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3
제1장 <B><FONT color ... #0000
1. 한국의 다문화 현황 ... 15
1) 한국 사회 내 최근 외국인 유입 동향 ... 16
2) 한국의 외국인 유입과 문화 접촉의 역사 ... 20
3) 다문화 논의의 현실적 기점: 외국인 노동자와 결혼이민자 ... 22
2. 외국인 유입과 정착...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 3
제1장 <B><FONT color ... #0000
1. 한국의 다문화 현황 ... 15
1) 한국 사회 내 최근 외국인 유입 동향 ... 16
2) 한국의 외국인 유입과 문화 접촉의 역사 ... 20
3) 다문화 논의의 현실적 기점: 외국인 노동자와 결혼이민자 ... 22
2. 외국인 유입과 정착으로 인한 문제 상황 ... 30
1) 국적 취득 및 인권문제 ... 30
2) 사회문화적 적응 ... 32
3) 사회 통합문제 ... 33
4) 빈곤과 자녀교육의 문제 ... 35
3. 다문화 관련 사회적 지원 ... 37
1) 이주민의 지위 및 처우 관련 법적 지원 ... 38
2) 이주민의 문화적ㆍ사회적 통합을 위한 지원 ... 40
4. 한국 사회의 다문화 담론 ... 42
1) 한국 사회의 다문화 사회 진입의 근거 ... 43
2) 다문화 사회의 실체 ... 44
3)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주의 ... 45
4) 다문화 사회의 방향성 ... 46
제2장 이론적 접근: 이주와 문화적 다양성 ... 49
1. 이주의 개념 및 정의 ... 51
2. 이주의 이유: 이주 결정 요인 ... 52
3. 문화 접촉과 적응 ... 53
1) 문화 접촉 ... 53
2) 문화 변용 ... 55
3) 문화 적응의 심리적 차원 ... 57
4) 적응 ... 58
4. 이주민 사회에 관한 거시이론 ... 61
1) 다문화/다민족 사회 ... 61
2) 다원주의 ... 62
3) 다문화주의의 정치적 성격, 사회 정의와의 관계 ... 63
4) 다문화주의 논의의 범위 ... 64
5) 동화주의 ... 65
6) 민족중심적 단일문화주의 ... 67
7) 인종/민족 기반 차별이론 ... 68
8) 소수자 집단 ... 69
9) 문화다원주의와 다문화주의의 차이 ... 71
5. 이주정책 관련 이론 ... 72
1) 경제적 경쟁론 ... 72
2) 문화기반론 ... 73
3) 국제 관계론 ... 74
4) 이민정책의 유형화 ... 74
제3장 외국의 다문화 접근 사례 ... 79
1. 미국의 다문화주의와 소수자 정책 ... 81
1) 미국의 다문화주의 역사 ... 81
2) 지원제도와 정책 ... 83
3) 사회복지 지원 ... 84
2. 독일의 다문화와 이주노동자 정책 ... 89
1) 독일의 다문화 역사 ... 89
2) 지원제도와 정책 ... 91
3) 사회복지 지원 ... 95
3. 일본의 다문화주의와 결혼이주자 정책 ... 100
1) 일본의 다문화 역사 ... 100
2) 지원제도와 사회복지서비스 ... 103
제4장 결혼이민자의 특성 및 주요 이슈 ... 113
1. 결혼이민자의 개괄 ... 113
1) 결혼이민자의 정의와 법적 지위 ... 113
2) 결혼이민자 관련 법과 제도 ... 115
3) 결혼이민자의 규모와 유입 배경 ... 117
4) 결혼이민자 지원 정책 ... 118
2. 출신 국가별 문화적 특성 ... 120
1) 중국 - 조선족 ... 121
2) 베트남 ... 125
3) 필리핀 ... 131
4) 구소련 독립국가 - 우즈베키스탄 ... 140
3. 주요 이슈 및 개선 방안 ... 148
1) 국제결혼 경로상의 인권문제 ... 149
2) 적응상의 갈등과 차별 ... 150
3) 결혼이민자의 부부관계와 갈등 ... 152
제5장 이주노동자의 특성 및 주요 이슈 ... 155
1. 이주노동자의 개괄 ... 155
1) 이주노동자의 정의 ... 155
2) 이주노동자의 법적 지위와 권리 ... 155
2. 국가별 문화적 특성 ... 161
1) 몽골 ... 161
2) 스리랑카 ... 165
3) 인도네시아 ... 169
4) 네팔 ... 173
5) 태국 ... 176
3. 주요 이슈 ... 179
1) 이주노동자의 유입 과정과 정책 현황 ... 180
2) 고용허가제 시행 이후의 이주노동자 추이 ... 180
3) 외국인 근로자의 문제 ... 186
4) 이주노동자 사회 통합과 복지제도 ... 188
5) 사회 통합과 사회적 지원 체제 확충 과제 ... 194
제6장 북한이주민의 특성 및 주요 이슈 ... 197
1. 탈북자 발생 배경과 유입 경로 ... 198
2. 탈북자의 입국과 정착 현황 ... 200
3. 남한 사회로의 적응문제 ... 202
1) 정체성 혼란 ... 202
2) 북한이주민에 대한 이미지 ... 203
3) 소수자로서의 북한이주민 ... 204
4) 심리적 적응 스트레스 ... 205
5) 경제적 적응의 문제 ... 206
4. 북한이주민 정착 지원 현황 ... 207
1) 거시정책적 차원의 지원 ... 208
2) 서비스 실천 차원 ... 208
5. 북한이주민 문제에 대한 사회복지의 대응 역사 ... 211
6. 북한이주민 대상 사회복지 개입의 향후 과제 ... 213
1) 전문적 프로그램의 개발 ... 213
2) 서비스 인프라 확충: 전문 인력과 예산 ... 214
제7장 다문화 사회복지실천개요 ... 217
1. 다문화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 217
2. 다문화 사회복지실천의 전개 과정 ... 219
3. 다문화 사회복지실천의 관점 및 태도 ... 225
1)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 ... 225
2) 다문화 사회복지실천의 이슈와 그에 대한 관점 ... 230
3) 사회복지실천의 패러다임 전환 ... 237
4. 다문화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 242
5. 다문화 사회복지실천의 핵심 요소 ... 246
1) 문화적 유능성 ... 247
2) 다문화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형성 ... 250
3) 문화 간 의사소통 ... 253
제8장 다문화 사회복지실천 과정 및 모델 ... 261
1. 만남 ... 261
2. 정보 수집 및 사정 ... 263
3. 개입 ... 270
1) <B><FONT color ... #0000
2) <B><FONT color ... #0000
4. 평가 및 종결 ... 304
제9장 대상 및 영역별 다문화 사회복지실천 ... 309
1. 아동ㆍ청소년과 다문화 사회복지실천 ... 309
2. 이주여성과 다문화 사회복지실천 ... 312
3. 보건 및 정신보건과 다문화 사회복지실천 ... 316
제10장 문화적 유능성 향상 방안 ... 323
1. 다문화 사회복지 교육 ... 323
1) 다문화가족 지원 전문 인력 수요 ... 324
2) 국내외 다문화 사회복지 교육 현황 ... 330
3) 다문화 사회복지 교육의 과제 ... 338
2. 실천 현장의 다문화 훈련 ... 340
1) 문화적 유능성 훈련 ... 340
2) 다문화 실습 교육과 슈퍼비전 ... 351
3) 계속 훈련: 현장 실천가 보수 교육 ... 361
제11장 향후 전망과 과제 ... 367
부록 ... 375
1. 이주노동자 권리 협약 ... 375
2. 문화적응유형 척도 ... 381
3.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 ... 383
참고문헌 ... 385
찾아보기 ... 40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