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부 시 교육의 모형과 반성
1. 멀티미디어와 시 교육의 가능성 ... 11
1.1. 멀티미디어와 시각 정보 ... 11
1.2. 멀티미디어 시 수업의 사례 ... 13
1.3. 멀티미디어 시 교육을 위한 제언 ... 25
1.4. 상상력이 살아 있는 환경 ... 36
2. 고등학교 교과의 현대시 교육...
더보기
목차 전체
제1부 시 교육의 모형과 반성
1. 멀티미디어와 시 교육의 가능성 ... 11
1.1. 멀티미디어와 시각 정보 ... 11
1.2. 멀티미디어 시 수업의 사례 ... 13
1.3. 멀티미디어 시 교육을 위한 제언 ... 25
1.4. 상상력이 살아 있는 환경 ... 36
2. 고등학교 교과의 현대시 교육 현장 ... 39
2.1. 현대시 교육의 위축 ... 39
2.2. 교육과정별 수록 작품과 학습 분량 ... 45
2.3. 교육과정별 현대시 교수ㆍ학습의 내용 ... 51
2.4. 현대시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 58
2.5. 내실 있는 시 교육 방안 강구 ... 62
3. '능동적 시 읽기' 교수-학습 모형 ... 64
3.1. 수요자 중심의 패러다임 ... 64
3.2.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의 개념도 ... 67
3.3. 지배소 찾기 유형 ... 72
3.4. 공통점 찾기 유형 ... 78
3.5. 차이점 찾기 유형 ... 84
3.6. 능동적 독서와 깨달음의 가치 ... 91
4. '시와 삶 읽기' 수업 모형 탐구 ... 93
4.1. 삶의 그림자로서의 시 ... 93
4.2. 고난으로서의 삶 ... 96
4.3. 고난의 원인과 성격 ... 106
4.4. 문제의식과 해결방안 ... 116
4.5. 현대시 수업의 활용 방안 ... 124
4.6. 독서 체험과 온고지신의 미덕 ... 129
제2부 대구ㆍ경북 지역 시의 현장
5. 1980년대 대안언론 축시에 담긴 메시지 ... 133
5.1. 대안언론으로서의 대학신문 ... 133
5.2. 활자로 그린 대학정신의 지도 ... 137
5.3. 꿈을 부화하는 언어의 날갯짓 ... 146
5.4. 소통을 통한 연대와 결속의 길 ... 157
6. 1980년대 경북대신문 기념시의 코드 ... 160
6.1. 시대를 비추는 거울 ... 160
6.2. 아침을 여는 역사의 동력 ... 162
6.3. 빛을 부르는 진리의 노래 ... 175
6.4. '전진과 비상', 당대의 과제 ... 184
7. 1980∼1990년대 대구지역 시의 현실 대응 ... 187
7.1. 삶 속의 문학과 문예운동 ... 187
7.2. 정치: 민주화와 지방화의 초석 ... 191
7.3. 교육: 삶을 위한 교육과 개혁 ... 197
7.4. 노동: 모순의 노동 현장과 온기 ... 204
7.5. 끝나지 않은 80년대의 풍경 ... 211
8. 포항문단의 특징과 '지역문학'적 가치 ... 213
8.1. 포항 문단과 포스코 ... 213
8.2. 포항문단의 성립과정 ... 214
8.3. 포항지역문학의 특징 ... 228
8.4. 지역문학의 가치와 의미 ... 232
8.5. 지역문학으로서의 포항문학 ... 236
참고문헌 ... 239
찾아보기 ... 24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