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3
제1부 고전 운문
고전시가에 나타난 모성 형성 / 김상진 ... 13
1. 시작하는 말 ... 13
2. 〈도천수관음가〉와 숭고한 모성 ... 17
3. 기녀시조와 억압된 모성의 변주 ... 21
4. 남은 이야기 : 모성을 향한 영원한 그리움 ... 28
난설헌과 여신선 / 김명희...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3
제1부 고전 운문
고전시가에 나타난 모성 형성 / 김상진 ... 13
1. 시작하는 말 ... 13
2. 〈도천수관음가〉와 숭고한 모성 ... 17
3. 기녀시조와 억압된 모성의 변주 ... 21
4. 남은 이야기 : 모성을 향한 영원한 그리움 ... 28
난설헌과 여신선 / 김명희 ... 33
1. 들어가는 말 ... 33
2. 난설헌시에 나타난 여선의 정체성 ... 36
3. 나오는 말 ... 61
당대 여성시인 설도의 시와 삶 / 왕지화 ... 63
1. 들어가며 ... 63
2. 설도의 생애 ... 64
3. 설도의 작품 ... 67
4. 나오며 ... 80
일본 헤이안 중기 여류문학의 특징 / 남이숙 ... 83
1. 들어가는 말 ... 83
2. 일본 헤이안 여류문학의 특징 ... 84
3. 맺는 말 ... 114
제2부 고전 산문
한국 고전 산문작품에 나타난 여성 삶의 양상 / 이금희 ... 119
1. 서론 ... 119
2. 여성의 자율적인 삶 ... 120
3. 여성의 덕을 구현시키는 삶 ... 125
4. 여성의 능력을 구현시키는 삶 ... 133
5. 결론 ... 152
문학의 창으로 만나는 조선의 궁녀 / 정은임 ... 157
1. 머리말 ... 157
2. 조선조 궁중문학의 백미 ... 159
3. 궁녀의 기원과 제도 ... 163
4. 맺음말 ... 202
『고부기담(姑婦奇譚)』의 연구 / 김승호 ... 205
1. 머리말 ... 205
2. 작가의 면모와 간행경위 ... 207
3. 시적 제재와 형식 ... 211
4. 근대적 규방문학으로의 변신 ... 217
5. 주체적 여성성의 부각 ... 224
6. 간도의 실상 보고 ... 230
7. 맺는 말 ... 234
한·중 여성 해신(海神) 비교연구 / 김인희 ... 237
1. 해로를 통한 한·중의 문화 교류 ... 237
2. 마조신에 대한 논란 몇 가지 ... 240
3. 시대에 따른 마조신의 성격 변화 ... 244
4. 마조신앙의 해외 전파 ... 256
5. 마조와 수성당의 개양(開洋)할미 비교 ... 261
6. 비교연구에 있어 해양교류의 중요성 ... 270
한·중 여성영웅소설의 구조적 분석 / 이춘희 ... 273
1. 서론 ... 273
2. 문제제기와 자료 ... 278
3. 두 작품의 구조에 대한 비교 고찰 ... 284
4. 결론 ... 295
『고사기(古事記)』에 나타난 ‘미오야(御祖)’ 호칭 고찰 / 사이토 아사코 ... 297
1. 서론 ... 297
2. 모신(母神)으로서의 ‘미오야(御祖)’ ... 299
3. ‘미오야(御祖)’의 계열 ... 301
4. ‘미오야(御祖)’의 역할 ... 305
5. 결론 ... 313
제3부 현대 문학
‘여성-되기’와 ‘시-하기’ / 김행숙 ... 317
1. 김혜순의 문제제기 ... 317
2. ‘바리데기’를 호명하는 이유 ... 319
3. 여성성과 ‘여성-되기’ ... 327
4. ‘시-하기’와 시 장르의 새로운 가능성 ... 335
5.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 342
오정희의 유년기 체험 소설 연구 / 조회경 ... 345
1. 머리말 ... 345
2. 오정희의 유년기 체험소설의 특성 ... 352
3. 비극적 인식으로부터 구원에 이르는 여정 ... 358
4. 맺음말 ... 368
야마다 에이미의 아웃사이더 의식과 이문화 체험 / 안노 마사히데 ... 371
1. 들어가며 ... 371
2. 『베드 타임 아이즈』 ... 373
3. 『바다 쪽 아이(海の方の子)』 ... 387
4. 마치며 ... 397
참고문헌 ... 39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