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7
1장 진단평가의 개요: 철학적 쟁점 및 일반적 지침 ... 17
진단과 평가의 정의 ... 18
평가 개념의 확장 ... 19
측정의 중요성 ... 21
기능 측정의 중요성 ... 30
문제의 유무 파악을 위한 진단 ... 33
문제의 원인 파악을 위한 진단 ... 37
임상적...
더보기
목차 전체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7
1장 진단평가의 개요: 철학적 쟁점 및 일반적 지침 ... 17
진단과 평가의 정의 ... 18
평가 개념의 확장 ... 19
측정의 중요성 ... 21
기능 측정의 중요성 ... 30
문제의 유무 파악을 위한 진단 ... 33
문제의 원인 파악을 위한 진단 ... 37
임상적 조언 제공을 위한 진단 ... 39
진단: 과학과 예술 ... 40
진단과 수혜자격 ... 42
진단가 요인 ... 43
대상자-임상가 관계 ... 46
대상자 요인: 아동, 청소년, 성인 ... 47
진단 활동 ... 53
맺음말 ... 58
2장 면담 ... 61
면담의 중요성 ... 61
면담의 특성 ... 63
면담을 방해하는 요소 ... 64
면담 접근법 ... 66
면담 기술의 향상 전략 ... 83
3장 진단평가와 심리측정 ... 87
검사의 유형 ... 89
타당도: 검사 및 측정의 기초 ... 90
신뢰도 ... 92
검사 해석을 위한 배경 지식 ... 97
민감도 및 특이도: 근거기반실제에서의 주요 개념 ... 108
표준화된 검사의 평가 기준 ... 110
규준참조 검사의 잘못된 사용 ... 116
맺음말 ... 120
4장 제한된 언어를 사용하는 아동의 평가 ... 123
의사소통자가 되는 과정: '큰 그림' 그리기 ... 123
언어 수준의 파악: 비구어, 한 단어, 초기 다단어 ... 124
원인의 고려 ... 127
초기 언어 평가가 어려운 이유 ... 127
언어 평가 모형의 고려 ... 129
언어 평가의 이론적 고려 ... 131
초기 의사소통의 평가 및 언어 발달의 예측 변수 ... 134
특정 영역의 평가: 절차, 고려사항 및 연구 방향 ... 136
맺음말 ... 175
5장 학령기 및 청소년기 언어장애의 평가 ... 177
표준화된 검사 ... 182
비표준화 검사 ... 183
언어 표집 과정 ... 185
후기 언어 발달 ... 190
언어 이해의 검사 ... 192
분석 패키지를 이용한 구문 평가 ... 196
화용 평가 ... 204
문해력 및 학교 교과과정의 평가 ... 213
맺음말 ... 219
6장 조음음운장애의 평가 ... 221
말소리 산출에 관여하는 요인 ... 221
조음음운장애 평가의 7개 주요 지식 영역 ... 224
조음음운 평가 과정의 개요 ... 231
전통적 평가 절차 ... 232
음운 문맥 효과의 검사 절차 ... 236
음성 및 음운 목록 ... 238
변별자질 분석 ... 239
음운 분석 ... 244
음운 지식의 평가 ... 255
기타 검사 ... 257
평가 자료의 통합 ... 259
중증도와 명료도 ... 261
컴퓨터를 이용한 음운 보조 분석 ... 264
음운장애의 장기적 영향 ... 266
7장 유창성장애의 평가 ... 269
감별 진단 ... 271
말더듬 평가 ... 279
말더듬 시작 시점에서의 평가 ... 292
학령기 유창성장애 아동의 평가 ... 298
유창성장애 성인의 평가 ... 301
8장 실어증 및 성인 언어장애의 평가 ... 305
실어증의 특성 ... 305
사례력 ... 309
진단 및 공식 평가 ... 313
비공식 평가 방법 ... 327
결과 요약 ... 330
9장 말운동장애와 삼킴장애의 평가 및 구강 검사 ... 337
구강-주변 기관 검사 ... 338
성인 말실행증 ... 342
발달성 말실행증 ... 349
성인 마비말장애 ... 354
뇌성마비 및 아동 마비말장애 ... 360
삼킴장애 ... 362
맺음말 ... 374
10장 후두 및 무후두 음성장애의 평가 ... 377
음성장애의 특성 ... 378
음성장애의 진단 과정 ... 381
사례력 수집 ... 382
지각적, 음향적, 공기역학적 평가 ... 391
시각적 평가 ... 407
비공식 조사 ... 408
음성장애의 결론 ... 413
후두 적출자의 평가 ... 414
기관식도 인공 장치를 이용한 발성 ... 421
11장 공명장애의 평가 ... 433
비정상적 공명의 유형 ... 433
사례력 조사 및 일반적인 음성 평가 ... 435
공명장애의 평가 기법과 조사 방법 ... 437
구개열과 관련된 평가 ... 447
자존감과 일상생활에의 영향 ... 456
예후 ... 457
맺음말 ... 459
12장 평가에서의 다문화 문제 ... 461
인구 및 직업 추세 ... 462
장애와 의사소통에 대한 문화적 시각차 ... 465
면담 및 상담 문제 ... 465
장애 발생률 및 출현율의 문화적 차이 ... 468
언어평가: 가장 문제가 되는 분야 ... 472
다문화적 평가에서의 비표준화 절차 ... 483
맺음말 ... 487
13장 진단 보고서 ... 489
양식 ... 490
비밀 유지 ... 500
문체 ... 501
쓰기 과정 ... 502
추적 관찰 ... 503
맺음말 ... 504
부록 ... 507
참고문헌 ... 517
찾아보기 ... 553
더보기 닫기