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ⅴ
제1장 한국 근대 아동문학 교육사의 필요성 ... 1
1. 한국 근대 아동문학교육사 정립의 필요성 인식 ... 1
2. 한국 근대 아동문학교육사 논의의 경과 ... 11
3. 논의의 대상과 방법 모색 ... 17
제2장 소학교령, 보통학교령 시기의 아동문학 교육 ... 25
1. 신시교육의 형성기 ... 30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ⅴ
제1장 한국 근대 아동문학 교육사의 필요성 ... 1
1. 한국 근대 아동문학교육사 정립의 필요성 인식 ... 1
2. 한국 근대 아동문학교육사 논의의 경과 ... 11
3. 논의의 대상과 방법 모색 ... 17
제2장 소학교령, 보통학교령 시기의 아동문학 교육 ... 25
1. 신시교육의 형성기 ... 30
1) 신체시, 창가, 개화가사의 공존과 신시교육의 모색 ... 30
2) 전통성과 근대성의 길항 -『소년』의 시가교육 ... 47
2. 서사의 인식과 서사교육의 형성기 ... 52
1) 역사인물이야기와 이솝 우화 수용을 통한 교훈적 서사교육 ... 52
2)『대한유학생학보』의 이솝스 寓語抄譯과『소년』의 역사인물이야기교육 ... 83
3. 극문학교육의 형성기 ... 89
1) 설명적, 교훈적 아동대화극교육 ... 89
2)『소년한반도』의 '동양담설'과『소년』의 과학적 아동대화극교육 ... 92
제3장 구교육령 시기의 아동문학 교육 ... 99
1. 창가교육의 전개기 ... 103
1) 학교 창가의 성립과 일본식 창가교육 ... 103
2)『붉은져고리』,『아이들보이』의 순우리말 창가교육 ... 107
2. 서사교육의 전개기 ... 118
1) 한국 옛이야기와 일본 역사인물이야기교육 ... 118
2)『붉은져고리』,『아이들보이』,『새별』의 다양한 서사교육 ... 130
3. 극문학교육의 전개기 ... 137
1) 과학적 아동대화극교육의 전개 ... 137
2)『붉은져고리』,『아이들보이』의 극문학교육 ... 142
제4장 신교육령 시기의 아동문학 교육 ... 147
1. 동요교육의 발전기 ... 151
1) 창가교육에서 동요교육으로 - 창가집에 실린 동요들 ... 151
2) 전래동요의 계승과 창작지도론을 통한 동요교육 ... 172
2. 동화교육의 발전기 ... 183
1) 한국 전래동화와 일본『후도키(風土記)』,『니혼쇼키(日本書紀)』신화교육 ... 201
2) 방정환의 '동화구연'과 각종 '독본'을 통한 동화교육 ... 234
3. 아동극교육의 발전기 ... 246
1) 학예회극의 등장과 동화극교육 ... 253
2) 아동극공연의 활황과 예술교육으로서의 아동극교육 ... 265
제5장 개정교육령 이후 시기의 아동문학 교육 ... 265
1. 동요, 동시교육의 암흑기 ... 268
1) 시가교육의 암흑기 ... 268
2)『아희생활』과『소년』의 동요, 동시교육 ... 270
2. 동화교육의 암흑기 ... 275
1) 일본『고지키(古事記)』신화, 전래동화, 역사인물동화교육 ... 275
2) 각종 시국독본과『아희생활』의 주일학교 동화교육 ... 283
2. 아동극교육의 암흑기 ... 286
1) 동화극 교육의 퇴조 ... 286
2) 친일아동극과 소화(笑話)로 남겨진 아동대화극 ... 290
제6장 한국 근대 아동문학 교육의 문학교육사적 의미 ... 295
1. 근대적 아동문학 교육의 확대와 지배담론의 반영 ... 297
2. 아동문학교육의 다원화와 대항담론의 형성 ... 307
제7장 글을 마치며 ... 317
참고문헌 ... 331
색인 ... 34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