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3
역자 머리말 ... 5
일러두기 ... 8
第一章 서론 ... 19
1.1. 사회언어학적 각도에서의 중국어 ... 20
1.1.1. 언어학과 사회언어학 ... 21
1.1.2. 사회언어학과 논리문법과 생성문법 ... 22
1.1.3. 중국어 방언학과 사회언어학 ... 24
1.2. 사회언어학의 탄생...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 3
역자 머리말 ... 5
일러두기 ... 8
第一章 서론 ... 19
1.1. 사회언어학적 각도에서의 중국어 ... 20
1.1.1. 언어학과 사회언어학 ... 21
1.1.2. 사회언어학과 논리문법과 생성문법 ... 22
1.1.3. 중국어 방언학과 사회언어학 ... 24
1.2. 사회언어학의 탄생과 대표적인 연구 성과 ... 32
1.2.1. 사회언어학의 탄생 ... 32
1.2.2. 도시방언학 ... 33
1.2.3. 소도시 사회방언 연구 ... 34
1.2.4. 언어민족지학 ... 36
1.3. 사회언어학의 연구 방법 ... 38
1.3.1. 다인차(多人次) 표본추출 조사법 ... 38
1.3.2. 속성 인명 조사법 ... 40
1.3.3. 정량 분석법을 통한 홍콩 사례 연구 ... 40
1.3.4. 사회 네트워크 조사 연구 ... 44
1.3.5. 끼워맞추기 방법(matched guise technique) ... 47
1.4. 중국 사회언어학의 생성과 발전 ... 49
第二章 언어변이와 언어변종 ... 53
2.1. 사회 방언 ... 55
2.1.1. 계층 변종과 성별 변종 ... 55
2.1.2. 도시와 시골 차이, 연령 변종 ... 63
2.1.3. 언어영역 변종과 직업 변종 ... 67
2.1.4. 지방 희곡 언어변종 ... 70
2.2. 언어분화와 언어교체 ... 78
2.2.1. 언어분화 ... 78
2.2.2. 방언의 민속 층차와 지리 층차 ... 79
2.2.3. 방언섬과 그 형성 원인 ... 81
2.2.4. 언어교체 ... 83
2.3. 언어 변화의 사회ㆍ문화적 원인 ... 87
2.3.1. 인구변천과 언어의 거시적 변화 ... 88
2.3.2. 이주방식과 방언의 지리적 분포 유형의 관계 ... 92
2.3.3. 방언 역사 변화의 거시적 방향 ... 95
2.3.4. 위세방언 변화의 사회ㆍ문화적 원인 ... 96
2.3.5. 언어의 미시적 변화의 사회ㆍ문화적 원인 ... 97
第三章 이중언어와 언어충성 ... 105
3.1. 이중언어와 양층언어 ... 106
3.1.1. 이중언어현상 ... 106
3.1.2. 양층언어현상 ... 108
3.1.3. 이중언어와 양층언어의 관계 ... 110
3.1.4. 이중언어의 원인과 발전 추세 ... 114
3.1.5. 다언어현상과 다언어사회의 공통점 ... 118
3.2. 소민족집단, 방언, 지방 문화 ... 121
3.2.1. 소민족집단, 방언, 지방 문화의 계층성 ... 121
3.3.2. 언어사용 장소의 지리적 층위 ... 123
3.2.3. 사회적 기능으로서의 언어의 계층성 ... 125
3.2.4. 위세방언과 약세방언 ... 133
3.3. 언어 충성도와 언어태도 - 홍콩 사례 분석 ... 135
3.3.1. 홍콩 중국인 사회의 각 소민족집단 개황 ... 136
3.3.2. 소수 민족집단의 언어 충성도 ... 143
3.3.3. 언어 충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 ... 144
3.3.4. 홍콩 사회의 언어태도와 이후의 과제 ... 149
第四章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 ... 151
4.1. 언어공동체와 의사소통 능력 ... 152
4.1.1. 언어공동체(speech community) ... 152
4.1.2.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 ... 154
4.1.3. 예의 ... 156
4.2. 회화와 코드전환 ... 160
4.2.1. 회화의 구조와 회화분석 ... 160
4.3.2. 한정된 코드와 정밀한 코드 ... 164
4.2.3. 코드전환과 코드혼합 ... 165
4.3. 언어 또는 방언의 이해도 ... 169
4.3.1. 방언 간의 어휘 접근도에 대한 계량 연구 방법 ... 169
4.3.2. 중국어에 대한 새로운 과제와 연구 방법 ... 172
4.3.3. 이해도에 관한 두 가지 주의점 ... 186
第五章 한어(漢語)의 형성, 발전 그리고 화교사회 ... 189
5.1. 한어의 시작과 지리적 확산 ... 190
5.1.1. 남방 방언구 형성과 그 역사적 층차 ... 190
5.1.2. 중국 인접 지역 언어[域外方言] ... 195
5.2. 언어 변천과 사회, 문화와의 관계 ... 199
5.2.1. 방언의 거점식 전파와 만연식 확산 ... 199
5.2.2. 역사 행정 지리와 방언 지리의 관계 ... 201
5.2.3. 글말입말 달리읽기[文白異讀]와 과거제도 ... 203
5.2.4. 방언 확산과 언어 융합 ... 206
5.3. 해외의 한어 분포와 화교 사회 ... 208
5.3.1. 해외 한어 형성의 원인 ... 208
5.3.2. 해외 한어 방언과 화교 사회의 공통 특징 ... 209
5.3.3. 해외 한어 방언 사회의 유래와 분포 ... 213
5.3.4. 관화와 월방언의 국외 지위 ... 220
5.3.5. 방언사회의 언어 표지 ... 222
5.3.6. 언어 접촉과 문화 동화 ... 224
第六章 언어 자료에 근거한 사회언어학 연구 ... 227
6.1. 국내외 한어 어휘의 차이와 사회적 배경 ... 229
6.1.1. 각지 중문의 차이점 비교와 동시대 언어 자료 ... 229
6.1.2. 중국어와 일본어의 신생어 파생과 재어휘화 ... 232
6.1.3. 중국어 재어휘화에 있어서의 각 지방별 특징 몇 가지 ... 247
6.2. 현대 중국어 신생어의 다원화 추세와 지역 경쟁 ... 250
6.2.1. 신생어 지역 분포 통계 ... 251
6.2.2. 각지 신생 외래어의 경쟁과 발전 추세 ... 251
6.2.3. 중국어를 사용하는 각 지역의 중국어 신생어 접근을 비교 ... 260
6.3. 신문 어휘와 사회 문화 변천 ... 262
6.3.1. 신문 매체와 사회 문화 ... 262
6.3.2. 신문 지상의 지방어 비율 변화 ... 266
6.3.3. 복합 지명 변화 ... 269
6.3.4. 결론 ... 271
第七章 언어와 문화 ... 273
7.1. 언어와 문화는 함께 생겨나 공존한다 ... 274
7.1.1. 언어와 문화는 함께 생겨난다 ... 274
7.1.2. 언어와 문화는 공존 ... 277
7.1.3. 문화에 뒤처지는 언어 발전 ... 279
7.1.4. 언어 구조와 문학 체제 ... 282
7.1.5. 한자와 한자 문화 ... 287
7.2. 친척 호칭의 문화적 배경 ... 289
7.2.1. 친척 호칭의 분류 ... 289
7.2.2. 친척 호칭과 민간의 터부(taboo) 심리 ... 290
7.2.3. 친척 호칭과 결혼 제도 ... 292
7.2.4. 친척 호칭과 종법 개념 ... 294
7.2.5. 친척 호칭의 변천 및 문화적 원인 ... 295
7.3. 언어와 민간 심리 ... 298
7.3.1. 언어 금기 ... 298
7.3.2. 언어 주술 ... 303
7.3.3. 언어 미신 ... 306
7.3.4. 언어와 민속 ... 307
7.4. 인명과 지명 속의 문화 ... 311
7.4.1. 인명의 민족 문화 특징과 시대 특징 ... 311
7.4.2. 지명의 문화적 특징 ... 319
7.4.3. 지명 변천의 문화적 원인 ... 326
第八章 언어접촉 ... 331
8.1. 중국어의 언어동화와 문화동화 ... 334
8.1.1. 언어동화와 다섯 개 단계 ... 334
8.1.2. 해외 화교 사회의 언어와 문화의 동화 ... 345
8.1.3. 결론 ... 353
8.2. 언어 접촉과 어휘 전파 ... 355
8.2.1. 어휘의 차용과 문화의 전파 ... 355
8.2.2. "어휘수입"에 있어서의 문화의 포용과 제약 ... 359
8.2.3. 음의혼역(音義混譯) 어휘와 뜻이 가미된 음역 어휘의 구조 제약 ... 366
8.2.4. 어휘수입의 원인 ... 373
8.2.5. 외래어의 토착화 ... 374
8.2.6. 결론 ... 376
8.3. 언어융합 ... 377
8.3.1. 혼종단어(hybrid word) ... 378
8.3.2. 피진(pidgin) ... 378
8.3.3. 혼합어와 혼합형 방언 ... 383
8.3.4. 언어접촉과 문법 구조의 수입 ... 387
8.3.5. 기층언어, 표층언어와 방충언어 ... 389
第九章 사회 발전과 언어의 경쟁 ... 395
9.1. 홍콩의 언어 경쟁 ... 398
9.1.1. 홍콩의 언어 역사 배경 요약 ... 398
9.1.2. 언어교체와 아이덴티티 ... 403
9.1.3. 영어의 사회적 지위 ... 412
9.1.4. 결론 ... 415
9.2. 대만의 언어 경쟁 ... 416
9.2.1. 대만 각 민족과 방언 ... 416
9.2.2. 최상층언어 간의 경쟁 ... 422
9.2.3. 하층언어 간의 경쟁 ... 426
9.3. 내부의 언어경쟁 ... 428
9.3.1. 최상층언어 ... 428
9.3.2. 월방언과 오방언, 민방언의 경쟁력 비교 ... 431
9.3.3. 위세방언 간의 지역별 경쟁 ... 439
9.4. 싱가폴의 언어 경쟁 ... 443
9.4.1. 싱가폴의 사회 발전과 언어 사용 개황 ... 443
9.4.2. 최상층언어의 경쟁 ... 446
9.4.3. 화교 사회에서의 상층언어 경쟁 ... 450
第十章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의 중국어 ... 455
10.1. 언어계획 ... 457
10.1.1. 언어지위 계획 ... 457
10.1.2. 언어 그 자체에 대한 계획 ... 463
10.2. 언어 교육과 교육 언어 ... 481
10.2.1. 언어 교육 ... 181
10.2.2. 이중언어 교육 ... 482
10.2.3. 제2언어의 습득 ... 491
부록 : 영어-중국어-한국어 사회언어학 용어 비교 ... 493
역자 후기 ... 499
저자 소개 : 游汝傑, 鄒嘉彦 ... 502
역자 소개 ... 50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