음악사와 음악가
Ⅰ. 상고시대의 약속 ... 247
Ⅱ. 삼국시대의 음악 ... 248
1. 고구려의 음악 ... 248
2. 백제의 음악 ... 249
3. 신라의 음악 ... 251
Ⅲ. 통일신라의 음악 ... 252
1. 삼현삼죽 ... 252
2. 향악과 당악 ... 253
3. 불교음악 ... 254
Ⅳ. 고려시대의 음악 ... 255
1. 연등회와 팔관회 ... 256
2. 향악 ... 257
3. 당악 ... 257
4. 아악 ... 258
5. 고취악 ... 260
6. 장악기관 ... 261
Ⅴ. 조선 전기의 음악 ... 262
1. 장악기관 ... 262
2. 아악 ... 267
3. 당악 ... 271
4. 향악 ... 272
5. 악서와 기보법 ... 277
Ⅵ. 조선 후기의 음악 ... 281
1. 아악 ... 281
2. 당악 ... 282
3. 향악 ... 283
4. 정악 ... 285
5. 판소리 ... 288
Ⅶ. 근대의 음악 ... 290
1. 장악원 ... 291
2. 조양구락부(朝陽俱樂部) ... 291
3. 판소리와 산조 ... 292
4. 창극과 협률사 ... 292
5. 양악의 수용 ... 293
Ⅷ. 한국음악사 연대표 ... 295
Ⅸ. 우리나라 음악가 ... 299
첫째마당 - 우리 음악의 멋과 정신
Ⅰ. 아악에 나타난 중용의 정서 ... 15
Ⅱ. 정악에 나타난 선비정신 ... 19
Ⅲ. 민속음악에 나타난 한(恨)의 정서 ... 28
Ⅳ. 제례음악에 나타난 음양오행 사상 ... 35
Ⅴ. 무속음악에 나타난 신명의 정서 ... 39
Ⅵ. 한국음악의 특징론 ... 46
1. 장사훈 견해 ... 46
2. 김영운 견해 ... 47
3. 이혜구 견해 ... 47
4. 성경린 견해 ... 47
5. 한만영 견해 ... 47
6. 커트 작스(Curt Sachs) 견해 ... 48
7. 황병기 견해 ... 48
8. 송방송 견해 ... 48
9. 최종민 견해 ... 48
10. 이보형 견해(농악) ... 49
11. 한명희 견해 ... 49
Ⅶ. 한국 전통음악의 상징성 ... 51
Ⅷ. 기타① - 한국 전통미술의 미 ... 53
1. 한국 전통미술사학계의 미학적 견해 ... 53
2. 전통미술작품을 통해서 본 미의식 ... 55
Ⅸ. 기타② - 한국 전통건축의 미 ... 57
고건축을 통해서 본 미학적 견해 ... 57
둘째마당 - 기초이론
Ⅰ. 국악이론 ... 61
1. 12율(律) ... 61
2. 음명 및 계명 ... 62
3. 음높이(音高) ... 63
4. 음계와 조 ... 64
5. 종지법(終止法) ... 67
6. 반음 사용 ... 68
7. 조표 사용 및 이조(移調) ... 68
8. 정간보 ... 69
9. 장단 ... 70
10. 형식 ... 76
11. 발성 및 시김새 ... 81
Ⅱ. 국악의 분류 ... 88
Ⅲ. 국악사의 시대 구분 ... 89
1. 송방송, 「한국음악통사」 ... 89
2. 장사훈, 「증보 한국음악사」 ... 89
3. 이성천, 「국악사」 ... 89
4. 이혜구, 「한국사」한국의 음악 ... 90
5. 국사 교과서, 국악교육내용통일안 ... 90
6. 리차윤, 「조선음악사」 ... 90
7. 노동은, 「한국근대음악사1」 ... 91
화보로 보는 국악기 ... 93
셋째마당 : 악기론
Ⅰ. 악기 분류 방법 ... 111
1. 음악의 계통에 의한 방법 ... 111
2. 악기를 만드는 재료에 따른 분류 방법 ... 112
3. 연주 방법상 그 특징적 성능에 따른 분류 ... 113
Ⅱ. 악기 해설 ... 114
1. 현악기(絃樂器, 14종) ... 114
2. 관악기(管樂器, 18종) ... 121
3. 타악기(打樂器, 35종) ... 128
4. 근래에 만들어진 악기 ... 135
Ⅲ. 악기 편성(연주 형태) ... 135
1. 관현악 편성 ... 135
2. 관악 합주 편성 ... 136
3. 줄풍류 편성 ... 136
4. 세악 편성 ... 136
5. 대풍류 편성 ... 136
6. 삼현육각 ... 137
7. 병주 ... 137
8. 병창 ... 137
9. 삼현삼죽 ... 137
10. 대취타 편성 ... 137
넷째마당 - 악곡론
Ⅰ. 정악 ... 141
1. 정악의 역사상 분류 ... 141
2. 악곡해설 ... 142
1) 영산회상(靈山會相) ... 142
2) 평조회상(平調會相) ... 144
3) 관악영산회상(管樂靈山會相) ... 144
4) 여민락(與民樂) ... 145
5) 여민락만(與民樂慢) ... 147
6) 본령(本令) ... 147
7) 해령(解令) ... 147
8) 보허자(步虛子) ... 147
9) 낙양춘(洛陽春) ... 151
10) 정읍(井邑) ... 151
11) 동동(動動) ... 152
12) 도드리(尾換入) ... 152
13) 세환입(細還入) ... 152
14) 계면(界面)·양청(兩淸)·우조가락도드리(羽調加樂換入) ... 155
15) 자진한잎(數大葉) ... 155
16) 정동방곡(靖東方曲), 유황곡(維皇曲) ... 156
17) 취타(吹打), 대취타(大吹打) ... 156
18) 절화(折花) ... 158
19) 길타령 ... 158
20) 금전악(金殿樂) ... 159
21) 군악(軍樂) ... 159
22) 제례악(祭禮樂) ... 159
23) 가곡(歌曲) ... 164
24) 가사(歌詞) ... 167
25) 시조(時調) ... 167
Ⅱ. 민속악 ... 168
1. 판소리 ... 168
1) 판소리의 조(調) ... 169
2) 판소리의 장단 ... 170
3) 판소리의 유파(流派) ... 170
4) 판소리 열두 마당과 다섯 마당 ... 171
2. 단가·창극·가야금 병창 ... 172
1) 단가 ... 172
2) 창극 ... 172
3) 가야금병창 ... 172
3. 민요 ... 173
1) 경기민요 ... 174
2) 남도민요 ... 174
3) 서도민요 ... 175
4) 동부민요 ... 175
5) 제주민요 ... 175
4. 잡가 ... 176
1) 경기 12잡가 ... 176
2) 휘모리잡가 ... 176
3) 서도잡가 ... 177
4) 산타령 ... 177
5) 남도입창 ... 178
5. 시나위와 산조 ... 178
1) 시나위 ... 178
2) 산조 ... 179
6. 무속음악 ... 180
1) 경기무악 ... 180
2) 남도무악 ... 181
3) 동부무악 ... 181
4) 서도무악 ... 182
5) 제주무악 ... 182
7. 농악 ... 183
1) 풍물의 편성과 역할 ... 184
2) 웃다리농악 ... 185
3) 영동농악 ... 185
4) 영남농악 ... 186
5) 호남우도농악 ... 186
6) 호남좌도농악 ... 187
7) 사물놀이 ... 188
8. 범패 ... 189
1) 재(齋)의 종류 ... 189
2) 안채비소리 ... 190
3) 홋소리 ... 190
4) 짓소리 ... 190
5) 화청과 회심곡 ... 191
6) 작법 ... 191
다섯째마당 - 국악작곡의 실습과 분석
Ⅰ. 국악작곡의 실습과 분석 ... 195
1. 국악작곡의 실습 ... 195
1) 성악 작곡 실습 ... 195
2) 기악 작곡 실습 ... 197
Ⅱ. 창작국악곡의 분석 ... 201
1. 관현악곡 ... 202
1) 16개의 타악기를 위한 시나위 / 이상규 작곡 ... 202
2) 두레사리 / 이해식 작곡 ... 203
3) 매 굿 / 김영동 작곡 ... 206
4) 멍멍개야 짖지마라 / 전인평 작곡 ... 209
5) 송광복 / 김기수 작곡 ... 210
6) 타령 주제에 의한 합부곡 5번 / 이성천 작곡 ... 213
7) 합주곡 1번 / 김희조 작곡 ... 215
8) 합주곡 4번 / 김용진 작곡 ... 217
9) 모란이 피기까지는 / 황의종 작곡 ... 220
2. 협주곡 ... 220
1) 가야금 협주곡 1번 / 이강덕 작곡 ... 220
2) 수리재 / 정대석 작곡 ... 222
3) 대바람 소리 / 이상규 작곡 ... 224
4) 메나리조 주제에 의한 피리 협주곡 / 이강덕 작곡 ... 225
5) 사물놀이와 국악 관현악을 위한 "신모듬" / 박범훈 작곡 ... 227
6) 수나뷔 / 이상규 작곡 ... 229
3. 실내악 ... 232
1) 3대의 가야금을 위한 세 개의 변주곡 : "상주 모심기 노래" / 백대웅 작곡 ... 232
2) 어린 시절 / 김요섭 작곡 ... 233
3) 쥐구멍에 볕들었어도 / 이성천 작곡 ... 235
4) 회혼례를 위한 시나위 / 백대웅 작곡 ... 236
4. 독주곡 ... 237
1) 놀이터 / 이성천 작곡 ... 237
2) 침향무(沈香舞) / 황병기 작곡 ... 239
3) 일출 / 정대석 작곡 ... 241
4) 적념 / 김영재 작곡 ... 242
여섯째마당 - 음악사와 음악가
Ⅰ. 상고시대의 약속 ... 247
Ⅱ. 삼국시대의 음악 ... 248
1. 고구려의 음악 ... 248
2. 백제의 음악 ... 249
3. 신라의 음악 ... 251
Ⅲ. 통일신라의 음악 ... 252
1. 삼현삼죽 ... 252
2. 향악과 당악 ... 253
3. 불교음악 ... 254
Ⅳ. 고려시대의 음악 ... 255
1. 연등회와 팔관회 ... 256
2. 향악 ... 257
3. 당악 ... 257
4. 아악 ... 258
5. 고취악 ... 260
6. 장악기관 ... 261
Ⅴ. 조선 전기의 음악 ... 262
1. 장악기관 ... 262
2. 아악 ... 267
3. 당악 ... 271
4. 향악 ... 272
5. 악서와 기보법 ... 277
Ⅵ. 조선 후기의 음악 ... 281
1. 아악 ... 281
2. 당악 ... 282
3. 향악 ... 283
4. 정악 ... 285
5. 판소리 ... 288
Ⅶ. 근대의 음악 ... 290
1. 장악원 ... 291
2. 조양구락부(朝陽俱樂部) ... 291
3. 판소리와 산조 ... 292
4. 창극과 협률사 ... 292
5. 양악의 수용 ... 293
Ⅷ. 한국음악사 연대표 ... 295
Ⅸ. 우리나라 음악가 ... 29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