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3
제1부 제국과 미디어
Ⅰ. 한국 내 일본어 문학의 형성과 문예란의 제국주의 -『朝鮮』(1908∼11)ㆍ『朝鮮(n?韓)之[잌贅?(1905∼14)의 문예란과 그 역할을 중심으로 / 정병호 ... 17
1. 한반도의 일본어 신문ㆍ잡지 간행과 문예란 ... 17
2. 일본어 잡지「문예」란의 역할과〈문학〉담론 - 한국거류 일본인사회의...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3
제1부 제국과 미디어
Ⅰ. 한국 내 일본어 문학의 형성과 문예란의 제국주의 -『朝鮮』(1908∼11)ㆍ『朝鮮(n?韓)之[잌贅?(1905∼14)의 문예란과 그 역할을 중심으로 / 정병호 ... 17
1. 한반도의 일본어 신문ㆍ잡지 간행과 문예란 ... 17
2. 일본어 잡지「문예」란의 역할과〈문학〉담론 - 한국거류 일본인사회의 형성과「문예」란의 역할 ... 22
3. 한국 내 일본어 문학의 콜로니얼리즘 - 조선문학론과「문예」란 속의 제국주의 ... 29
4. 한국 내 일본어 문학의〈조선적 소재〉와 조선문학의 소개 - 중층적 공간으로서의 일본어 잡지의 문예란 ... 35
5. 식민지학으로서의〈외지〉일본(어) 문학 - 결론과 전망 ... 42
Ⅱ.〈조선〉으로부터의 호소 - 잡지『조선』의 지면 구성을 중심으로 / 가나즈 히데미 ... 47
1. 들어가며 ... 47
2. 잡지『조선』 - 팽창과 취미ㆍ위안이 교차하는 장(場) ... 50
3. 잡지『조선』의 지면 구성 ... 55
4. 호소하는 목소리/응답하는 목소리 -『조선문답』을 통하여 ... 69
5. 결론을 대신해서 ... 73
Ⅲ. 도한 일본인의 일상과 식민지 조선의 생성 -『조선』문예란을 중심으로 / 김계자 ... 79
1. 들어가는 말 ... 79
2. 잡지『조선』의 문예란 ... 83
3. 인식으로서의 한국(韓國)과 조선(朝鮮) ... 87
4. 번역되는 조선 ... 96
5. 맺음말 ... 102
Ⅳ.『조선(및 만주)』의 조선인 기고가들 / 유재진 ... 105
1. 들어가며 ... 105
2. 데이터로 본『조선(및 만주)』의 조선인 기고가들 ... 109
3. 조선인 기고가들이 쓴 한국문학 ... 118
4. 마치며 ... 127
제2부 식민주의 담론과 조선 표상
Ⅴ.『조선』의 문예란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 - 역사물을 중심으로 / 김청균 ... 135
1. 들어가며 ... 135
2. 일본의 한국 침략의 정당화 ... 138
3. 개인적 욕망에서 비롯되는 권력 쟁탈전이라는 한국 역사 해석 ... 143
4. 숙명론과 허무주의에 입각한 한국 역사 해석 ... 151
5. 마치면서 ... 161
Ⅵ. 잡지『조선』에 나타난 친일 정치인의 표상 - 이완용, 송병준을 중심으로 / 홍윤표 ... 163
1. 서론 ... 163
2. 이완용과 송병준의 친일활동 ... 167
3. 일본어잡지에서의 이완용과 송병준 표상 ... 171
4. 문명인과 폭도, 교육과 억압 ... 178
5. 결론 ... 182
Ⅶ.『조선』에 나타난 안중근 의거에 대한 인식 / 채숙향 ... 185
1. 들어가며 ... 185
2.『조선』에 나타난 안중근과 이토에 대한 인식 ... 189
3. 암살동기와 배일(排日)주의 ... 194
4. 모국의 반응에 대한『조선』의 거리감 ... 199
5. 나오며 ... 205
Ⅷ.『조선』에 나타난 간도ㆍ만주 담론 / 유수정 ... 207
1. 들어가며 ... 207
2. 간도와 만주 용어사용의 의도성 ... 210
3. 간도ㆍ만주 관련 기사의 변화양상 ... 213
4. 재한 일본인이라는 입장 ... 220
5. 나오며 ... 229
제3부 식민지 종교 및 교육
Ⅸ. 한일병합 전후 일본 기독교 지도자의 조선인식 -『조선』과 기독교 기관지의 기고문을 중심으로 / 이현진 ... 235
1. 서론 ... 235
2. 한국의 기독교 수용 ... 238
3. 잡지『조선(朝鮮)』과 시마누키 효다유(島貫兵太夫)의 문명화론 ... 240
4. 일본구미아이교회파(日本組合敎O派) ... 246
5. 에비나 단조(海老各_9正)ㆍ와타제 쓰네요시(渡p,常吉)의 동화주의적 조선인 전도 ... 249
6. 가시와기 기엔(柏木義円)ㆍ요시노 사쿠조(吉野作造)의 조선교화에 대한 비판적 언설 ... 254
7. 맺음말 ... 259
Ⅹ. 잡지『조선』에 나타난 기독교와 배일사상 - 샤쿠오의『조선』기고문을 중심으로 / 김성은 ... 263
1. 머리말 ... 263
2. 샤쿠오의 조선 야소교(耶蘇敎) 인식 ... 264
3. 샤쿠오의 선교사 방문록 ... 271
4. 일본 기독교 지식인의 조선 전도론 ... 277
5. 맺음말 ... 282
!j. 잡지『조선』에 나타난 교육 담론 / 신주혜 ... 285
1. 서론 ... 285
2. 본론 ... 289
1) 잡지『조선』에 나타나는 교육 담론 ... 289
2) 교육 현실 및 교육의 특징 ... 296
3) 교육 담론에서 볼 수 있는 이중적 타자구조 ... 302
3. 결론 ... 307
제4부 제국과 여성
!k.『조선』의〈문예란〉에 나타난 도한 일본여성의 현실 / 김효순 ... 311
1. 들어가는 말 ... 311
2. 1900년대의 도한 일본여성의 현황 ... 314
3. 잡지『조선』에서 그려지는 도한 일본여성의 현실 ... 316
4. 맺음말 ... 341
XIII. 재한 일본어 미디어와 도한 일본인 여성 - 한일병합 전후 일본어문학에 나타난 예기ㆍ한처(韓妻)를 중심으로 / 이승신 ... 345
1. 서론 ... 345
2. 식민지 조선의 도한 일본인여성 ... 348
3. 재한 일본어 미디어를 통해 본 도한 일본인여성 ... 352
4. 일본어문학에 나타난 도한 일본인여성의 표상 ... 358
5. 맺음말 ... 368
XIV.『조선』에서의 가정의 역할과 한인(韓人)가정에 대한 인식 / 송혜경 ... 371
1. 들어가며 ... 371
2.『조선』에서 가정의 역할과 재조 일본인 가정 ... 373
3. 집이라는 공간으로서의 한인가정 ... 382
4. 한인가정의 지배원리와 계몽의 부재 ... 390
5. 맺음말 ... 39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